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ummary

(6)
영화평을 읽을 때 필요한 영화 용어 정리 15개 영화평을 읽다보면 무슨 말인지 모르는 용어가 나올 때가 있다. 개인적으로 이런 글 엄청 싫어한다. 왜 그러냐면 꼭 자신이 뭔가를 많이 아는 듯 보이려고 그런 용어를 쓰는 거 같아서다. 그런 글들은 영화 전문가 그러니까 그런 용어를 기본적으로 쓰는 이들끼리나 사용해야지 대중들에게 읽으라고 쓰는 글에는 사용을 자제하는 게 좋다. 나는 그런 용어 쓴다고 똑똑하다 생각하지 않는 사람 중에 하나다. 오히려 좀 티내려고 하는 하수들이 그런 용어 잘 쓴다고 생각한다. 진정 똑똑한 사람은 아무리 어려운 얘기도 쉽게 풀어서 적을 줄 아는 사람이라 생각하기에. 그래서 스티코 매거진에도 그런 표현 못 쓰게 한다. 그러나 용어 정리를 다 해두고 나서는 그런 용어를 사용하는 걸 허용했는데, 이유는 스티코 매거진에 쉽게 적어둔 ..
간단정리 009. 데이터 단위 GB(기가바이트) 10억 1,000,000,000 TB(테라바이트) 1조 1,000,000,000,000 PB(페타바이트) 1,000조 1,000,000,000,000,000 EB(엑사바이트) 100경 1,000,000,000,000,000,000 ZB(제타바이트) 10해 1,000,000,000,000,000,000,000 YB(요타바이트) 1자 1,000,000,000,000,000,000,000,000 KB 단위가 익숙해서 MB 가 큰 단위로 인식되던 때가 언제인가 싶다. 이제는 나도 TB의 데이터를 정리하고 보관하는데 말이지. 이 플로피 디스크 가운데에 손가락 넣고 돌리던 때가 생각난다. 5.25인치 플로피 디스크. 용량은 1.2MB. 1.44MB의 3.5인치 플로피 디스크. 이건 대학교 때 참 ..
공포 영화의 다양한 장르? 기준이 없어서 용어만 정리한다 공포 영화에도 종류가 많다. 이런데 보니까 어떤 녀석(?)이 스너프 필름을 영화의 한 장르인 양 넣어서 어이가 없어서 정리한다. 영화 컬럼니스트던데 나름 컬럼니스트니까 나 이렇게 많이 알아 해서 그런 거겠지. 지식 졸부 새끼. 난 이런 새끼들 정말 싫어한다. 너무 많아~ 인터넷 상에 너어~~~무 많아. 여튼 왜 난 스너프 필름을 장르로 보지 않는지에 대해서는 이미 어제 포스팅을 하면서 언급했었으니 그걸 참고하길 바란다. - 과연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스너프 필름(Snuff Film)이란 게 존재할까? 장르를 정리하는 기준 우선 장르를 정리하는 기준이 중요하다 하겠다. 어떤 기준도 없이 그냥 분류할 수는 없잖아? 근데 문제는 기준이 없다. 무슨 말인고 하니 내가 나름 장르를 구분하려고 조사를 해본 적이 있어..
연재 예정 중인 고전 명작들 (2013.04.01 최종 수정) 고전 명작들은 매주 일요일 연재할 예정이다. 근데 내 성격상 이게 언제까지 지켜질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는 거. 그래서 나름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서 연재 예정중인 고전 명작을 한달 단위로 계획을 잡고 업데이트를 할 생각이다. 나름 연재하겠다는 데에 대한 강한 의지의 반영? 그 쯤으로 생각하면 되겠다. 2012년 10월 2012.10.14: 12인의 노한 사람들 (1957) 10점 2012.10.21: 가스등 (1944) 8점 2012.10.28: 노스페라투 (1922) 3점 2012년 11월 2012.11.04: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1943) 6점 2012.11.11: 라탈랑트 (1934) 7점 2012.11.18: 메트로폴리스 (1927) 8점 (잠깐 쉬고) 2013년 1월 2013.01.14:..
내가 고전 명작이라고 칭하는 기준 및 리뷰가 있는 1980년대까지의 명작들 어느 정도 오래 되어야 고전이라고 할 수 있을까? 또 무엇을 두고 명작이라고 할 수 있을까? 랜덤 연재로 올리는(랜덤 연재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리뷰 적는 게 아니라 내가 적고 싶을 때 적는다.) 고전 명작의 기준을 얘기할 필요가 있을 듯 싶다. 그런데 일단 기준을 언급하기에 앞서 1980년대까지의 고전 명작들(그 기준이 무엇이든 간에) 중에서 리뷰가 있는 명작들 리스트부터 언급한다. 내가 본 1980년대 이전까지의 고전 명작들 *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리뷰를 볼 수 있다. 여기 리스트는 계속 업데이트 된다. 1910s 1920s 1930s 1914 국가의 탄생 1916 인톨러런스 1919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 1922 노스페라투 1922 북극의 나누크 1923 우리의 환대 1924 마지막 웃음 1926 ..
Critical Chain I - 왜 프로젝트는 여유가 안 생기는가? 이 글은 "Critical Chain(한계를 넘어서)"를 읽고 정리한 내용이다. 책 내용 중에 볼 것이 많아 리뷰 하나로는 부족할 듯 하여 몇 개로 나누어서 정리한다. 프로젝트의 여유 시간 우리가 보통 어디까지 가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말할 때 일반적으로 평균을 쓴다. 상황에 따라 더 걸릴 수도 있고, 더 빨리 갈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얘기를 할 때는 가장 확률적으로 높거나 걸리는 평균 시간을 얘기한다. 그것을 그래프로 그린 것이 다음이다.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그림과 같이 확률 분포도의 꼬리는 길어진다는 것이다. 롱테일? ^^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평균은 가장 확률이 높은 곳의 오른쪽으로 점점 멀어진다. 즉 여유 시간을 두는 것이다. 어떠한 불확실성에 대한 여유 시간. 프로젝트 예상 시간을 예측할 때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