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키리크스

(10)
제5계급: 다니엘 돔샤이트 베르크가 적은 책을 기반으로 만든 영화 나의 3,325번째 영화. 최근에 내가 다니엘 돔샤이트 베르크를 까는(?) 글에 비판적인 덧글이 달리길래 알았다. 보고 이러는가 보다 생각했다. 국내에서는 개봉하지 않았지만(개봉이 취소되었지?) 구해서 봤다. 을 보고 나서야 알겠더라고. 이건 다니엘 돔샤이트 베르크의 책에 기반해서 만들어진 영화라는 걸. 한쪽 얘기만 듣고서 다니엘 돔샤이트 베르크를 옹호하는 거면 뭐 할 말이 없네 그랴. 아니 영화 보고 난 다음에 이게 실화인지 여부는 찾아보지 않았나? 이해를 못 하겠네. 쩝. 영화 평점은 7점 준다. 나는 다소 재밌게 보긴 했지만, 이거 보고 줄리안 어샌지 이상하게 보고 다니엘 돔샤이트 베르크가 바른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많겠네 하는 생각 들더라고. 에혀. 은 다니엘 돔샤이트 베르크의 책이 기반 위..
[신작 미리보기] 제5부: 위키리크스를 다룬 영화 오~ 몰랐네. 위키리크스에 대해 다룬 영화가 나온다는 소식을. 이거 미국에서는 10월 11일 개봉인데 아직 포스터도 없다.(구글링 해봐바~) 줄리안 어샌지 역에는 에서 매력적인 악역을 맡았던 푸른 눈의 영국 배우 베네딕트 컴버배치가 맡았고, 위키리크스의 2인자라는 다니엘 돔샤이트-베르크는 다니엘 브릴이란 배우가 맡았는데 둘 다 실제 인물과 매칭이 잘 되네. 이거는 꼭 봐야겠다. 위키리크스가 뭐여? 하는 사람이 있다면 다음 글들을 참조하기 바란다. - 신간 도서 비교: 위키리크스(21세기북스) vs 위키리크스(지식갤러리) - 위키리크스 창립자 줄리안 어산지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 - 위키리크스의 줄리안 어산지에게 영향을 준 두 인물 - 위키리크스와 위키피디아의 관계 - 위키리크스 2인자 다니엘 돔샤이트-베르..
크라우드 소싱으로 실패한 위키리크스, 크라우드 소싱으로 성공한 우샤히디 원래 줄리안 어산지는 위키리크스를 크라우드 소싱으로 구현하려고 했단다. 그런데 이게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았던 것. 왜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냐면 수천의 블로거들에게 자료를 보냈지만 대부분은 오려 붙이기(cut and paste) 수준이었고 글을 작성한 건 위키리크스와 기성 매체들 뿐이었다는 점 때문이다. Crowd Sourcing: 크라우드 소싱 참 오랜만에 다시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단어다. 외부 자원으로 대중을 활용하는 크라우드 소싱. 비슷한 말로 협업 지성이니 집단 지성이란 말들이 있긴 하지만 엄밀히 얘기하면 다소 뜻의 차이가 있는 단어들이다. 어쨌든 난 사회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용어들을 그닥 눈여겨 보지는 않는다. 왜냐면 대부분 그런 용어들의 탄생의 근저에는 낙관주의적이면서 세상을 이상향으로 보..
삼청동 북카페 내서재: 올해 3월 없어진다는 아쉬운 카페 한 때 월전미술문화재단에서 하는 '서예 아카데미'를 수강하느라 1주일에 한 번씩 삼청동을 들렸던 때가 있다. 그래서 삼청동은 지리를 잘 아는 편. 그 때 눈여겨 봐왔던 북카페 중에 '내서재'가 있다. 올해는 책 좀 읽자는 생각으로(한 2년 독서를 쉬었나 싶다.) 독서를 하고 있는데 주말에는 아들이 드라이브 하는 걸 좋아해서 진강이 데리고 문득 생각난 삼청동 북카페 '내서재'를 다녀왔다. 한 번도 안 가본 건 아니다. 그러나 그리 넓지 않은 공간에 항상 자리가 꽉 차 있어서 내가 간 날 갈 수 없었던 적이 많았다. 그러나 이번에는 북카페 '내서재'를 가려고 시간 내서 간 것인데 마침 자리가 있어서 다행이었다. 비가 추적추적내리는 주말이라서 그런지 삼청동 거리는 토요일임에도 한산했다. 아메리카노 6,000원..
위키리크스 2인자 다니엘 돔샤이트-베르크, 누가 2인자래? 21세기북스 와 지식갤러리 를 다 읽었다. 다 읽고서 정리하고 있는데 도대체 다니엘 돔샤이트-베르크(지식갤러리 저자)를 누가 2인자라고 칭했는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적인 생각엔 2인자라고 부르는 건 아니지 싶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다니엘 스스로를 2인자라고 칭한 듯. 줄리안 어산지의 성격을 미루어 짐작컨대 고생 좀 했을 꺼라는 생각에 동정심이 전혀 없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그를 두둔하고 싶진 않다. 지식갤러리 의 저자 소개에는 이렇게 소개되고 있다. "어산지를 제외하고 위키리크스에 관한 모든 것을 얘기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사람이다." 그러나 그렇지는 않다. 기술적인 부분에서는 어산지가 손을 놓았기 때문에 다니엘이 좀 더 많이 알고 있고, 전체적인 일 진행 면에 있어서는 다니엘이 모르는 부분도 많다. ..
위키리크스와 위키피디아의 관계 나야 위키리크스와 위키피디아를 비슷한 것이라 생각하지는 않았는데 책(21세기북스 을 보다 보니 초창기 시절의 위키리크스는 위키피디아와 관계가 있었을 뻔 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원래 줄리안 어산지는 위키피디아의 검열 불가능한 분과로서 위키리크스는 비밀문서를 공개하고, 위키피디아는 문서 내용의 쟁점들을 다루는 식으로 구상했었다 한다. Jimmy Wales: 지미 웨일스 그러나 위키피디아의 창립자 지미 웨일스는 이런 줄리안 어산지의 생각에 그닥 동조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런데 위키리크스 프로젝트에 대한 소식을 듣고 지미 웨일스가 설립한 위키아(Wikia)란 회사에서 wikileaks.net이란 도메인을 샀다는 거다. 줄리안 어산지는 이에 대해서 강하게 비판하고 그 이후 사이가 서로를 비판하게 되었다는 거. ..
위키리크스의 줄리안 어산지에게 영향을 준 두 인물 21세기북스의 에 보면 줄리안 어산지가 위키리크스를 만들기까지의 과정이 잘 나와있다. 위키리크스를 만드는 데에는 많은 이들의 영향이 있었겠지만 내 개인적으로 보기에는 두 명 정도가 위키리크스를 만드는 데에 지대한(?) 영향을 주지 않았나 싶다. 한 명은 PGP를 개발했던 필 짐머만이고, 다른 한 명은 크립톰을 운영했던 존 영이다. Phil Zimmermann: 필 짐머만 PGP(Pretty Good Privacy)이라는 이메일 암호화 프로그램을 만든 사람이다. 제1차,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도 적군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통신 암호 해독이 중요했듯이 요즈음에는 사이버 상의 암호화 기술은 중요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PGP를 개발했던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빌 클린턴은 이메일 암호화를 법으로 금지하고 암..
스티븐 레비의 해커 선언문 첫째, 컴퓨터를 위시하여 이 세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보여주는 모든 것에 대한 접근은 무제한적이고 완전해야 한다. 둘째, 모든 정보는 자유로워야 한다. 셋째, 해커는 권위를 불신하고 권력 분산을 촉구해야 한다. 넷째, 다른 해커에 대한 평가는 전적으로 그 활동에 의거해야 하며 외모, 연령, 인종, 성, 사회적 지위에 따라 평가해서는 안 된다. 다섯째, 컴퓨터를 이용하여 예술과 아름다움을 창조할 수 있어야 한다. 스티븐 레비의 (원제: Hackers: Heroes of the Computer Revolution)에 나온 해커 선언문이다. 스티븐 레비의 책을 본 건 아니고, 위키리크스의 창립자 줄리안 어산지가 해커 출신이다 보니 21세기북스의 에 해커에 대한 부분에서 나온 내용이다. 해커 그 광기와 비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