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

(5)
간단정리 012. 이로운 벗과 해로운 벗 孔子曰, 益者 三友, 損者 三友, (공자왈, 익자 삼우, 손자 삼우) 友直 友諒 友多聞 益矣, (우직 우량 우다문 익자) 友便僻 友善柔 友便佞 損矣. (우편벽 우선유 우편녕 손자) - 論語 季氏篇(논어 계씨편) 이로운 벗 ① 우직(友直): 정직한 벗 친구라고 편드는 게 아니라 잘못된 것은 잘못되었다고 얘기해주는 벗. 정직하게 직언하는 친구. ② 우량(友諒): 신실한 벗 매사에 신의가 있고 성실한 벗을 말한다. 믿을 만한 친구. ③ 우다문(友多聞): 견문이 넓은 벗 해박한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어 견문이 넓은 벗. 이렇게 보니 나네? 음. 내 친구들은 좋겠네. 이로운 벗을 둬서. ㅋㅋ 해로운 벗 ① 우편벽(友便僻): 자기중심적인 벗 자기 편의대로 해석하고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는 벗. 이익 여부에 따라 배..
간단정리 011. 군자를 모실 때 범하기 쉬운 세 가지 과실 言未及之而言 謂之躁(언미급지이언 위지조) 言及之而不言 謂之隱(언급지이불언 위지은) 未見顔色而言 謂之瞽(미견안색이언 위지고) - 論語 季氏篇(논어 계씨편) 묻기도 전에 먼저 입을 여는 것은 조급함이요, 윗사람이 말을 했는데도 대꾸하지 않는 건 은닉하는 것이요, 윗사람의 분위기를 살피지 않고 말하는 건 눈치 없음이라. 맘에 드네. 난 제일 맘에 안 드는 게 두번째다. 윗사람이 말을 했는데도 대꾸하지 않는 거. 답답해 미친다. 있는 그대로 얘기하고 이해를 구하면 될 것을 얘기도 안 하고 묵묵부답. 환장하지.
도올논어 3 도올논어 3 김용옥(도올) 지음/통나무 많은 상반된 의견이 있다. 안다는 지식인들은 도올을 비판한다. 충분히 비판할 여지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비판하고 싶지 않다. 내가 논어를 잘몰라서 그렇기도 하거니와 그들처럼 공부를 했다면 나도 도올을 비판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나는 해석에서는 자유가 주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기독교 종파가 많은 것도 성경 해석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다르듯이 해석에는 자유가 주어져야 한다고 본다. 최소한 도올을 비판하는 그들이 하지 못한 논어의 대중화에 대해서는 그들도 도올을 인정해야만 하는 "사실"이다. "사실"은 해석이 필요가 없는 것으로 있는 그대로의 현실이다. 적어도 그런 관심을 가졌기에 많은 사람들이 이 시대에 논어를 다시 보고 깨달으려고 하는 것은 지식..
도올논어 1 도올논어 1 김용옥(도올) 지음/통나무 나는 도올을 존경한다. 도올을 존경한다는 의미는 맹신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적절한 비판을 가지고 수용할 것을 수용하지만 한 시대를 앞서 나간 현인으로서 비판할 것이 있다 하더라도 마음 속으로만 하고 현인으로서 예우를 다 하는 것이다. 난 존경이라는 말을 쓸 때는 항상 나보다 한 분야에서 앞서서 뭔가를 깨우친 사람에게 존경이라는 단어를 쓴다. 도올의 사상이 어떻든지 그가 비판하는 바가 어떻든지 나 또한 도올을 비판하려면 얼마든지 비판할 수는 있지만 그것은 중요한 맥이 아니다. 사람이 다른 사람을 비판할 때는 Case 적으로 흐르기가 쉽다. 상대의 지식이 충분히 그러한 다른 여러 사항들을 알만하다고 판단이 되면 인정하고 수용할 줄 알아야 한다. Case 적인 비판은 상..
商道 1 : 천하제일상 商道 1 최인호 지음/여백 재밌게 읽은 소설이긴 하다. 그러나 재미를 넘어서 아래 내용의 정리를 보면 알겠지만 깊은 깨달음이 있는 구절들이 꽤나 있다. 내가 불교를 종교로서 보는 것이 아니라 철학으로서 보면서 공부해볼 만하다고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1. 의 이인(理仁)편에 나오는 구절 "사람이 이익대로 한다면 원망이 많다. 이익이란 결국 나 자신을 위하는 것이니 필히 상대방에게 손해를 주는 결과가 된다. 그래서 이익을 쫓으면 원망을 부르기 쉬우니 결국 '의를 따라야 한다.' 따라서 '군자가 밝히는 것은 의로운 일이요, 소인이 밝히는 것은 이익인 것이다." 理 : 다스릴 이 仁 : 어질 인 결국 어떤 형태의 '옳은 일'은 크건 작건 그냥 사라지는 법이 없이 반드시 좋은 열매를 맺게 되어 있다. 그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