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테의 취향 (5892) 썸네일형 리스트형 무서운 고삐리들... 오늘 운동 마지막 날이다. 3개월 만기되는 날. 물론 연장할 거긴 하지만, 이번주는 글쎄... 날씨가 더우니 운동하면서 땀을 많이 흘리기도 하고 쉽게 지쳐서 운동이 예전만큼 잘 되지는 않는다. 그래도 연장은 할 생각이다. 이번 주말이나 다음주 초에 담배 사러 나갔다가 내가 사는 아파트 놀이터에서 담배피는 고삐리 둘을 봤다. 어떤 경우에는 좀 많은 수의 고삐리들이 있는 곳. 뭐 나도 고삐리 시절에는 그랬으니... "캬악~ 퉤" 소리가 들린다. 쳐다봤다. 쳐다본다. 어라~ 사실 고삐리 시절에는 눈과 눈이 마주치면 일단 기싸움부터 시작하곤 했다. 밀리지 말아야지. 상대가 먼저 돌리지 않으면 그 때는 싸움이 나는 거였다. 간이 배 밖으로 나온 시절이라... 지금에야 나이가 몇인데... 근데 문제 발생. "아저씨.. 많이 아쉬운 '경영학의 아인슈타인' 클레이턴 크리스텐슨의 인터뷰 기사 (3편) 기사참조 : [조선일보] ‘경영학의 아인슈타인’ 역발상 경영을 외치다 3. 역시 단편적인 생각이다. 왜 이면적으로는 생각 못할까? 두번째 단락은 "대기업들은 저가 시장 사수해야"라는 글이다. 역시나 너무 단편적인 사고에 치우쳐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강유원 교수님이 도올을 비판하면서 '멘토링 없는 독학의 한계'라고 명명했듯이 나는 경영을 해보지 않고 사람을 관리해보지 않은 사람이 가지는 Academy의 전형적인 한계라고 얘기하고 싶다. 이 단락에 든 예 또한 그렇다. 내가 전략을 짜면서 항상 생각하는 게 있다. 내 전략이 마치 내가 생각하는 게 맞다라는 것에 대한 참조사례를 찾는 것은 아닌가? 즉 내 우물에 빠지는 것은 아닌가 하는... 그래서 항상 자기 부정을 반복해야 한다는 말을 되뇌이는 것.. [Forbes] 6월호 김병주 칼럼 <자본주의의 적은 자본가다> 링크를 걸려고 했더니 이번 호라 다음달 정도 되어야 글이 공개가 될 듯 하다. 글 속에서 해박함이 엿보인다. 글에 대한 무슨 생각을 적으려고 한 것이 아니라 몇 가지 인용해둘 것이 있어서 적는 글이다. 해외 탈출로 회피할 수 없는 대항세력이 있는데 그것은 비판을 생명으로 여기는 지식계층이다. 이들이 자본주의 종말에 결정타를 먹인다는 것이 슘페터의 예언이었다.슘페터가 누군지 모른다. 그래서 알아봤다. 아주 재밌는 그의 저서를 발견했다. . 여기에서 자본주의의 붕괴를 예측했다고 하는데 사뭇 궁금해진다. 조사를 면밀히 더 해보고 싶은 강한 욕구가~~~ 피터 드러커의 에서는 피터 드러커의 견해에 대해서는 별로 동의를 하지 않았는데 그것은 위 책의 리뷰인 다음 글에서 확인 가능하다. 탈자본주의사회일까? 자본의 지.. 난해한 스탠리 큐브릭의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v2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포토 감독 스탠리 큐브릭 개봉일 1968,영국,미국 별점 date : Sep 12, 2005 / film count : 2341 1968년에 만들어진 영화로 SF 의 최대 걸작이라고 일컬어지는 작품이다. 우선 시각적인 효과 즉 특수효과가 년도를 생각하면 화려하다. 40년 전에 만들어진 것이라고는 보기 힘들 정도로. 슈퍼맨이 10년 뒤인 1978년도에 만들어졌다고 생각하면 감이 오는가? 지금의 컴퓨터 그래픽 기술이 아닌 합성과 미니어처 그리고 세트장으로 촬영했다는 것이 보이긴 하지만 그래도 흠잡을 데 없는 시각 효과인 듯 하다. 그래서 아카데미 시각효과상을 수상한 듯... 더욱더 놀라운 사실은 이 영화가 인간이 달을 정복하기 이전에 만들어진 영화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영화를 본 사.. 익명 덧글에 대한 삭제는... 익명의 덧글이라도 남겨둘만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삭제한다. 그런 덧글은 대부분이 욕이 들어간 덧글이다. 난 차라리 욕을 해도 자신을 떳떳이 밝히고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렇다고 밝히고 욕해라는 소리는 결코 아니다. 사이버 공간에서 욕은 해서 득이 될 것이 전혀 없기에 안 하는 것이 상책이다. 물론 블로그가 없는 경우나 홈페이지가 없는 경우도 있다. 그런다 해도 익명이 주는 혜택 때문에 욕을 맘대로 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그들 스스로에게 되물어봐야 한다. 익명이 아니라 실명이고 나 자신이라는 존재가 드러나는 경우라고 한다면 그렇게 함부로 얘기를 하지는 못할 것이다. 비판과 비난은 다르다. 비판은 왜 그런지에 대한 이성적인 이유 제시가 분명해야 하는 것이고 비난은 단편적인 사고에 감정을 섞은.. 어쩐지... 눈이 매섭다 했어~ 오늘 간만에 운동을 가서 열심히 운동을 하는데, 저 쪽에 한쪽 팔이 용문신인 사내가 있었으니, 어라? 새로 들어왔나 보네? 근데 생활하는 사람은 아닌 거 같고. 가만히 보니 내가 자주 가던 동네 갈비집 사람 아닌가??? 4층 전체가 한 주인이 운영하는 곳인데, 2층에는 횟집, 3층에는 갈비집, 4층은 노래방인 곳이다. 최근에 두번 연일 갔더니 서로 얼굴을 아는... 예전에 동생인가 하고 갔다가 내가 무슨 말 실수를 했는지 매섭게 쳐다보더만. 그래서 그 매서운 눈을 기억하고 있었지... 그런다고 쪼나? 어쨌든 좀 놀았나 보다 싶었는데 헬스장에서 보니 왠 문신... 얼굴보더니 아는 척 하길래 (아는 사람 알겠지만 난 먼저 아는 척 어지간해선 잘 안한다. 고쳐야지~) 나도 아는 척 하고 이런 저런 얘기를 나눴.. 하야부사(GSX1300) 310km/h 쾌속질주 씬~ 멋진 동영상이 있어서 퍼왔다. HAYABUSA GSX 1300 모델의 310km/h 쾌속질주하는 모습이다. 보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후덜거린다. 차로도 달려보지 못한 시속 310km/h라... 그것도 아무리 장비를 다 갖추고 타는 것이지만 온 몸으로 스피드를 느끼면서... 얼~ 원본출처 : http://tvpot.daum.net/clip/ClipView.do?clipid=3164576&type=chal&lu=l_head_2 그러나! 어린 시절 오토바이를 타보고 80km/h 넘어가도 후달렸던 기억이... 어린 시절 놀았어도 오토바이는 타지 않았다는... 집 앞에서 오토바이 사고로 목이 잘려나가 죽은 것을 보고... 목에서 노란 고름. 으~ 옆집 아저씨도 오토바이 사고로 즉사한... 그 때 이후로 오토바이는 .. 내가 이해가 가지 않는 서점의 책 분류 바로 "자기계발"이다. 아마도 시대의 트렌드를 반영한 것이라는 생각은 든다. 그러나 세상에 어떤 책을 읽어서 "자기계발"이 아닌 책이 있는가? 그런 의미에서 책이라는 것을 읽는 행위 즉 독서는 "자기계발"의 한 형태라고 본다. 꼭 "자기계발"을 읽어야만 "자기계발"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근데 서점에서 "자기계발"이라고 얘기하는 책을 유심히 살펴보면, 같기도다. 이건 소설도 아니여~ 그렇다고 철학도 아니여~ 애매한 장르인 경우가 많다. 뭐 딴지를 걸자고 하는 얘기는 아니다. "자기계발"이라는 것은 꼭 "자기계발"로 분류된 책을 읽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책을 읽으면 되는 것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어서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자기계발서는 쉽게 적혀 있어서 읽기는 쉽지만 다른 책들에서 얻을 수 있는 깊이를 얻기는.. 이전 1 ··· 641 642 643 644 645 646 647 ··· 7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