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신용카드 잘 안 쓴다. 그렇다고 현금을 많이 들고 다니는 것도 아니다. 대부분의 경우 체크카드를 이용하는데(체크카드는 왜 다들 디자인이 뽀다구가 안 나는겨?) 유일하게 신용카드로만 결제하는 게 있다. 바로 주유대다. 한달에 적게는 40만원 많게는 60만원 평균 50만원 정도를 신용카드로 결재하는데 지금껏 내가 이런 거 신경 써본 적이 별로 없다. 그래도 포인트는 꼬박꼬박 적립하지만 말이다. 그러다 올해 들어서는 돈 관리를 하기 시작했는데(기본적으로 아끼고, 모으려고 말이다.) 그러다 보니 내 소비 패턴에 전혀 맞지 않는 KB 국민카드 이용하면서 혜택도 못 받고 있더란 말이다. 그래서 이리 저리 찾아보고 신규 발행한 카드가 SK에너지 삼성카드 4다.
왜 하필 SK 에너지만 할인 혜택이 있는 카드를 골랐나?
주유 할인 혜택이 더 좋은 것도 있어~
안다. 근데 그 카드는 주유 외에도 여러 혜택이 있어서 연회비가 비싸다. 뭐 비싸봐야 얼마나 비싸겠냐고. 그만큼 뽑아 먹으면 되는 거지. 안다. 그러나 내가 이걸 선택한 거는 대부분은 적립금 즉 포인트로 준단 말이다. 그러나 SK 에너지 삼성카드 4는 리터 당 100원 청구 할인이란 거. 포인트로 줘서 그거 적립하는 거 보다 나는 바로 바로 할인해주는 걸 선호하기 때문이다. 왜? 포인트 관리 같은 거 잘 안해. 있어도 잘 활용도 못하는 편이고. 그래서 그냥 바로 바로 할인해주는 게 좋아~
SK 에너지 삼성카드 4의 주유 혜택 조건 잘 살피고
① 전월 이용금액이 30만원 이상 시(단, SK 주유소 이용금액 제외)
② SK주유소 이용금액 회당 10만원, 월 40만원까지
② SK주유소 이용금액 회당 10만원, 월 40만원까지
하나씩 따져보자. SK 주유소 이용금액을 제외하고 나는 이 카드로 30만원 이상 사용해야 된다. 혜택 받으려고 카드를 써야 된다는 얘기지. 생각해보니 아들 교육비나 공공요금 자동 이체 안 하고 고지서 날라오면 그 때 내가 스마트폰으로 이체시키는데, 이거 카드 결제로 바꿔버리면 된다. 이런 식으로 따지니까 30만원 이상 사용해야 되는 거는 별 문제 아니더라고. 오히려 그렇게 결제를 카드로 바꾸니까 혜택도 있고 말이지. 그래서 그걸 적극 활용하면 되니 별 문제 아니었다.
SK주유소 이용금액 회당 10만원이니까, 10만원 초과되는 금액의 경우에는 0.7% 할인 밖에 안 된다. 이게 얼마나 큰 차이냐? 예를 들어서 휘발유로 따져보자. 리터당 2,000원이라고 하면 0.7%는 리터당 14원 할인 밖에 안 된다는 얘기다. 100원과 14원의 차이. 크다. 뭐 원래 이런 거 신경 쓰고 사는 사람 아니었다만(그렇다고 내가 돈이 많다는 게 아니라 돈에는 그리 신경을 안 쓰는 사람이란 얘기다.) 올해부터는 다르다니까. ^^; 그래서 10만원 안 되게 주유한다.
근데 이런 생각 들 수도 있다. 내가 신청한 결제일은 10일인데 내가 카드 발급 받은 날이 28일이야. 그러면 고작 십수일 정도 내에는 30만원 정도 써야 한다는 얘긴가? 아니다. 일단 카드 발급 받으면 그 다음달까지는 조건 없이 리터 당 100원 할인 이용 가능하다.(그러나 위의 ② 조건은 적용된다) 그리고 결제일이 10일이라고 하면 보통 그 전달 까지의 사용 내역이 청구되므로(이건 각 카드마다 조건을 찾아보면 나온다) 28일 발급 받았다면 결제일까지가 아니라 해당 월말까지 30만원을 사용해야 하는겨~
청구 할인 혜택은 SK주유소 고시가 기준이다
이건 주유 할인 혜택이 있는 모든 카드가 다 그렇다. 리터 당 몇 포인트를 적립해주든, 몇 원을 할인해주든 마찬가지라는 얘기다. 예를 들어보자.
조건1. SK주유소 고시가: 리터당 1,900원
조건2. 내가 주유한 SK주유소: 리터당 1,800원
50리터 주유 시, 주유금액: 1,800원 * 50리터 = 90,000원
청구 할인 혜택: 90,000원 / 1,900원 * 100원 = 4,737원
조건2. 내가 주유한 SK주유소: 리터당 1,800원
50리터 주유 시, 주유금액: 1,800원 * 50리터 = 90,000원
청구 할인 혜택: 90,000원 / 1,900원 * 100원 = 4,737원
나처럼 오피넷 어플 이용하는 사람 많을 거다. 그렇게 최저가 주유소를 찾아서 주유하다 보면 SK주유소의 고시가보다 저렴한 주유소가 있다. 거기서 주유한다고 해서 리터 당 100원 할인이 아니라 기준은 SK주유소 고시가 기준이다. 그래서 위의 예에서 보면 리터당 100원 할인이라고 해서 나는 50리터 주유했으니 5,000원 할인이냐? 아니라는 거다. 4,737원 할인된다. 그래도 이게 더 저렴하게 먹힌다. 자 보자.
조건1. SK주유소 고시가: 리터당 1,900원
조건2. 50리터 주유
① 리터당 2,000원 주유소에서 주유 시
주유금액: 2,000원 * 50리터 = 100,000원
할인금액: 100,000원 / 1,900원 * 100원 = 5,263원
결제금액: 94,737원
② 리터당 1,900원 주유소에서 주유 시
주유금액: 1,900원 * 50리터 = 95,000원
할인금액: 95,000원 / 1,900원 * 100원 = 5,000원
결제금액: 90,000원
③ 리터당 1,800원 주유소에서 주유 시
주유금액: 1,800원 * 50리터 = 90,000원
할인금액: 90,000원 / 1,900원 * 100원 = 4,737원
결제금액: 85,263원
조건2. 50리터 주유
① 리터당 2,000원 주유소에서 주유 시
주유금액: 2,000원 * 50리터 = 100,000원
할인금액: 100,000원 / 1,900원 * 100원 = 5,263원
결제금액: 94,737원
② 리터당 1,900원 주유소에서 주유 시
주유금액: 1,900원 * 50리터 = 95,000원
할인금액: 95,000원 / 1,900원 * 100원 = 5,000원
결제금액: 90,000원
③ 리터당 1,800원 주유소에서 주유 시
주유금액: 1,800원 * 50리터 = 90,000원
할인금액: 90,000원 / 1,900원 * 100원 = 4,737원
결제금액: 85,263원
결국 최저가 주유소에서 주유하는 게 가장 싸다는 결론이다. 물론 실제는 이렇지 않다. 어떤 데는 1,921원이고, 어떤 데는 1,912원인데 어느 게 더 싸지? 쉽게 계산이 안 된다. 게다가 SK주유소 고시가가 얼마인지 모른다. 원래는 SK주유소 홈페이지에 고시했었는데 실제 주유소에서의 가격과 차이가 있다 보니 헷갈린다 해서 공개 안 하는 걸로 안다. 그러니 그냥 일일이 계산하려고 하지 말고, 최저가 주유소를 찾고(나와 같은 경우는 SK주유소 중에서 찾는다) 거기서 카드 결제해서 혜택 받으면 되는 거다.
그 외의 혜택들
사실 그 외의 혜택들은 내게는 큰 의미는 없었지만 이왕 카드 신청한 거 어떤 혜택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래도 활용할 수 있으면 활용하려 했던 거다.
① 모든 가맹점 기본 0.7% 할인
② 모든 영화관 2,500원 할인
신용카드도 잘 활용하면 도움된다
SK 에너지 삼성카드 4의 연회비는 12,000원이다. 단, 국내전용시. 난 국내전용으로 신청했다. 참고로 해외겸용은 17,000원. 이에 반해 현대카드 ZERO는 연회비 5,000원이다. 이 차이는 SK 에너지 제휴 연회비가 7,000원이라서 그런 거다. SK 에너지 삼성카드 4의 기본 연회비는 현대카드 ZERO와 같이 5,000원이다. 아마 7,000원은 SK 에너지가 가져가는 듯. 그래야 자기네들도 혜택을 주는 거지. 그래도 이 정도 연회비 내고 내가 연회비 이상의 혜택은 충분히 얻을 수 있으니 손해는 아니라 본다.
근데 신용카드 잘 안 만드는 내가 삼성카드는 태어나서 처음 만들어서 그런지 한도가 얼마 안 된다. 췟! 내가 그냥 사용하기에도 모자라는 정도 수준? 이미 이번 달과 같은 경우는 월초에 거의 다 써버렸는디. 신용카드 만들고 나서 이리 저리 카드로 자동 이체를 해서 혜택 본다고 그랬더니만 뭐 그렇네. 그리고 신용카드를 써도 요즈음에는 다 스마트폰이니까 모바일 어플 설치해서 사용 내역 확인해보고 그러다 보면 뭐 막 쓰고 그러지는 않어~ 20대도 아니고 말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