대통령 선거가 얼마 안 남았다. 지난 대선 이후로 정치에는 관심을 별로 두지 않았다. 보려고 보는 게 아니라 보여서 보는 것만 보고 살았고 관심을 두지 않았다. 절대적인 지지율로 당선된 이MB. 나는 할 말이 없었다. 그냥 입 닥치고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MB을 탓하기 보다는 오히려 MB를 당선시켜주게 만든 국민들을 탓하고 싶었다. 그래서 나는 그 이후에 촛불 시위를 보면서 그런 생각을 하곤 했다. 저기 모여 있는 사람들 중에 반은 선거 때 MB 뽑은 사람이 아닌가? 물론 엄밀하게 얘기하면 62% 참여율에 48% 지지율이니 10명중에 3명이라고 해야 맞겠지만.
그래서 나는 그네들이 싫었다. MB는 내 기준에서 인간이 아니니까 열외라고 쳐도 인간이 아닌 이를 밀어준 인간들은 도대체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 싶었다. 게다가 자신이 지지하는 사람이 원래 그런 사람인 거는 모르고 이제와서 저러는 거는 정말 줏대없다 생각했다. 이래서 민초구나는 생각이 들었고 나는 대통령은 군중심리를 이용하면 얼마든지 되는구나 하는 생각을 하곤 했다. 최근에 안철수 사퇴를 보면서(참고로 나는 안철수를 지지하는 사람은 아니다. 나는 아직까지도 누굴 지지해야겠다는 생각 자체가 없는 사람이다. 그러나 투표는 한다. 분명히.) 안철수의 성격, 됨됨이, 측근들의 조언들, 안철수의 판단 등등을 생각해보며, 안철수로서는 어쩔 수 없었다고 봤다.
뭐 이런 얘기를 하려고 적는 글은 아니다. 내가 얘기하고 싶은 건 이거다. 누구를 지지하느냐를 결정하기 이전에 누가 대통령이 되면 안 되는지를 우선 가려라. 왜? 그래야 리스크가 적다. 군중심리에 휩쓸리지 말고, 뭐 하나 알았다고 결정하지 말고, 투표일까지 천천히 지켜보면서 가리길 바란다. 성급하게 생각치 말고 계속 지켜보다가 결정하란 얘기다. 투표일이 아직 남았는데 벌써 결정할 필요 없다. 내가 볼 땐 하나를 정하기 보다는 하나씩 없애버리면서 자신이 투표할 후보들을 좁혀 나가는 게 현명하다고 본다. 어떤 후보라고 하더라도 상대적은 관점에서 이 후보가 저 후보보다 이런 점은 낫지만 저런 점은 못하다는 게 있다. 그걸 보면서 자신의 가치 기준에 부합하는 후보를 뽑으면 된다.
문제는 다양한 가치 기준 중에 어떤 가치가 더 우위에 있어야 하는지가 중요한데, 이거는 그냥 저마다 다르다고 생각하고 싶다. 왜? 조목조목 들어서 얘기한다고 될 문제도 아니고, 그렇게 얘기할 시간도 없다. 고로 그냥 저마다 생각하는 바대로 투표하면 되는 거다. 내가 지난 대선에 실망했던 이유도 사실 여기에 있다. 누구나 다 생각하지. 가치 기준이 있지. 말은 그래. 그런데 정작 결과 보면 그 가치 기준이 뭔지 한 번 들어보고 싶을 정도라니까. 그런데 비슷한 가치 기준을 가진 사람들이 많았으니까 절대적인 지지를 받은 거 아냐? 아니면 가치 기준 자체가 없어서 군중심리에 휩쓸렸든지.
그래서 지난 대선 결과가 나온 직후에는 MB보다는 MB를 대통령으로 만든 국민들이 미웠다. 정말 이 정도 밖에 안 돼? 뭐 그런 생각에 말이다. 그러나 그것도 어찌보면 하나의 과정이라 생각한다. 지금 생각해보면 말이다. 당시에는 그 때문에 정치에는 관심을 끊기도 했는데. 이번에는 그래도 지난번의 실수가 있으니 경험치가 쌓였겠지? 대통령 잘못 뽑아놓으면 나라꼴이 어떻게 된다는 걸 잘 알테니 말이다. 경제 발전? 지금 시대가 어떤 시대인데 한 명의 대통령이 뭔가를 바꿔놓는단 말인가? 안 되는 건 안 되는 거다. 우산으로 비는 막을 수 있어도 태풍은 못 막는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대통령의 자질을 논할 때는 도덕성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 근데 도덕성이라고 하니 과거에 어떤 사례가 있었다는 걸 갖고 자질을 평하는 경우를 흔히 본다. 그런 경우에는 그것이 팩트라고 하더라도 그가 그 당시 처했던 상황을 보고 이해를 할 줄도 알아야 한다. 사람은 누구나 욕심이 있기 마련이고 때로는 그 욕심이 과욕이 될 수도 있는 법이니까. 항상 그렇게 욕심을 내는 사람이라면 그건 그 사람의 변하지 않는 부분이니 자질이라고 얘기할 수 있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그건 있을 수 있는 흔한 일에 속한다. 그런 걸 좀 가려서 볼 필요가 있지 않나 싶다.
방금 전에 이 영상을 봤다. 대통령 선거 때가 되니 많이 그리운 사람이다. 그가 잘했다 못했다는 얘기는 하고 싶지 않다. 사람이 항상 잘 할 수도 없지만 항상 못 할 수도 없기에. 다만 내가 그리운 이유는 소신있게 자신의 뜻을 펼쳐나갔고 그는 진심으로 나라와 국민을 생각했던 대통령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나는 당시 노무현 후보에게 내 한 표를 던지지 않았고, 국정 운영 때도 어떤 면에 있어서는 노무현 대통령을 비판했던 사람 중에 하나다. 그건 지엽적인 부분이다. 부부도 살아보면 항상 만족하면서 살 수 없는 것과 같은 그런 거란 말이다. 정말 그립고 안타까운 사람이다.
그래서 나는 그네들이 싫었다. MB는 내 기준에서 인간이 아니니까 열외라고 쳐도 인간이 아닌 이를 밀어준 인간들은 도대체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 싶었다. 게다가 자신이 지지하는 사람이 원래 그런 사람인 거는 모르고 이제와서 저러는 거는 정말 줏대없다 생각했다. 이래서 민초구나는 생각이 들었고 나는 대통령은 군중심리를 이용하면 얼마든지 되는구나 하는 생각을 하곤 했다. 최근에 안철수 사퇴를 보면서(참고로 나는 안철수를 지지하는 사람은 아니다. 나는 아직까지도 누굴 지지해야겠다는 생각 자체가 없는 사람이다. 그러나 투표는 한다. 분명히.) 안철수의 성격, 됨됨이, 측근들의 조언들, 안철수의 판단 등등을 생각해보며, 안철수로서는 어쩔 수 없었다고 봤다.
뭐 이런 얘기를 하려고 적는 글은 아니다. 내가 얘기하고 싶은 건 이거다. 누구를 지지하느냐를 결정하기 이전에 누가 대통령이 되면 안 되는지를 우선 가려라. 왜? 그래야 리스크가 적다. 군중심리에 휩쓸리지 말고, 뭐 하나 알았다고 결정하지 말고, 투표일까지 천천히 지켜보면서 가리길 바란다. 성급하게 생각치 말고 계속 지켜보다가 결정하란 얘기다. 투표일이 아직 남았는데 벌써 결정할 필요 없다. 내가 볼 땐 하나를 정하기 보다는 하나씩 없애버리면서 자신이 투표할 후보들을 좁혀 나가는 게 현명하다고 본다. 어떤 후보라고 하더라도 상대적은 관점에서 이 후보가 저 후보보다 이런 점은 낫지만 저런 점은 못하다는 게 있다. 그걸 보면서 자신의 가치 기준에 부합하는 후보를 뽑으면 된다.
문제는 다양한 가치 기준 중에 어떤 가치가 더 우위에 있어야 하는지가 중요한데, 이거는 그냥 저마다 다르다고 생각하고 싶다. 왜? 조목조목 들어서 얘기한다고 될 문제도 아니고, 그렇게 얘기할 시간도 없다. 고로 그냥 저마다 생각하는 바대로 투표하면 되는 거다. 내가 지난 대선에 실망했던 이유도 사실 여기에 있다. 누구나 다 생각하지. 가치 기준이 있지. 말은 그래. 그런데 정작 결과 보면 그 가치 기준이 뭔지 한 번 들어보고 싶을 정도라니까. 그런데 비슷한 가치 기준을 가진 사람들이 많았으니까 절대적인 지지를 받은 거 아냐? 아니면 가치 기준 자체가 없어서 군중심리에 휩쓸렸든지.
그래서 지난 대선 결과가 나온 직후에는 MB보다는 MB를 대통령으로 만든 국민들이 미웠다. 정말 이 정도 밖에 안 돼? 뭐 그런 생각에 말이다. 그러나 그것도 어찌보면 하나의 과정이라 생각한다. 지금 생각해보면 말이다. 당시에는 그 때문에 정치에는 관심을 끊기도 했는데. 이번에는 그래도 지난번의 실수가 있으니 경험치가 쌓였겠지? 대통령 잘못 뽑아놓으면 나라꼴이 어떻게 된다는 걸 잘 알테니 말이다. 경제 발전? 지금 시대가 어떤 시대인데 한 명의 대통령이 뭔가를 바꿔놓는단 말인가? 안 되는 건 안 되는 거다. 우산으로 비는 막을 수 있어도 태풍은 못 막는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대통령의 자질을 논할 때는 도덕성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 근데 도덕성이라고 하니 과거에 어떤 사례가 있었다는 걸 갖고 자질을 평하는 경우를 흔히 본다. 그런 경우에는 그것이 팩트라고 하더라도 그가 그 당시 처했던 상황을 보고 이해를 할 줄도 알아야 한다. 사람은 누구나 욕심이 있기 마련이고 때로는 그 욕심이 과욕이 될 수도 있는 법이니까. 항상 그렇게 욕심을 내는 사람이라면 그건 그 사람의 변하지 않는 부분이니 자질이라고 얘기할 수 있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그건 있을 수 있는 흔한 일에 속한다. 그런 걸 좀 가려서 볼 필요가 있지 않나 싶다.
방금 전에 이 영상을 봤다. 대통령 선거 때가 되니 많이 그리운 사람이다. 그가 잘했다 못했다는 얘기는 하고 싶지 않다. 사람이 항상 잘 할 수도 없지만 항상 못 할 수도 없기에. 다만 내가 그리운 이유는 소신있게 자신의 뜻을 펼쳐나갔고 그는 진심으로 나라와 국민을 생각했던 대통령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나는 당시 노무현 후보에게 내 한 표를 던지지 않았고, 국정 운영 때도 어떤 면에 있어서는 노무현 대통령을 비판했던 사람 중에 하나다. 그건 지엽적인 부분이다. 부부도 살아보면 항상 만족하면서 살 수 없는 것과 같은 그런 거란 말이다. 정말 그립고 안타까운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