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344) 썸네일형 리스트형 UFC 20주년 기념 선정 역대 최고의 KO Top 20 유투브 보다가 발견한 건데 종합격투기 팬들이면 좋아할 만해서 옮긴다. 역대 최고의 KO 1위는 2개인데, 둘 다 앤더슨 실바가 차지했다. 하나는 프론트 킥으로 비토 벨포트를 KO 시키는 거고, 다른 하나는 크리스 와이드먼 전에서 깝치다가 턱에 훅 맡고 KO 당하는 거고. 3위는 자신의 주무기인 하이킥을 맞고 실신한 크로캅. 이거 보니 안타깝네. 크로캅에게는 얼마나 생각하기 싫은 장면일까. 4위는 댄 핸더슨과 마이클 비스핑 전인데 이거 보면 확실히 댄 핸더슨의 오른 훅은 강력하다는 걸 새삼 느낀다. 게다가 쓰러지는 마이클 비스핑 보면서 공중 부양하고 그냥 내리꽂는 모습을 보면, 댄 핸더슨한테는 한 번 잘못 걸리면 뒤지게 맞는다. 무서버. 5위는 랜디 커투어와 척 리델 전으로 랜디 커투어 전인데, 척 리델과.. UFC Fight Night 39: 마우리시오 쇼군 vs 댄 핸더슨 2차전 와~ 댄 핸더슨 대단하네. 최근에 3연패의 늪에 빠져있건 어쩌건 1라운드에서 거의 KO 직전까지 가면서도 이리 저리 몸 움직이고, 2라운드에서도 KO 당할 뻔 했음에도 살아나고, 3라운드에서 그냥 한 방에 끝내버리네. 마우리시오 쇼군 코뼈 부러진 듯. 한 방에 그냥. 마우리시오 쇼군의 입장에서는 경기 정말 잘 풀어나가다가 아쉽겠다. 댄 핸더슨 70년생이니까 44살이란 얘긴데 44살에 이 정도의 실력이라 정말 대단하다. 이런 결과가 나올 거라고는 상상도 못 했네. 마우리시오 쇼군은 이번 경기 이후에 라이트헤비급 Top 10에도 못 드는구나. 이러면 정말로 미들급 전향하는 거 아닌가 모르겠다. 1라운드 2라운드 3라운드 UFC Fight Night 37: 김동현 vs 존 해서웨이 변했다. 김동현의 파이팅 스타일이. 오우~ 정말 멋지다. 상대 선수가 김동현 같이 계속 밀어부치고, 맞아도 덤비라고 하면서 계속 들어오고 그러면 무섭겠다. 사실 김동현 선수의 경기를 잘 보지 않았던 이유가 그의 경기가 다소 지루했었거든? 근데 이번 경기는 얘기가 틀리다. 이런 식으로 경기 운영한다면 그의 팬이 되지 않을 수가 없다. KO승도 그렇지만 백스핀 엘보우로 KO승을 따냈다는 건 정말. 이 기술로 KO승을 낸 선수 난 아직 본 적 없다. 1라운드 1라운드에서 보여준 김동현의 파이팅. 놀라웠다. 예전의 김동현 같지가 않았던. KO 시킬 수 있는 기회가 몇 번 있었으나 상대도 만만찮았던 듯. 2라운드 3라운드 2라운드, 3라운드도 뭐 김동현이 우세하다 본다. 물론 1라운드에 많은 펀치를 쏟아내어 김동.. UFC Fight Night 37: 남의철 vs 도쿠도메 카즈키,남의철 UFC 데뷔전 최근 에서 멘토로서 자주 보았던 남의철 선수의 UFC 데뷔전. 지금껏 남의철 선수의 경기를 한 번도 본 적이 없어서 파이팅 스타일이 어떤 지 몰랐는데 이번 UFC 데뷔전 경기 보니 화끈하네. 상대인 도쿠도메 카즈키가 판크라스 출신이라 그라운드 기술이 뛰어난 듯 하지만 남의철도 밀리지 않고 말이다. 1라운드에 KO 시킬 수 있을 듯 해서 너무 많은 펀치를 쏟아부어 체력이 많이 소진되었지만 그래도 잘 싸웠다. 1라운드는 정말 간만에 재미난 경기였던 듯. 1라운드 1라운드에 KO를 시키지 못한 게 다소 아쉽다. KO 될 듯 하면서도 안 되네. 2라운드 2라운드에서는 상대의 그라운드 기술에 밀려서 라운드 점수를 다 내주고 만다. 그래도 1라운드에 그렇게 체력을 소진하고서도(뭐 상대도 그만큼 체력이 소진됐지만) .. 론다 로우지, 과연 크리스 사이보그 산토스에겐 이길 수 있을까? 물론 사라 맥맨과의 경기는 아쉬움이 남는 경기였다. 너무 레프리가 빨리 스톱하는 바람에 말이다. 그러나 론다 로우지가 우세할 거라는 예상은 누구나 했을 듯 싶다. 여튼 당분간 론다 로우지를 대적할 자는 없을 듯 싶다 보니 여성 종합 격투기의 관심사는 론다 로우지와 크리스티나 사이보그 산토스(이하 줄여서 크리스 사이보그라 적는다)와의 대결이다. 이미 론다 로우지가 한 판 붙자고 했을 정도로 여성 종합 격투기계에서는 독보적인 존재니까. 크리스 사이보그 산토스 이 사진은 그래도 잘 나온 사진이다. ㅋㅋ 뭐랄까? 생긴 거는 정말 못 생겼다. 남자 같이 생겼고, 최근 사진들 보면 선풍기 아줌마 같은 인상도 준다. 현재까지 전적은 13전 12승 1패(10 KO/TKO승, 2 판정승). 1패는 데뷔전 경기였던 듯 싶.. UFC 170: 다니엘 코미어 vs 패트릭 커민스 이변은 없었다. 당연한 결과였다고 생각하고. 근데 나는 다니엘 코미어 양반이라 생각했었는데, 이번에 보니까 상대 선수인 패트릭 커민스를 얕보는 모습이 눈에 띄더라고. 다니엘 코미어도 이런 모습이 있었나 싶었던. 라샤드 에반스 선수가 다리 부상으로 경기를 할 수 없게 된 게 정말 아쉽다. 다니엘 코미어와 라샤드 에반스의 경기라면 참 볼만했을텐데. 그럼 다음 상대로 라샤드 에반스와 다니엘 코미어가 붙나? 다니엘 코미어의 다음 상대가 궁금하다. 과연 다니엘 코미어는 존 존스를 이길 수 있을까? 아직까지 패배가 없는 다니엘 코미어인데 첫 패배는 누가 안겨줄라나? 이게 다니엘 코미어 선수 경기를 보는 이유가 아닐까 싶다. UFC 170: 론다 로우지 vs 사라 맥맨 UFC 170의 메인 이벤트인 여자 밴텀급 타이틀 매치. 론다 로우지대 사라 맥맨의 경기다. 여러 모로 봤을 때, 론다 로우지의 승리가 예상되는 경기였지만 개인적으로 이건 레프리가 너무 일찍 경기를 중단했다고 본다. 챔피언 도전자 결정전도 아니고, 챔피언 타이틀을 두고 하는 경기인데 말이다. 사라 맥맨이 초반부터 매우 어그레시브하게 나와서 경기 재밌게 흘러가겠다 했는데, 클린치 상황에서 사실 니킥을 좀 많이 허용하는 거 같더라고. 자신도 니킥을 하긴 하는데 효과적으로 하지를 못했던 거 같고. 제대로 된 니킥 한 방에 주저 앉긴 했는데 레프리 스톱을 너무 빨리 한 게 아닌가 싶다. 관중들의 야유 또한 그런 의미일테고. 이렇게 경기가 끝나게 되면 애매하다. 론다 로우지에게 완벽하게 졌다고 할 수도 없고, 자..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 2014 소치 동계 올림픽: 라이브로 봤는데 정말 짜릿하고 소름 돋는 경기였다 이번 동계 올림픽은 대부분 밤에 시간 날 때 경기 일정 보고 보고 싶은 경기만 골라서 보곤 했는데, 어쩌다가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경기는 라이브로 보게 됐다. 이런 멋진 경기를 라이브로 볼 수 있었다니. 다시 봐도 너무 멋진 경기라 몇 번을 봤는지 모를 정도다. 아마 이번 2014 소치 동계 올림픽 경기 중에서 가장 잊지 못할 경기가 아닐까 싶다는. 그렇다고 해서 다른 경기들이 별로였다는 건 아니지만 이만큼 짜릿하고 소름 돋는 경기는 드물지 않을까 싶다.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최강 4팀 2014 소치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에 올라온 네 나라. 한국, 중국, 캐나다, 이탈리아는 ISU 쇼트트랙 월드컵에서도 항상 결승전에서 만나는 네 팀이다. 2013-2014 IS..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