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1241)
천재는 확률을 계산하지만 승부사는 천재의 판단을 읽는다. 블로그를 위해서 개인 명함을 만들다 보니, 명함을 건네면서 종종 듣는 소리다. 물론 속내는 알 수 없지만, 표현이 멋있다는 얘기도 듣곤 한다. 그 멋지다는 표현은 다음의 표현이다. 난 한 마디로 정의할 수 없다. 가장 비슷한 말이 있다면 그것은 승부사라는 말 뿐이다.승부사라는 말에는 의미가 있다. 그냥 멋있어서 한 말이 아니다. 그것은 feedwave 의 RSS 화면에 명시되어 있다. (물론 최근에 추가했다. 질문을 종종 받기도 해서...) 천재는 확률을 계산하지만 승부사는 천재의 판단을 읽는다.혹시 포커를 좋아하는가? 개인적으로 포커를 좋아한다. 포커는 심리전이다. 확률게임이 아니다. 그런 포커에서 천재는 매우 중요한 순간에 확률을 따진다. 지금까지 나왔던 숫자들, 무늬들을 기억하면서 확률을 따진다. ..
좋은 영화 보고 나니 계속 영화 보고 싶네... 을 보고 나서 내가 지금껏 적은 리뷰 최초로 스틸 컷을 위해서 중요 장면들 다시 Replay를 했었다. 스틸 컷 만들어서 짜르고 사이즈 조절하고 퀄리티 낮춰서(용량 문제로) 리뷰에 삽입하면서 아직까지도 여운이 남아 있는 듯... 사실 여기에 배역을 누가 맡았느냐에 따라서 약간의 영향도 있었을 듯 한데 둘 다 너무나 좋아하는 배우라 더욱더 그랬던 듯 싶다. 결말이 아쉽기는 하지만 그런 결말로 인해 주는 메시지가 분명 있었을 듯... 올해 최고의 평점인 10점 만점을 주었던 영화다. 혼자 보기에는 좀 아까운 면이 많았던 영화였는데... 또 영화를 보고 싶다. 근데 지금 저장된 영화는 이런 류가 아니다. 쩝... 아무래도 유료 P2P 서비스로 들어가서 다운받아봐야할 듯... 동생 껀데... ^^ 돈 주면 되지..
남자 친구와 헤어진 뒤 문자 저와 제 남자친구는 몇일전에 헤어졌습니다. 그리고 핸드폰을 놔두고 잠깐 슈퍼간 사이 그놈한테 문자가 여러개 와 있었습니다. "방금전에 친구들이랑 너네동네 지나가고 있었는데 너 지나 가더라" ☏나쁜놈☏ 12:07 "얼굴이 말이 아니더라. 살도 좀 빠진거 같고 나 보고 싶어서 밥도 안먹고 지내냐?" ☏나쁜놈☏ 12:07 "아님말고..ㅋㅋ..오랜만에 봤는데 인사도 안하고 그냥 가더라?!" ☏나쁜놈☏ 12:08 "우리 친구도 안되냐? 인사 좀 하고살자!!" ☏나쁜놈☏ 12:09 "휴...아무래도 내가 제정신이 아닌가 부다 . 여전히 너밖에 안보인다..어쩌지?ㅠ_ㅠ" ☏나쁜놈☏ 12:10 "보면 승질부터 내려고 했는데! 너 나쁘다고 -_-" ☏나쁜놈☏ 12:12 "ㅋㅋ근데 너보니까 승질은 커녕 심장만 미친듯이 쿵..
많이 아쉬운 '경영학의 아인슈타인' 클레이턴 크리스텐슨의 인터뷰 기사 (6편) 기사참조 : [조선일보] ‘경영학의 아인슈타인’ 역발상 경영을 외치다 6. 인간적인 매력은 있지만 지식인으로는 별로 존경하지 않는... 인터뷰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도 할 말이 있다. 그러나 이 정도면 충분히 내 얘기는 보여줬다고 생각한다. 아이디어를 가진 인재라는 부분은 동의하는 부분이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은 내 경험상에서 얘기할 수도 있는 부분이다. 기회가 되면 다른 글로 포스팅하겠다. 글 제목을 비공개로 적어두었기 때문에 언젠가는 적을 예정이다. 언제가 될 지는 알 수가 없지만... 또한 그가 얘기하는 비소비(non-consumption)이라는 것도 광범위하게 생각해보면 블루오션하고 다를 바 없다. 그리고 그에 따른 인터뷰 기사 중에 중국에 대한 얘기도 그렇구나 생각되기도 하지만 동의하..
클레이턴 크리스텐슨 교수의 '고객을 무시하라'는 것은... 최근에 gmail로 누가 대화를 신청했길래 수락하고 이렇게 물었었죠. "Who r u?" 왜냐면 대화명이 cretoris 더군요. 발음을 자칫 잘못하면 이상한 부위가 됩니다. ㅋㅋㅋ 저는 성인물 취급하는 사람인가 했었죠. 홍보하려고 하는... 뭐 그런... 블로그를 통해서 알게 되었고 클레이턴 크리스텐슨 글을 보고 대화신청했다고 합니다. 본인은 크리스텐슨 교수를 옹호하는 입장이라면서. 그래서 비판의 소지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글이다는 것을 인정하고 어떤 면이 그런지를 물어보면서 대화를 시작했습니다. 새롭게 알게된 사실이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대화 끝날 즈음에 한 수 배우려고 대화 신청했다는데 오히려 제가 배웠던 시간이었지요. 나이를 물어봤더니 24살의 혈기 왕성한 친구였죠. 역시 지식에는 나이가 필요..
많이 아쉬운 '경영학의 아인슈타인' 클레이턴 크리스텐슨의 인터뷰 기사 (5편) 기사참조 : [조선일보] ‘경영학의 아인슈타인’ 역발상 경영을 외치다 5. 그는 교수이지 지식인은 아니다. ‘파괴적인 혁신’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파괴적 혁신이란 듣지도, 보지도 못한 제품을 개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결국 고객들이 하고 싶었지만 못했던 일을 가능하게 해주는 게 가장 중요한 일이죠.내가 을 읽었을 때 파괴적 혁신이라는 것에 대해서 위와 같은 생각이라는 것은 읽고나서 못 느꼈던 부분이다. 그 때는 지식이 지금보다 덜해서 그것을 파악 못했는지 아니면 그의 사상 저변이 나랑은 맞지 않다고 생각해서 수용할 자세가 안 되었는지 모르겠다. 어쨌든 이 말은 들을 만 하다. 맞는 말이기 때문이다. 근데 여전히 그의 말들을 가만히 보면 지가 더 낫다, 똑똑하다는 입..
박현주 최초공개 '나의 증권인생 24년' 내 네이버 블로그에 있는 스크랩을 가져온 것이다. 네이버 블로그는 개인 홈페이지 막아두고 한동안 스크랩 전용으로만 썼던 블로그였다. 물론 스크랩된 내용들 다 비공개였지만... 출처가 어디인지는 모르겠다. 2006년 8월 30일에 스크랩한 것인데, 그 이전에 인터뷰했던 내용인 듯. 워낙 박현주 회장이 인터뷰를 하지 않는 사람인지라 최초공개라는 말을 쓴 듯. 읽어보고 알고 있었던 내용(사장한테 들은 내용. 지금 회사 사장이랑 박현주 회장이랑 중,고등학교 동창)도 있었지만 나름 이런 저런 얘기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바 있어 옮겨둔다. 긴 글이니 읽으려면 시간을 좀 들여야 할 듯. IMF 구제금융사태라는 초유의 국가위기상황은 역설적으로 수많은 '스타'를 배출했다. 주식시장을 포함한 금융계 인사들도 적지 않았다..
Impossible is nothing 내 직업은 1. 변호사이면서 2. 방송도 하고 3. 책을 쓰고 있다. 평생 소원이 1년에 1권씩 평생 책을 내는 것이다. 4. 글도 쓴다. 모 신문사에 경제기사를 1주일에 2개정도 쓴다. 5. 또 오늘과 같은 특강도 한다. 평균 1주일에 2회 정도 6. 증권분야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가 있는데 회원수만도 3만5천명 정도 된다. 나름대로 홈페이지 관련 사업을 하나 구상 중인 것도 있다. 7. 마지막으로 대학에서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이처럼 내가 하고 있는 일이 무척 많은 것 같고, 어떻게 이걸 다 할까 생각이 들겠지만 다 가능하다. 이 중에서 한가지만 하더라도 힘들다고 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가능하다고 생각하면 다 가능하다.고승덕 변호사의 말이다. 뭐 이 분이야 라는 책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