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344) 썸네일형 리스트형 UFC Fight Night 57: 최두호 vs 후안 마누엘 푸이그 UFC Fight Night 57에 데뷔한 최두호. 경기 내용은 뭐 상당히 좋다. 1라운드 18초만의 펀치에 의한 TKO승. 물론 이 경기만 보고선 뭐라 판단할 수 없다. 카운터가 좋았고, 이제 UFC 첫 데뷔한 거니 말이다. 그러나 전적을 보면 기대해도 좋을 듯 싶다. 13전 12승 1패. 1패가 있는데 이것도 판정(전원일치가 아닌 2:1 판정)이니 아깝게 진 거라 봐야할 듯. 게다가 눈에 띄는 건 12승 중에 9승을 KO로 이겼다는 거. 타격 센스가 좋은 선수인 듯 싶다. 체급은 페더급. 오호라~ 이러면 정찬성과도 한 판 붙을 수 있겠네. UFC 무대에서 한국인 선수 둘이 경기를 한다? 지금까지 이런 경우는 없었는데... 여튼 주목할 만한 선수가 아닌가 싶다. 닉을 보니 코리안 슈퍼보이네. 정찬성은 .. 주먹이 운다 - 용쟁호투: 그동안 수요일 새벽을 즐겁게 해줬던 프로그램 가 어제부로 끝났다. 수요일 새벽에 즐겨보던 프로그램이었는데. 격투기를 즐겨 보곤 하지만 격투기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있는 정도는 아니라 매회 감상평을 올리진 않았다. 반면 은 머리 쓰는 거랑 심리 게임인지라 쓸 거리가 생기곤 하니까 매회 감상평을 올리는 거고. 그래도 10부작이 다 끝났으니 이번 전체에 대해서 길진 않지만 끄적거릴란다. 그냥 눈에 띄는 참여자들 중심으로만. 우승자, 키보드 워리어 김승연 지옥의 3분 때 보여줬던 브라질리언 킥이 인상적이었고, 좋은 체격에 훈련에 임하는 자세 또한 성실해서 우승후보 0순위임에는 틀림없었지만, 생각보다 나이 어리네. 26살. 왜 이리 노안인지. 본인 스스로를 키보드 워리어라고 하긴 하지만 그래도 실력을 겸비한 참여자라 생각한다. 근데 몇몇 참여자들을 보건대,.. UFC FIght Night 56: 마우리시오 쇼군 vs 오벵스 생 프뢰 이제 쇼군은 잊어버려야 하는 건가? 정말 좋아했었던 선수였는데 최근 들어서 영 아니네. 은퇴를 심각히 고려해봐야할 때가 아닌가 싶다. 최근 전적이 너무 안 좋다. 3년간 6전 2승 4패. 그래도 나름 이름 좀 있는 선수한테 패했다면 모르겠는데, 이번에는 오벵스 생 프뢰라는 그래도 다른 선수들에 비해서는 인지도가 떨어지는 선수한테 1라운드 얼마 되지 않아서 이렇게 무너지다니... 마우리시오 쇼군은 자신에게 패배를 남겨준 선수한테 꼭 리매치를 해서 이기곤 했는데(마크 콜먼, 포레스트 그리핀, 료토 마치다) 댄 헨더슨한테는 또 안 먹히고, 현 라이트헤비급 챔피언인 존 존스를 제외하고는 마우리시오 쇼군에게 이렇다 할 KO를 거둔 선수는 없었는데 최근 들어서 KO패를 당하질 않나. 전성기 시절 지나갔다고 봐야하나.. UFC 180: 파브리시오 베우둠 vs 마크 헌트 이 포스터가 다음과 같이 바뀌었다. 마크 헌트를 싫어하거나 그렇지는 않지만 간만에 케인 벨라스케즈 경기 보겠구나 싶었는데, 부상으로 인해 대체 선수로 마크 헌트와 파브리시오 베우둠과의 경기가 치뤄졌고, 나름 타이틀전을 기다리고 준비했던 파브리시오 베우둠에게 미안해서 그런지 승자에게는 잠정 헤비급 챔피언 타이틀을 주게 된다. 아니 챔피언이 없는 것도 아니고 부상 때문에 경기를 못한 건데, 잠정 챔피언은 또 뭥미? 마크 헌트를 K-1 시절부터 봐왔기에(파브리시오 베우둠은 Pride FC에서 크로캅 전성기 시절에 팀크로캅에 그라운드 테크닉을 크로캅에게 전수하기 위해 코치로 들어갔을 때부터 알았지만 난 파브리시오 베우둠은 경기를 재미없게 해서 그닥 좋아하진 않는다) 마크 헌트가 내심 이기길 기대했는데 아쉽네. .. UFC Fight Night 51: 안드레이 알롭스키 vs 안토니오 실바 어제 UFC Fight Night 52 생중계 보면서 간만에 지난 경기들 찾아보다 발견. 못 봤었는데 경기 했었구나. 나름 가끔씩 앞으로 어떤 경기가 있는지 훑어보곤 하는데, 까먹었다는. 포스터 보면 안토니오 실바 고릴라 같다. ㅋㅋ 그리고 안드레이 알롭스키는 짧은 머리가 훨씬 잘 어울린다. 유리턱으로 알려진 안드레이 알롭스키고, 기존에 둘은 한 번 붙었던 적이 있었기에 경기 결과는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었지만 이렇게 쉽게 끝날 거는 더욱더 예상하기 힘들었을 듯. 개인적으로 안토니오 실바 선수를 현 헤비급 선수들의 탑 5 안에 꼽지는 않지만 탑 10 정도는 되는 선수인지라 그리 만만하게 질 선수는 아닌데 허무하네. 이번 경기 덕분에 UFC에 복귀하고 단 2 경기 만에 탑 10 안에 들게 된 안드레이 알롭스.. UFC Fight Night 52: 추성훈 vs 아미르 사돌라 오랜만의 추성훈 경기. 뭐 잘 싸웠다. 상대가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상대가 아니라는 아쉬움이 있긴 하지만. 나는 경기 보다는 추성훈의 근육질 몸에 눈이 더 가더라고. 등 근육 참 멋지네. 쩝. 나는 암만 운동해도 저런 몸이 안 돼. 여튼 적당한 벌크와 데피까지 갖춘 멋진 몸이다. 미들급에서 웰터급으로 한 체급 낮춰서 살을 빼니 그리 된 듯. 난 지금 몸이 딱 좋은 걸 보면 추성훈은 미들급이 아니라 웰터급에서 뛰는 게 맞다 본다. 경기는 시종 일관 추성훈이 우세했지만 KO승을 거둘 수 있는 순간이 있었던 때에 마무리를 못했던 게 조금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래도 4연패 이후의 첫 승인지라 추성훈에게는 의미있는 경기가 아니었나 싶다. 1라운드 2라운드 3라운드 UFC Fight Night 52: 마크 헌트 vs 로이 넬슨 이번 UFC Fight Night 52는 생중계로 봤다. 요즈음 너무 바쁜 와중에 몸에 무리가 가다 보니 이건 아니다 싶어서 좀 여유를 가지려고 토요일에 내도록 잠자다가 일어나서 늦은 점심 먹으면서 경기 있는 걸 알고 생중계로 봤다는. 이번 UFC Fight Night 52 경기는 일본의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에서 열렸는데, 여기 Pride FC의 추억이 깃든 곳이 아니던가? K-1이란 입식 타격기와 Pride FC란 종합 격투기를 거쳐 UFC에 입성한 마크 헌트이기에 일본에서도 마크 헌트를 응원하는 목소리가 더 높을 거라 예상했다. 개인적으로는 그래도 마크 헌트를 오래동안 지켜봤기 때문에 마크 헌트가 이기길 내심 바라고 있긴 했지만 파이팅 스타일, 체구, 나이 모든 면에서 비슷했던 두 선수고, 헤비급에서.. 주먹이 운다 시즌4 용쟁호투: 예고편 다소 연출된 듯 하지만 그래도 관심 가게 만들었네 얘기는 들었는데, 요즈음 너무 바쁘다 보니(알 만한 사람들 다 알지? 일 너무 많다. 한 번에 연락 바로 되는 경우도 쉽지 않은) 잊고 있다가 추석이 되어서야 조금은 마음의 여유를 갖고 이리 저리 찾아봤는데, 오~ 이번 시즌4도 꽤나 재밌을 듯 싶다. 다음주 화요일 첫방송이니 수요일 정도에는 볼 수 있겠네. 뭐 집에서 있다면야 생방송으로 볼 수도 있겠지만... 예고편을 비롯해서 이리 저리 동영상이 올라오는데, 이 중에서 가장 관심을 끄는 동영상 하나. 이거 몇 번을 돌려서 봤는데 연출이 가미된 거 같다. 그러니까 XTM 측에서 이렇게 해봐라고 해서 대기실에 소란을 떨게 했던 거 같은데, 문제는 또 다른 사람에게는 이런 일이 생기면 이렇게 하라고 했던 게 아닌가 싶다는 거다. 그러니까 소란을 떨었던 당사자..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