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글 드라이브

(2)
구글 드라이브 용량 때문에 가입한 구글 원의 혜택들 내 블로그에도 적어둔 글이 있을 건데, 나는 애플 빠는 아니다. 오히려 구글 빠에 가깝다. 그래서 구글에서 서비스가 나오면, 이유가 있겠거니 하고 이용을 하는 편이었다. 최근에 그 스탠스가 바뀌긴 했지만. 왜? 구글 드라이브 권한 설정 왜 이렇게 만들었는지 이해가 안 가. 회사에 있을 때 권한 설정한다고 하는데 분명 이렇게 권한 설정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긴 해도 나는 도통 이해가 안 가더라고.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이라는 게 윈도우즈건 리눅스건 유닉스건 맥락은 비슷하거든. r(읽기), w(쓰기), m(수정), x(실행) 이거 조합으로 만드는데, 왜 그렇게 했는지 아직까지 모르겠다. 졸라 불편. 요즈음에는 전문 조직이라는 게 파편화되어 가는 느낌이다. 디지털 노마드도 많아지..
지메일(gmail)의 대용량 첨부파일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활용 주메일을 gmail로 사용하고 있는 나지만 대용량 첨부파일을 보내야할 경우에는 다음 메일을 이용한다. 사실 대용량 첨부파일을 보내는 경우가 그리 많지는 않지만 보내야할 때는 항상 쓰던 gmail이 아니라 국내 포털의 메일을 이용해야 하니 불편한 게 사실이었다. 아마도 gmail을 주메일로 이용하는 이들은 다 느껴봤을 듯. 첨부 가능한 최대 용량은 계속 늘어서 현재 25MB다. 이건 다음 메일도 마찬가지. 그 이상이 되는 첨부 파일은 gmail의 경우 지원을 안 했다. 그러다 구글 드라이브가 등장하면서 대용량 첨부파일도 지원하게 되었는데 gmail에서 대용량 파일을 첨부하는 방법은 이렇다. 구글 드라이브를 통한 대용량 파일 첨부 메일 보내기 화면에서(이것도 UI가 최근에 바뀌었다. 나와 같은 경우는 바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