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13)
사람이 불합리한 권위 앞에 복종하는 이유 왜 사람들은 비인간적인 명령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일까? 왜 정의롭지 못한 권력자의 명령을 거부하지 못하는 것일까? 왜 평범한 사람들이 끔찍한 대량학살을 저지르는 것일까? 이것이 스탠리 밀그램(Stanley Milgram) 교수가 1961년 했던 전기 충격기계 실험의 이유였다. 그리고 이것을 막기 위해서 취할 수 있는 것은??? 바로 불합리한 명령을 내리는 권위자와의 관계를 완전히 단절하는 것이다. 나는 에 언급된 스탠리 밀그램의 실험을 보고 잘못 이해하고 있었다. 이 동영상에서 보여준 붉은털 원숭이의 실험을 보면서 느꼈다. 붉은털 원숭이가 보여준 것은 바로 생이지지(生而知之)다. 이 실험이 붉은털 원숭이가 인간보다 낫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 붉은털 원숭이보다 나은 인간이 당연히 알만한 것을 왜..
[추천블로그] 2. 월덴 3 - 심리학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들 블로그 주소 : http://walden3.kr 어차피 소개하려고 했던 블로그였는데 Sujae님 덕분에 필 받아서 바로 포스팅합니다. 아마 책을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아실 듯한 서비스 오픈유어북에서 알게된 분입니다. 오픈유어북 이번 개편에는 없어졌지만 기존에는 트랙백 순위가 있었습니다. 그 트랙백 순위에 1위로 계셨던 분이 바로 이 월덴지기님입니다. 그 이후 제가 1위를 탈환했지요. ^^ 그래서 알게된 블로그였습니다. 오픈유어북 개편 이후에 없어진 트랙백 기능이 복구되자 마자 떠오르던 블로그였지요. 근데 공교롭게도 월덴지기님도 트랙백 기능이 복구되자 제가 떠오르더라는... 공통 관심 분모인 책이 이렇게 사람을 연결시키더군요.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제가 관심 있어하는 분야 중에 심리학이 있습니다. 그 심..
프리즌 브레이크의 주인공이 갖고 있는 질병 잠재억제부족(low latent Inhibition) 요즈음 주위 지인들의 권유로 프리즌 브레이크를 보고 있는 중이다. 시즌1의 에피소드9에서 매우 내가 관심있는 주제를 발견했다. 주인공이 갖고 있는 정신병인 잠재억제부족이라는 것에 대해서 말이다. 드라마에서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잠재억제부족 증상을 보이는 사람은 이 전등처럼 우리와 다를 바 없이 일상 사물을 보지만 외형만 보는 일반인과 달리 전등의 전부를 파악합니다. 몸체, 전구, 볼트 심지어 안에 볼트 와셔까지요. 그들의 뇌는 주위 환경의 자극에 훨씬 민감하거든요. 우리 같은 보통 사람의 뇌는 그런 자극을 차단해서 이성을 잃지 않도록 하게 됩니다. 지능이 낮은 사람에게 잠재억제부족 현상이 일어나면 거의 모두 정신병으로 발전하게 되지만 지능이 높은 사람이라면 창의력 풍부한 천재가 되죠. 이 정도만으로도..
사후 과잉 확신 (hindsight bias) 사후 과잉 확신 (hindsight bias) 현재에만 존재하는 결과론적인 지식이 과거에도 존재했던 것처럼 착각하고는 '내 그럴 줄 알았지', '난 처음부터 그렇게 될 줄 알았어!'라고 말하는 것. 글자 그대로 결과를 알고 난 후에 '뒤에서 보면' 모든 것이 분명하게 보인다는 것이다. 출처 : * * * 아주 일반적인 얘기로 설명했지만 많은 곳에 적용 가능하다. 물론 우리가 미래에 대한 통찰을 기르기 위해서는 역사 즉 과거를 돌아볼 수 밖에 없겠지만(역사는 반복된다고 하지 않던가?) 대부분의 얘기들은 단기간의 관점에서 분석을 통찰력이라고 얘기하는 경우가 많다. 많은 경영이론에서 보이는 사례연구의 허를 포스팅하면서 얘기했던 부분이지만 대부분 '뒤에서 보고' 판단하기만 하는 경향이 짙다. 사실 미래에 대한 ..
내가 보는 세상의 틀에 대한 다양한 얘기들 <프레임> 프레임 최인철 지음/21세기북스(북이십일) 2007년 7월 26일 읽은 책이다. 처음에 이 책을 접할 때는 심리학 서적인 줄 알았다. 물론 사람의 심리에 근거를 두고 많은 사례를 다루고 있기는 하나, 심리학 서적이라고 하기 보다는 자기계발 서적이라고 보인다. 그만큼 대중성 있는 책으로 구성한 듯 하다. 그래서 심리학에 대한 조금 깊이 있는 얘기를 바라는 사람들에게는 별 도움은 안 될 듯 하다. 여기에 나온 사례들 중에서 일부는 나도 기존에 알고 있었던 사례들도 있었다. 이론을 얘기해도 사례부터 먼저 나오고 이론은 아주 짤막하게 한 줄 정도 언급하고 있다. 이런 게 이런 효과라고 한다. 뭐 이런 식으로... 심리학을 좋아하지만 학문적 맥락에서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성 있는 얘기들 속에서 심리를 엿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