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143)
김재규 열사: 좀 더 계획적이었고, 혼자가 아니었다면 좋았을 것을. 0.나는 안타깝다. 김재규 열사가 혼자서 의거한 게. 역사를 보면 제대로 된 사람, 바른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이 가진 패착이 이런 데에 있다고 본다. 자신의 야망을 위해서가 아니라 대의를 위해서 자신을 희생할 줄만 안다. 그래서 안타깝다. 좀 더 계획적이었다면 차라리 좀 더 큰 뜻을 위해서 자신이 대통령이 되기로 결심했다면 10.26 사태 이후는 더 나아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1.원래 최고 권력자 옆에는 버러지들이 있기 마련이다. 차지철이라는 버러지가 있었고, 전두환이라는 버러지가 있었다. 차지철이야 김재규 열사의 총탄에 맞아 죽었지만 전두환과 같은 경우는 그 틈을 타고 자신의 야망을 펼친다. 물론 그 야망이 대의를 위한 야망이었다면 내가 이런 얘길 하지 않지. 왜 버러지 새끼들은 자신의 ..
간단정리 012. 이로운 벗과 해로운 벗 孔子曰, 益者 三友, 損者 三友, (공자왈, 익자 삼우, 손자 삼우) 友直 友諒 友多聞 益矣, (우직 우량 우다문 익자) 友便僻 友善柔 友便佞 損矣. (우편벽 우선유 우편녕 손자) - 論語 季氏篇(논어 계씨편) 이로운 벗 ① 우직(友直): 정직한 벗 친구라고 편드는 게 아니라 잘못된 것은 잘못되었다고 얘기해주는 벗. 정직하게 직언하는 친구. ② 우량(友諒): 신실한 벗 매사에 신의가 있고 성실한 벗을 말한다. 믿을 만한 친구. ③ 우다문(友多聞): 견문이 넓은 벗 해박한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어 견문이 넓은 벗. 이렇게 보니 나네? 음. 내 친구들은 좋겠네. 이로운 벗을 둬서. ㅋㅋ 해로운 벗 ① 우편벽(友便僻): 자기중심적인 벗 자기 편의대로 해석하고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는 벗. 이익 여부에 따라 배..
간단정리 011. 군자를 모실 때 범하기 쉬운 세 가지 과실 言未及之而言 謂之躁(언미급지이언 위지조) 言及之而不言 謂之隱(언급지이불언 위지은) 未見顔色而言 謂之瞽(미견안색이언 위지고) - 論語 季氏篇(논어 계씨편) 묻기도 전에 먼저 입을 여는 것은 조급함이요, 윗사람이 말을 했는데도 대꾸하지 않는 건 은닉하는 것이요, 윗사람의 분위기를 살피지 않고 말하는 건 눈치 없음이라. 맘에 드네. 난 제일 맘에 안 드는 게 두번째다. 윗사람이 말을 했는데도 대꾸하지 않는 거. 답답해 미친다. 있는 그대로 얘기하고 이해를 구하면 될 것을 얘기도 안 하고 묵묵부답. 환장하지.
이중슬릿실험(Double-slit Experiment)과 관찰자 효과(Observer Effect) 의사이자 물리학자, 언어학자인 토마스 영(Thomas Young)이 행한 이중슬릿실험(Double-slit Experiment)는 파동성과 입자성을 알기 쉽게 설명해주는 실험이다. 여기까지는 음 그렇군 하고 넘어갔는데 관찰자 효과(Observer Effect)를 보고는 멘붕~ 허걱~ 이제 실제로 그렇단 얘기거든? 정말 정말 신기했다. 근데 여러 번 반복해도 똑같이 그렇단 얘기인지는 궁금하다. 관찰하고 있으면 입자성 결과가 나오고, 관찰하지 않으면 파동성 결과가 나온다는 게 매번 반복 실험해도 그렇다는 건가? 아마도 확률적으로 어떤 경우에는 이랬다가 어떤 경우에는 저랬다가 할 듯 싶은데.
간단정리 003. 뇌가 하루에 사용하는 에너지(kcal)는? 체중 70kg의 남성의 경우,(뇌를 1.4kg이라고 가정하면) - 뇌의 무게는 몸무게의 2% 수준 - 그러나 우리 몸 혈액의 20%를 공급받고 - 성인 남성의 하루 필요한 칼로리의 20% 정도를 소모 뇌는 하루에 (자료에 따라 차이가 있긴 하지만) 400~500kcal 정도를 소모한다.
강속구(시속 150km/h)의 공을 치려면? 마운드에서 홈베이스까지의 거리: 18.44m 시속 150km/h의 공이 마운드에서 홈베이스에 도달하는 시간: 0.442초 궁금한 거는 타자가 시속 150km/h의 공을 치려면 공을 던지는 순간에 어떻게 공이 날라올 것인지를 예측하여 결정한 후에 공이 투수의 손을 떠나는 순간에 배트를 휘두를 준비를 하는 건가? 아니면 오랜 훈련으로 공이 오는 걸 보고 쳐야겠다 판단해서 배트를 휘두르는 건가? 궁금하다.
간단정리 002. 사람의 정보 처리 용량 1. 오감으로 받아들이는 정보 양: 11,000,000 bit/s 눈으로 받아들이는 정보 양: 10,000,000 bit/s 귀로 받아들이는 정보 양: 100,000 bit/s 혀로 받아들이는 정보 양: 1,000 bit/s 2, 사람들이 대부분 시각적인 판단에 의존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문제는 이런 정보들을 뇌로 전달한다고 하더라도 뇌는 40 bit/s 정도만 받아들인다. 3. 뇌 과학자들의 실험 결과, 매 순간(0.0625초) 우리 뇌는 17개의 시각 데이터만 받아들인다.
을미사변에 가담했던 한국인 우범선은 우장춘 박사의 아버지로 명성황후를 겁탈했다? 에조 보고서 때문에 이리 저리 찾아보다가 발견한 동영상 하나. 박종진의 쾌도난마에 출연한 조선시대 마지막 황손 이석씨의 말을 들어보면 명성황후 시해사건 당일 상궁 옷을 입고 있는 명성황후를 보고 저 사람이 명성황후라고 지목했던 훈련대장은 한국인 우범선으로 왕비를 시간(시체를 간음하는 걸 말한다)했다라는 충격적인 얘기를 전해줬다. 그런데 더욱더 충격적인 건 일본으로 망명하여 일본 여자와 결혼한 우범선이 낳은 아들이 씨 없는 수박을 만든 우장춘 박사라는 사실. 허걱~ 참 세상의 인연이 어찌 이리 얽히고 섥힐꼬. 조선의 마지막 황손? 동영상에는 조선의 마지막 황손이라고 되어 있는데 조선시대에 황제가 있었나?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손이라고 해야 하지 않나 싶다. 여튼 그렇다고 해서 이석씨가 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