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2161)
그랜드 피아노: 예고편만 괜찮았던 스릴러 나의 3,350번째 영화. 예고편 보고 괜찮은 스릴러 같다는 생각에 봤는데 별로네 그랴. 주연은 에서 프로도 역을 맡았던 일라이저 우드가 맡았는데 이 배우 때문에 본 건 아니다. 그래도 존 쿠삭, 탐신 에거튼이 나오고 스토리가 괜찮을 거 같아서 본 건데 그저 그랬다. 에서는 탐신 에거튼 왜 이렇게 싸게 보이지? 확실히 아무리 외모가 어떻다 해도 말과 행동이 어떠냐에 따라 이미지가 많이 달라보인다는. 재미 없지도 재미 있지도 않은 타임 킬러용 영화. 개인 평점은 6점 준다. 예고편
헤라클레스: 레전드 비긴즈 - 간만에 본 삼류 영화 나의 3,349번째 영화. 참 이렇게 간만에 애들 영화 보기는 첨인 듯 싶다. 감독이 레니 할린이라 그래도 어느 정도는 하겠지 싶었는데, 어쩜 이렇게도 실망을 주는지. 그리고 나만 그렇게 느꼈는지 모르겠는데, 초반 전투씬은 너무 과한 CG 때문에 나는 애니메이션인 줄 알았다. 스토리 전개도 너무 식상하고, 비주얼도 요즈음 SF 영화에 비할 바 안 되고. 여러 모로 추천하고 싶지 않은 영화다. 개인 평점 5점 준다. 아무래도 올해 개봉하는 또 다른 헤라클레스를 기대해봐야할 듯. 예고편
원 챈스: 폴 포츠의 감동 실화를 영화화 나이 3,348번째 영화. 이제는 누구나 다 잘 아는 폴 포츠의 삶을 영화로 만든 거다. 어렸을 적부터 브리튼즈 갓 탤런트에 출연하면서 명성을 얻기까지. 벌써 7년이나 되었네. 브리튼즈 갓 탤런트 예선에 나온 게 말이다. 참 세월 빠르다. 브리튼즈 갓 탤런트 예선에 나왔던 영상을 봤을 때는 정말 감동적이었다. 그 때 보고 나서 블로그에 적은 글도 있고 말이다. - 꿈을 포기하지 않는 Paul Potts의 감동적인 스토리 핸드폰 판매원이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브리튼즈 갓 탤런트에 출연하기 전에 에 보니 베니스 음악학교에서는 자신의 우상인 루치아노 파바로티 앞에서 노래를 할 수 있는 기회까지 얻었더라고. 물론 자신감 부족으로 그 기회가 오히려 독이 되었지만 말이다. 재미없다고 할 수는 없지만 확실히 브리튼즈..
미하엘 콜하스의 선택: 권력의 횡포에 맞선 한 남자의 정의, 한스 콜하제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나의 3,345번째 영화. 간만에 괜찮은 영화 본 듯. 오고 가는 대사 속에서 생각해볼 만한 게 있었고, 미련할 정도로 자신의 원칙을 지키지만 멋있었던 캐릭터가 있었고, 그 캐릭터를 아주 훌륭하게 소화해낸 매지 미켈슨이란 연기자가 있었다. 대중들이 좋아할 복수라는 테마이긴 하지만 스토리 전개에 강약이 없어 어찌보면 지루하다 생각할 수도 있는 영화라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잔잔하면서도 묵직하게 전달되는 무엇인가가 있는(그 무엇인가가 모든 이들에게 똑같은 결론을 내게 하는 게 아니라 생각해볼 수 있게 하는) 영화인지라 개인적으로는 인상 깊었던 영화다. 개인 평점 후하게 9점 준다. 강추. 실존 인물, 한스 콜하제(Hans Kohlhase) 영화 속의 미하엘 콜하스는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의 단편 소설 속 주..
365일 by 알리: 가사가 참 가슴에 와닿는다 TV 프로그램에서 얼핏 보고 알긴 아는 가수인데, 노래를 잘 부르는 지는 잘 모르겠더라고. 왜 방송에서는 그리 원곡을 편곡하면서 기교를 많이 섞는지. 그닥 이쁘지도 않고 말이지. 근데 365일이란 곡 듣고 나니 음 괜찮네라는 생각이 들더라고. 이거 아이리스 OST였구먼. 나야 뭐 TV를 안 보니까~ 가사가 참 현실적이라서 공감이 많이 되더라는. 이건 불러볼 노래가 아니라 듣기만 하는 노래인 걸로. ^^; 365일 알리 우리 이별을 말한 지 겨우 하루밖에 지나지 않았어 하지만 너무 이상하게도 내 맘은 편안해 자유로운 기분 이틀 이틀 째가 되던 날 온몸이 풀리고 가슴이 답답해 삼일째 되던 날 내 심장 소리가 너무 커서 잠도 못자 나흘 되던 날 눈앞이 캄캄해 지고 오일 되던 날 눈물만 주루룩- 엿세 되던 날 ..
바람기억 by 나얼: 따라 부르고 싶어도 높아서 못 부르는 노래 이런 노래가 있는 지 몰랐다. 우연히 들었는데, 기성용의 부인이 된 한혜진의 전 남친인 나얼이 불렀네. 나얼 노래 잘 하는구나~ 몰랐심. 한혜진이 나얼을 사귄 이유를 알 수 있을 듯. 이렇게 노래 부르면 안 좋아할 여자 별로 없을 듯 싶다. 나도 이 노래 잘 부르고 싶지만 너무 높을 거 같다. 한 번 노래방에서 연습 삼아 불러봐야지. 아마 안 올라갈꺼야. 상당히 높다. 높은 걸 낮게 부르면 되지? 이거 찾아보니까 3옥타브 정도 차이란다. 한 곡에서 이 정도 차이가 난다면, 낮게 불러도 3옥타브를 소화할 수 있어야 되는데 난 안 돼. 부르다가 욕 나올 듯. ㅋㅋ 바람 기억 나얼 바람 불어와 내 맘 흔들면 지나간 세월에 두 눈을 감아본다 나를 스치는 고요한 떨림 그 작은 소리에 난 귀를 기울여 본다 내 안에..
다이애나: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은 그녀는 한 남자를 사랑하고 싶었다 나의 3,344번째 영화. 보고 싶었던 영화였다. 왜? 내가 좋아하는 나오미 왓츠가 나오고, 나오미 왓츠의 다이애나 연기를 보고 싶었기 때문. 포스터에서 보고서는 싱크로율이 꽤 괜찮은 거 같아서 말이다. 사실 다이애나 왕세자비보다는 나오미 왓츠가 외모는 더 낫다고 본다. 그러나 다이애나 왕세자비의 키는 178cm, 나오미 왓츠의 키는 164cm. 일단 다이애나 왕세자비 옆에 서면 왕세자비라는 신분도 신분이지만 그 큰 키에 기가 죽을 듯. 이번에 알았다. 다이애나 왕세자비의 키가 이렇게 큰 줄은. 178cm라. 헐~ 나오미 왓츠 때문에 보긴 했지만, 덕분에 다이애나 왕세자비에 대해서 알게 된 계기는 된 듯. 영화는 나름 실화에 충실하려고 했던 거 같지만 사람들의 말을 전해듣고 영상으로 만든 것인지라 사실과..
로보캅: 내가 태어나서 처음 본 비디오 <로보캅>의 리메이크작 나의 3,346번째 영화. 내 기억 상으론 내가 본 최초의 비디오가 로보캅이 아니었나 싶다. 비디오 플레이어가 가정에 별로 없던 시절에 친구네 집에서 봤었던 기억이 난다. 그 친구 아직까지도 카톡하고 만난다. 내 친구 중에서 몸 하나는 최고인 친구. 그런 아련한 추억 때문에 사실 기대도 조금 하기도 했고, 괜히 예전에 봤던 로보캅 이미지를 망치는 게 아닌가 싶은 우려도 했지만 보고 나니 나쁘진 않더라는. 너무 오래 전에 본 1987년작 에서도 2014년작 과 같이 인간과 로봇 사이에서의 고뇌가 담겨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여튼 이 정도면 그리 나쁘지 않은 듯 싶은데 생각보다는 흥행 성적이 좋지는 못하다. 소설을 원작으로 해서 영화화한 경우와 기존 영화를 리메이크한 경우를 보면 아무래도 리메이크한 작품 흥행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