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책을 읽을 때 자세히 보시면 눈에 띄는 부분들이기도 하니
여러분들이 책을 읽을 때 한 번 살펴보시면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1. 낮은 수준
인용이 먼저 나오고 자기 생각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중에 낮은 수준이 아닌 경우도 있지요.
뭐 예를 들면, 손자병법을 풀어준다던지 논어를 풀어준다던지
그런 식이라면 그것 자체가 가지는 한계성 때문에 그럴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이것은 낮은 수준의 인용이라는 겁니다.
왜냐면요. 사람이 어떤 글을 읽으면 생각을 하게 마련입니다.
물론 그 자기생각이 어떠하냐에 따라 글의 호불호를 결정할 수는 있지만
이런 형식의 도입은 일단 인용이 없으면 자기생각을 말할 수 없게 됩니다.
거기에 문제가 있는 겁니다.
자신이 자기 생각을 정말 잘 표현하는 사람이라면
굳이 인용이 없어도 스스로 만들어낼 줄 알아야 하는 거지요.
예병일의 경제노트. 저도 구독하고 있습니다만
이게 가능한 게 이런 형식이기 때문입니다.
책이 아니라 글이고 단편적으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이 글을 수준 낮다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만
책 속에 이런 것이 자주 띄는 책은 그만큼 저자가
생각하는 수준이 낮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런 저자에게서는 깊이 있는 담론을 꺼내기 힘들다는 거지요.
제가 자기계발서를 잘 안 읽기 때문에 이런 책이 많은 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유의해서 보시면 이런 경우를 발견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제가 수준 낮다고 해서 표현이 거시기 할 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상대적인 비교입니다. 인용을 하는 여러 사례들을 비교해보니
이것이 가장 쉬운 인용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라는 거지요.
2. 중간 수준
이런 경우는 비일비재합니다. 자기 생각을 얘기하고 나서
자기 생각이 맞다는 것을 드러내기 위해서 자기보다
월등히 높은 경지에 있는 사람의 말을 빌어서 인용해둡니다.
뭐 이런 거지요. "봐~ 내 말 맞지?"
이런 경우에는 책을 많이 읽은 사람입니다.
다독에만 치우치면 이런 경향으로 흐르기 쉽습니다.
이런 경우의 저자는 책이 없으면 글을 적는 것을 불안해 하지요.
왜? 내 말을 증명할 뭔가를 찾아야만 안심이 되거든요.
자기계발서 중에 우리나라 최고라고 하면 딱 떠오르는 인물 하나.
그 분이 이런 것을 잘 활용합니다. 그래서 책 내용을 보면
그 사람만의 생각이 별로 없어요. 다 인용이고 짜깁기형이죠.
그래도 도움이 되는 책이 있다는 것은 상대적인 것이지요.
어떤 책이라도 도움이 안 되는 책이 어디있겠습니까만
그럼 왜 사람들은 골고루 보지 않고 좋은 책을 찾으려고 할까요?
좋은 책이라는 것 자체가 이미 상대적인 기준의 반영이겠습니다.
그 기준이 무엇이냐에 따라 더 나은 기준이 있을 수 있는 것이죠.
3. 높은 수준
자기생각만 나열하는 겁니다.
인용이 들어가는 것도 자기 생각속에 녹아서 들어가야지요.
이 말은 이런 겁니다.
어디서 봤더라 찾아볼 필요가 없는 거지요.
어떤 책에 이런 얘기가 있다 하면서 그 책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머리 속에서 바로 꺼내오는 경우가 그렇습니다.
굳이 뒤적거리지 않아도 굳이 찾아보지 않아도
그냥 내 생각속에 녹아든 그 책의 내용을 쓰는 것이지요.
이게 인용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봅니다.
일단 이 정도 수준의 인용을 하는 사람이라면
자기만의 생각이 뚜렷하고 확실한 사람입니다.
다만 조심할 것이 있습니다. 이런 형식으로 판단을 해서는 안 되지요.
자기 생각을 표현하면서 인용의 난무를 하는 사람도 많거든요.
위의 국내 자기계발서 최고라고 꼽히는 사람이나
다른 많은 사람들도 그렇습니다.
어찌보면 한 책을 통해서 다른 책을 알게 되니 도움이 되는 면도 있습니다.
그래서 그것이 옳다 그르다는 가치 판단의 잣대로 이것을 들이대면 안 됩니다.
다만 인용을 하는 것도 생각의 깊이 수준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지요.
책을 보시다가 유심히 살펴보세요. 뭔가 느끼시는 부분이 있을 겁니다.
다만 한 책을 보고 저자를 평가하지는 마세요.
멋모르고 편하게 적었는데 우연찮게 그럴 수도 있거든요.
그러나 저서가 많은 경우(대부분의 자기계발 강사나 저자들이 그렇지요.)는
책들을 보면 파악이 됩니다. 저는 그런 저자의 자기계발서는 안 봅니다.
그리고 시장은 변하고 있지요. 뭔가 새로운 것을 요구하고 있구요.
그것의 핵심이 뭘까요? 저는 제 나름대로 판단하고 그를 위해서 준비하고 있습니다.
꼭 제 이익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출판사나 출판 관련 업체들에게 얘기를 하면서
이렇게 가야되지 않겠느냐가 얘기하는 핵심이기도 하지요.
여러분들이 책을 읽을 때 한 번 살펴보시면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1. 낮은 수준
[인용]
[자기생각]
[자기생각]
인용이 먼저 나오고 자기 생각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중에 낮은 수준이 아닌 경우도 있지요.
뭐 예를 들면, 손자병법을 풀어준다던지 논어를 풀어준다던지
그런 식이라면 그것 자체가 가지는 한계성 때문에 그럴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이것은 낮은 수준의 인용이라는 겁니다.
왜냐면요. 사람이 어떤 글을 읽으면 생각을 하게 마련입니다.
물론 그 자기생각이 어떠하냐에 따라 글의 호불호를 결정할 수는 있지만
이런 형식의 도입은 일단 인용이 없으면 자기생각을 말할 수 없게 됩니다.
거기에 문제가 있는 겁니다.
자신이 자기 생각을 정말 잘 표현하는 사람이라면
굳이 인용이 없어도 스스로 만들어낼 줄 알아야 하는 거지요.
예병일의 경제노트. 저도 구독하고 있습니다만
이게 가능한 게 이런 형식이기 때문입니다.
책이 아니라 글이고 단편적으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이 글을 수준 낮다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만
책 속에 이런 것이 자주 띄는 책은 그만큼 저자가
생각하는 수준이 낮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런 저자에게서는 깊이 있는 담론을 꺼내기 힘들다는 거지요.
제가 자기계발서를 잘 안 읽기 때문에 이런 책이 많은 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유의해서 보시면 이런 경우를 발견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제가 수준 낮다고 해서 표현이 거시기 할 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상대적인 비교입니다. 인용을 하는 여러 사례들을 비교해보니
이것이 가장 쉬운 인용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라는 거지요.
2. 중간 수준
[자기생각]
[인용]
[인용]
이런 경우는 비일비재합니다. 자기 생각을 얘기하고 나서
자기 생각이 맞다는 것을 드러내기 위해서 자기보다
월등히 높은 경지에 있는 사람의 말을 빌어서 인용해둡니다.
뭐 이런 거지요. "봐~ 내 말 맞지?"
이런 경우에는 책을 많이 읽은 사람입니다.
다독에만 치우치면 이런 경향으로 흐르기 쉽습니다.
이런 경우의 저자는 책이 없으면 글을 적는 것을 불안해 하지요.
왜? 내 말을 증명할 뭔가를 찾아야만 안심이 되거든요.
자기계발서 중에 우리나라 최고라고 하면 딱 떠오르는 인물 하나.
그 분이 이런 것을 잘 활용합니다. 그래서 책 내용을 보면
그 사람만의 생각이 별로 없어요. 다 인용이고 짜깁기형이죠.
그래도 도움이 되는 책이 있다는 것은 상대적인 것이지요.
어떤 책이라도 도움이 안 되는 책이 어디있겠습니까만
그럼 왜 사람들은 골고루 보지 않고 좋은 책을 찾으려고 할까요?
좋은 책이라는 것 자체가 이미 상대적인 기준의 반영이겠습니다.
그 기준이 무엇이냐에 따라 더 나은 기준이 있을 수 있는 것이죠.
3. 높은 수준
[자기생각]
자기생각만 나열하는 겁니다.
인용이 들어가는 것도 자기 생각속에 녹아서 들어가야지요.
이 말은 이런 겁니다.
어디서 봤더라 찾아볼 필요가 없는 거지요.
어떤 책에 이런 얘기가 있다 하면서 그 책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머리 속에서 바로 꺼내오는 경우가 그렇습니다.
굳이 뒤적거리지 않아도 굳이 찾아보지 않아도
그냥 내 생각속에 녹아든 그 책의 내용을 쓰는 것이지요.
이게 인용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봅니다.
일단 이 정도 수준의 인용을 하는 사람이라면
자기만의 생각이 뚜렷하고 확실한 사람입니다.
다만 조심할 것이 있습니다. 이런 형식으로 판단을 해서는 안 되지요.
자기 생각을 표현하면서 인용의 난무를 하는 사람도 많거든요.
위의 국내 자기계발서 최고라고 꼽히는 사람이나
다른 많은 사람들도 그렇습니다.
어찌보면 한 책을 통해서 다른 책을 알게 되니 도움이 되는 면도 있습니다.
그래서 그것이 옳다 그르다는 가치 판단의 잣대로 이것을 들이대면 안 됩니다.
다만 인용을 하는 것도 생각의 깊이 수준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지요.
책을 보시다가 유심히 살펴보세요. 뭔가 느끼시는 부분이 있을 겁니다.
다만 한 책을 보고 저자를 평가하지는 마세요.
멋모르고 편하게 적었는데 우연찮게 그럴 수도 있거든요.
그러나 저서가 많은 경우(대부분의 자기계발 강사나 저자들이 그렇지요.)는
책들을 보면 파악이 됩니다. 저는 그런 저자의 자기계발서는 안 봅니다.
그리고 시장은 변하고 있지요. 뭔가 새로운 것을 요구하고 있구요.
그것의 핵심이 뭘까요? 저는 제 나름대로 판단하고 그를 위해서 준비하고 있습니다.
꼭 제 이익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출판사나 출판 관련 업체들에게 얘기를 하면서
이렇게 가야되지 않겠느냐가 얘기하는 핵심이기도 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