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테의 취향 (5875)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략적 자유도 Strategic Degree of Freedom 로 약어로는 SDF 로 표기한다. 특정 기업이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할 시에 해당 전략의 다양성이 얼마정도인지를 나타내는 말로 쉽게 얘기해서 전략적인 대안을 얼마나 다양하게 실행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전략적 자유도이다. 시장에 선두 제품들이 있을 때 중소기업에서 해당 시장에 진입할 때 가질 수 있는 가장 차별화된 전략의 폭은 좁을 수 밖에 없다. 품질이나 기술력이 뛰어나다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승부를 하기에는 힘들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을 통한 시장 진입을 할 수 밖에 없어 전략적 자유도가 낮지만 시장 선두 제품은 택할 수 있는 실행할 수 있는 전략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전략적 자유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벤처기업이 대기업에 인수 합병되는 이유는 일정 규.. PMMM에 대한 가이드 <프로젝트 관리의 전략적 계획 수립> 프로젝트 관리의 전략적 계획 수립 해롤드 커즈너 지음, CJ시스템즈번역매니아그룹 옮김/가남사 2005년 2월 13일 읽은 책이다. 도서관에서 읽을 책 리스트를 적어가지 않아서 고르다가 선택한 책이다. 당시에는 경제,경영 서적 분야 중에서도 컨설팅 관련 이론들을 많이 접했는데, 새로운 용어들이 다 거기서 파생되고 있었고 그러한 컨설팅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에 그러한 것들을 알려고 하는 이유에서였다. 지금껏 나는 이론보다는 실무를 중시해왔고, 어떻게 보면 방법론을 실제 실무에서 만들어서 써먹는 것을 중시해왔었는데, 일에 대한 여유가 생기면서 이러한 이론들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미리 배운다는 자세로 접근했기 보다는 컨설팅 업체의 사람들이 아는 지식을 나도 알아야겠다는 생각을 했었던 것이다. 이론이라고 해서.. 인터넷 실명제는 시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터넷 실명제가 되면 건전하고 올바른 토론의 장이 완성될까 하는 것은 사실 미지수이지만 올바른 토론의 장을 위해서는 인터넷 실명제가 필요하다는 데에는 이의를 달고 싶지 않다. 즉 올바른 토론의 장을 위해서 인터넷 실명제는 하나의 필요조건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실명이었을 때 자신의 한 행동(글)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느끼게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혹자는 실명이 꼭 그런 사회적 책임을 느끼게 할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의식의 전환이 더 중요하다는 말을 그리 표현하는 것이겠지만 우리가 사는 세상은 파라다이스가 아니다. 계속해서 문제가 생기는 것은 의식을 전환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아서라기 보다는 인간이 사는 세상을 단지 인터넷이라는 공간에 옮겨왔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만약 인터넷 실명.. 위키노믹스 관련 SERI(삼성경제연구소) 온라인 설문 URL : http://www.seri.org/kz/kzSvycPollL.html?menu=kz0701&no=87&tab=1&pgrp=1 이 설문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여기에 짧게 나마 적혀있는 의견들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의견들을 가만히 보면 온라인 설문에서 밝힌 위키노믹스 철학의 몇 줄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는 경우가 많이 있다고도 생각됩니다. 다음주에 있을 포럼에 2시간 내에 이 모든 것을 다 얘기할 수는 없겠지만 나름대로 정리를 해서 좋은 화두를 만들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유심히 보시고 각각의 의견에 대한 나름대로의 생각을 해보시는 것도 위키노믹스를 이해하는 데에 아주 좋은 방법이 될 듯 합니다. 물론 여기 설문에 있는 많은 의견들은 단순히 설문 주제 몇 줄을 읽고 직관.. 인터넷 상의 이슈를 집단지성이라고 할 수 있는가? 이 글을 쓰게 된 배경은 다음 글에서 집단지성이라는 것에 대해서 얘기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 글은 다음과 같다. Game Week 님이 쓴 블로그스피어 상의 이슈를 포함하여 포털에서 이슈가 되는 것들을 보면서 이것을 집단지성이라고 부를 수 있는가하는 부분에서는 생각해봐야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단순히 여러 명이 자신의 생각을 말한다고 해서 집단지성이라고 부를 수 있느냐는 부분이 여기서 다룰 핵심이다. 집단지성은 엄밀히 대중들의 얘기와는 엄격히 나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위 글에서 말한 잘못된 정보나 의도한 왜곡, 예기치 못한 오류들이 발생한다고 했을 때 집단지성이라고 명명할 수 있으려면 그것이 다른 이들에 의해서 수정되어져야만 하는 것이다. 그것이 지성의 힘이다. 지성이라고 함은 지적인.. 기업도 이제는 2.0인가? Enterprise 2.0! Enterprise 1.0 Enterprise 2.O Hierarchy Friction Bureaucracy Inflexibility IT-driven technology/ Lack of user control Top down Centralized Teams are in one building/ one time zone Silos and boundaries Need to know Information systems are structured and dictated Taxonomies Overly complex Closed/ proprietary standards Scheduled Long time-to-market cycles Flat Organization Ease of Organization Flow.. 이제 원상태가 된 듯... 이제야 뭔가 제자리로 돌아온 듯한 느낌이다. 물론 여전히 일적인 부분은 복잡하기만 한데, 그거야 원래 나는 복잡하게 생각하고 그 속에서 실마리를 찾는 게 능하니 뭐 열심히 일하고 있다고 보면 될 듯 하다. 그래도 작년만큼 시간에 쫓겨서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하는 게 아니니 창의적인 생각하면서 나름 시간적 여유를 최대한 활용하면서 하는 일이라 복잡해도 상관이 없다. 오늘은 책도 읽고, 신문도 읽고, 어제 적어둔 메모들 처리하고, 나름대로 여기까지 해야지 하는 일도 했고, 오랜만에 블로그에 글도 조금은 올리고, 나름 알차게 보낸 듯 하다. 살을 찌우기 위해서 먹고 자려고 한다. 배는 고프지 않은데, 이렇게 앉아서 인터넷 하고 생각하고 할 때면 담배만 계속 태우는 듯 해서 차라리 먹는 데에 시간을 할애하면 담배.. 매슬로우가 발견한 자아실현에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된 특징들 에서 본 매슬로우의 자아실현에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된 특징들을 옮겨온 것이다. 나름 볼만한 부분들이 있어서 옮겨둔 것인데, 이것을 보고 자신은 몇가지가 되는지 점검해보는 것도 좋을 듯. 1. 현실 중심적이다. 2. 문제해결 능력이 강하다. 어려움에 괴로워하거나 도망가려고 하지 않는다. 어려움과 역경을 문제해결을 위한 기회로 삼는다. 3. 수단과 목적을 차별하지 않는다. 목적으로 수단을 정당화하지 않는다. 또 과정이 결과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자세를 갖는다. 4. 사생활을 즐긴다. 남들과 함께 하는 시간보다는 혼자 있는 시간에 종종 더 편안함을 느낀다. 5. 환경과 문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자신의 경험과 판단에 더 의존한다. 6. 사회적인 압력에 굴하지 않는다. 7. 민주적인 가치를 존중한.. 이전 1 ··· 653 654 655 656 657 658 659 ··· 7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