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2160)
블랙머니: 영화적 재미는 없지만, 기억해야할 사실들 #0 우선 실화를 기반으로 했다고는 하지만, 주요 부분에서는 사실과 다른 면이 많은 영화기 때문에 론스타의 외환은행 매각과 관련해서는 찾아보길 바란다. 개인적으로 사회 고발성 영화를 좋아하긴 하지만, 이 영화는 너무 뻔한 전개로 인해 조진웅의 열연에도 불구하고 영화적 재미는 없었던 영화다. 다만 이런 영화로 인해 과거에 이런 일이 있었다는 리마인드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그걸로도 충분히 의미 있다 생각할 뿐. 물론 그런다고 해서 달라지는 건 없지만 의식이라도 깨어 있어야 언젠가는 이런 일에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일어나지 않는 날이 오지 않겠냐 싶다. #1 가장 눈여겨 봐야할 부분은 모피아 관련이다. 딱 일제 시대 때 매국노 닮았다. 그들도 논리는 있다. 그래서 그런 얘기를 들으면 그럴 듯 하기도 하지. ..
인 타임: 돈이 곧 시간인 독특하다 못해 끔찍한 세상 #0 영화를 보는 순간, '발상 독특하네' 하는 생각이 들었다. 보통 우리는 얘기하곤 한다. 아무리 돈이 많아도 돈으로 살 수 없는 게 있다고. 그 중에 하나가 시간일텐데, 이 영화에서 그려지는 세상은 다르다. 시간=돈이니까. 커피를 마실 때도 시간으로 산다. 그 시간이란, 내가 25살이 되었을 때 1년을 부여받게 되는데, 이 시간을 다 쓰게 되면 죽는다. 일을 해서 버는 돈이 곧 시간이다. 즉 일해서 시간을 벌어 생명을 연장한다는 얘기. 임금에 비해 물가 상승이 더 높으면 더 열심히 일해야 하는 꼴이다. #1 게다가 영화에서는 한 가지가 더 추가된다. 25살이 되면 노화가 멈춘다. 고로 부자면 늙지도 않고 평생 젊게 사는 거다. 독특하다 못해 끔찍한 세상이 되는 셈이지. 이런 설정만 봐도 이 영화가 주..
쿼바디스: 네로 황제가 통치하는 로마 시대의 베드로 순교를 다룬 종교 영화 (1951) #0 유명한 고전인데, 이제서야 봤다. 여러 고전들을 많이 봤지만, '쿼바디스'를 안 봤던 이유는 종교 영화라서다. 보고 나서 드는 생각 또한 딱 종교 영화. 그리 따지면 '십계'도 종교 영화긴 하지만, 그건 내가 챙겨서 봤다기 보다는 어렸을 적에 TV에서 종종 방영해줬기 때문에 본 거였지. 로마 시대를 배경으로 한 고전 중에서는 개인적으로 '벤허'가 탑인 듯. #1 제목인 쿼바디스(Quo Vadis)는 '어디로 가시나이까?'란 뜻. 베드로가 그리스도에게 했던 질문인데, 이는 영화 속에 잘 나타난다. 영화의 원작이 소설이라고 하는데, 뭐 성경을 기반으로 한 거에 대해서는 It's OK라 하더라도 역사적 왜곡이 있는 부분이 있다는 점은 지적해야 할 부분이다. 이런 부분 때문에 역사 소설이나 역사를 배경으로..
통 메모리즈: 원작자가 학교 선배 같은데... #0 오래 전에 본 영화인데, 유투브에서 짤방 같은 거 보다가 생각나서 끄적. 웹드라마 형식으로 나온 걸 합쳐서 영화로도 나왔던 거 같던데, 내가 본 게 이 버전이었다. 근데 이게 웹드라마 이전에 웹툰이 있었고, 원작 소설이 또 있었네. 웹툰이나 원작 소설은 내가 안 봐서 모르겠다만, 거기서도 학교명이 내가 본 영화에서와도 같나? 만약 그렇다면 원작자가 같은 학교 출신 같은데... 실제 있었던 일이라서가 아니라 학교명이 내가 다니던 학교의 주변 학교들과 비슷해서. #1 영화 속 동하고: 실제 동아고 영화 속 태동고: 실제 대동고 영화 속 해룡고: 실제 해동고 주인공 이정우가 나왔다고 하는 영화 속 상평중학교는 실제로 장평중학교. 이거 다 같은 구역에 있는 학교거든. 근데 주인공이 동하고잖아. 그러니까 원..
인투 더 와일드: 안타깝 #0 내 4,060번째 영화. 영화는 아주 간만에 보네. 요즈음 정말 시간이 부족해서 잠도 많이 못 자고 있는 편인데, 이렇게 영화 한 편 보는 여유를 부리다니. 잔잔한 영화지만 개인적으로 이런 영화 싫어하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선호하지도 않는다. 다만 이런 류의 영화가 땡길 때가 있잖아? 그래서 개인 평점은 후하게 8점 준다. #1 실화를 기반으로 한 영환데, 나는 실화를 알고서 본 거였다. 어떤 뉴스에서 영화에도 등장하는 주인공이 기거하던 버스를 미군이 철거하는 걸 다루면서 알게 되어서 영화가 있다길래 찾아본 거였다. 궁금해서. 뭐가? 왜 그랬을까?는 생각에. 어떤 배우가 나오는지조차 모르고 봤는데, 보니까 그래도 낯익은 배우 몇 나오긴 하더라. 그 중에 가장 유명한 배우가 크리스틴 스튜어트. 잠깐 ..
퍼스트맨: 인류 최초의 달 착륙자, 닐 암스트롱 #0 나의 4,057번째 영화. 정말 오랜만에 보는 영화인 듯. 2018년도 영화인데 이런 영화가 있었다는 것조차 몰랐던 거 보면 확실히 요즈음 내가 영화에 관심이 덜하긴 한 모양이다. 내가 좋아하는 배우 라이언 고슬링 주연의 영화인데, 감정의 기복 없이 단조롭게 흘러가서 다큐멘터리 같은 느낌도 준다. 그래서 아마 호불호가 갈릴 듯 싶은. 개인적으로는 나쁘진 않았다. 요즈음 다큐멘터리만 주로 봐서 그런 지는 몰라도. #1 주인공은 아폴로 11호를 이끌던 닐 암스트롱이다. 당시 배경에 대한 얘기는 굳이 설명하지 않겠다. 이미 많이 알려진 바이니.(모르면 아래 영상 참조.) 영화에서 집중하는 건 그런 게 아니다. 달 착륙을 준비하는 과정을 시간 순대로 보여주긴 하지만 그 과정 속에서 닐 암스트롱의 심리 묘사..
다시, 학교 1부 - 가르치지 않는 학교: 본질을 먼저 생각해야지 #0 10부작 다큐멘터리라 1부만 보고서 뭐라 하기는 그렇다만, 1부만 놓고 보면 참 답답하더라. 어쩌면 1부다 보니 이런 부분을 보여주고 즉 문제 제기를 하고, 개선안을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주려고 그런 건가 싶은 생각이 들긴 하더라. 아들을 통해서 요즈음 학교 교육이 우리 때와는 많이 다르다는 걸 느끼긴 했는데, 다 이유가 있었던 거였네. #1 좋은 취지가 좋은 결과를 낳지는 않는 법이지만, 그래도 좋은 취지로 그런 거니 피드백을 받으면서 개선을 해야할 부분이 많아 보인다. 주입식 교육보다 자기 주도형 학습, 참여형 학습이라는 말 그 자체에 너무 집중했던 건 아니었나 싶다. 본질을 생각해야지. 왜 교육을 하는데? 예를 들어 역사라면 왜 우리는 역사를 가르치느냐는 거부터 시작해야하지 않을까 싶다. #2 ..
소셜 딜레마: 소셜 미디어의 폐단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0 나는 언제부턴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지 않게 됐다. 어떤 인문학적 고찰을 통해서가 아니라 지인들 중심으로만 관계를 형성했었는데, 꼴불견을 하도 많이 봐서다. 관계라고 쓰고 영업이라 일컫는 경우, 자신이 마치 원래 그랬던 것처럼(물론 뭔가를 통해 깨달았을 수도 있겠지만, 그럼 그런 게 보여야지. 맥락이 없어.) 이미지 메이킹하는 경우 등을 보면서 역겹더라. 그래서 별로 그런 거 활용하고 싶지 않았다. #1 이 넷플릭스 다큐는 소셜 미디어의 폐단을 인문학적으로 접근한다. 조금 신선했다. 이런 생각을 하는 아메리칸도 있구나. 그들도 문제 의식을 갖고 있구나. 이 또한 선입견이겠지. 인문학이라고 하면 동양적인 사고 방식이라고 생각했었던 나니까. 다큐에서는 사람을 상품이라고 얘기하지만, 개인적으로 비약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