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인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노리개: 비슷한 플롯의 고발성 영화인데 재미는 다르네 나의 3,227번째 영화.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그다지 나쁘진 않다. 볼 만하다는 얘기다. 그런데 참 희한한 게 요즈음 꽤 나오는 사회 고발성 영화(이나 )인데 재미는 저마다 다르다는 게 참. 결말은 그닥 바라는 대로 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대리만족을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었던 , 비록 흥행을 하면 할수록 원작자에게 러닝 개런티가 드러갈 듯 싶어서 봐주고 싶지는 않지만 내용만큼은 충격적이었던 . 근데 는? 연예인의 성상납으로 문제가 되었던 장자연 사건을 모티브로 만든 거 같은데, 난 원래부터 연예인은 얼굴로 먹고 사는 이들이 하는 직업이라 직업적인 프라이드 그런 거 보다는 어떻게 해서든 떠야만 한다는 일념에 사로잡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이들이 갖는 직종이라 생각하는 사람이기에(다 그렇다는 건 아니다.. 연예인이라고 한다면... 연예인들이라 하면 공인이다. 남들에게 주목을 받고 시선을 집중받는다는 거다. 그들 또한 인간인 것은 누가 모르는 바는 아니다. 그러나 연예인들은 자기의 얼굴과 이미지로 돈을 버는 사람이다. 그리고 우리가 얼굴만 봐도 누구라고 알만한 사람이라고 한다면, 보통 직장인들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의 돈을 버는 사람이다. 아주 쉬운 예로 '저 사람 연예인인데 누구더라' 하는 정도만 되도 여러 활동을 통해서 1년에 억 정도는 만지는 수준이다. 이것은 아는 지인(공채 탤런트)을 통해서 들은 이야기다. 그만큼 자신의 얼굴과 이미지로 돈을 쉽게(?) 버니 그만큼 이미지 관리를 잘 해야하는 것이다. 이미지가 손상이 되면 인간적인 면모를 보이고 눈물을 보이는 것은 공인으로서 성숙되지 못한 행동이다. 자신의 행동이 주목을 받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