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테의 취향

(5897)
여자가 원하는 것을 알면 세상은 당신 것이다. 여성 마케팅 김미경 지음/위즈덤하우스 이 책은 독서 계획에는 전혀 없었던 책이었다. 단지 내가 책임 편집을 맡고 있는 책의 주타겟이 여성이기 때문에 여성 시장에 대한 여러 책들 중에서 골라서 읽어본 것으로 2007년 11월 일 읽은 책이다. 총평 그동안 여성에 대해서 잘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많았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게 만들었던 책이다. 나름 광화문 교보문고에서 여성 관련된 책들을 이리 저리 찾아보다가 선택한 책이었는데 재미있으면서도 들어볼 얘기들이 많았던 책이었다.(그러나 어떤 분은 이 책의 내용 대부분이 다른 책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것은 조금 있다 얘기할 생각이다.) 마케팅을 광의적으로 해석하면 이 책의 내용도 마케팅에 포함될 수는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마케팅 서적과는 다소 괴리감이 있는..
이제 리더십 매뉴얼은 모두 바꿔야 한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가 향후 정국을 구상하면서 책을 보고 있단다. 공교롭게도 리더십 관련 책이다. 그것도 정치에 관련된 리더십. 역사를 바꾸는 리더십 (2006) 제임스 맥그리거 번스 지음, 조중빈 옮김/지식의날개(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원제 : Transforming Leadership: The Pursuit of Happiness (2003) 이 책의 소개란을 보면 이명박(당시 서울시장)의 추천 글귀가 눈에 띈다. 마음에 와 닿는 책이다. 지구촌의 빈곤에 대해 저자의 절실한 문제의식이 느껴진다. 가난한 사람에 대한 연민도 절절하다. 모두가 절망에 빠져 있을 때 비전을 보고, 서로에게 힘을 실어주는 리더십이 해결책이라는 이야기..
오랜만에 책상, 책장을 정리하면서 버린 서적들 정말 오랜만에 책상이랑 책장을 정리한 듯 하다. 올해 들어 한 번도 책상 정리를 한 적이 없는 것으로 기억한다. 회사 책상 뿐만이 아니라 집에 있는 책상 그리고 책장까지 다 정리했다. 회사에서는 요즈음 마무리하는 일 때문에 바빠서 거의 책상이 엉망이다. 책 쌓여있는 것만 수십권에 원고들 쌓아둔 것도 그렇고 말이다. 원래 나는 일을 할 때 필기구 하나랑 A4용지 그리고 컴퓨터만 있으면 된다. 그래서 내 개인 물건이 거의 없는 편이다. 그런데 요즈음은 내가 하는 일이 그렇다 보니 이것 저것 쌓이는 듯 하다. 새해 새로운 신규 업무가 추가되다 보니 좀 정리하자는 생각에 깔끔하게 정리해버렸다. 집에 있는 책상은 어머니께서 가끔씩 정리를 해두시곤 하는데 내 책상 위에 있는 조그마한 메모 하나까지도 버리는 것을 싫..
출판인들이 책을 안 읽는 이유 사실 처음에 출판사를 접하고 나서 출판사 사람들이 책을 많이 안 읽는 이유를 의아해했다. 책 내용에 대한 이해 없이 해당 책이 말하는 분야에 대한 이해 없이 어찌 출판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했었던 것이다. 그런데 출판을 해보면서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있었다. 교정, 교열 작업을 하다보면 같은 글을 여러 번 반복해서 읽어야 한다. 독서를 위한 책 읽기와 교정, 교열을 위한 책 읽기는 다르다. 독서를 위한 책 읽기는 사색을 즐기기 위해 하는 행위라 편안하게 내용 위주로 보게 되지만 교정, 교열은 단어, 띄어쓰기, 일관성, 외래어 표기, 문장의 매끄러움, 문단의 구성, 레이아웃 등을 중심으로 봐야하기 때문에 텍스트 그 자체에 좀 더 비중을 두고 본다. 이런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텍스트가 싫..
운동하러 갈까? 말까? 어제도 안 갔는데 오늘까지 안 가면 이틀 연속으로 안 가는 거다. 오늘 안 간다면 내일 정도는 가줘야 한다. 근데 내일은 종무식이다. 아마도 술도 좀 많이 마실 것 같고(그래봤자 내가 얼마나 마신다고) 사람들끼리 모여서 늦게까지 놀 것 같다. 사실 나도 놀려고 단단히 맘 먹고 있긴 하지만... 그러면 내일도 못 간다는 소리다. 그럼 모레는 갈 수 있느냐? 모레도 못 간다. 인쇄 감리차 인쇄소에 가야 한다. 허~ 그렇게 되면 4일을 안 가는 셈이 된다. 일요일은 간 적이 없으니 일요일까지 생각하면 5일을 안 가는 셈이 되고, 어쩌면 이번주에 부산 내려가려고 생각 중이라 내려가게 되면 25일까지는 부산에 있을 것이니 거의 일주일 넘게 운동을 못하게 되는 셈이다. 적어도 이틀 정도는 놀아도 너무 오래동안 빠지..
Global Warming(지구 온난화)는 근거 없다? 과학적인 두 가지 견해 인위적인 Global Warming(지구 온난화) 산업화 이후에 인류가 배출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자연 발생적 Global Warming(지구 온난화) 수십만년 동안의 온도 변화를 통해서 보면 현재 지구 온도가 더워지는 때라 자연발생적인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했을 뿐이다. 인위적인 이산화탄소의 증가는 매우 미약하다. 자연 발생적 Global Warming(지구 온난화)를 밝히는 쪽에서는 태양의 활동과 밀란코비치 주기, 화산활동 등의 다양한 근거를 들면서 일리있는 주장을 펼친다. 물론 내가 과학자가 아니다 보니 그 견해에 대한 검증을 할 수 있는 처지는 아니지만(그건 과학자의 몫이다. ^^) 우리가 기존에 증명..
대선을 하루 앞두고 돌아보면서 지금까지 선거는 그냥 내가 지지하는 후보만 조용히 투표했었다. 그러나 이번 대선만큼은 재미있게 관전했다. 아무래도 블로그에서도 많은 얘기가 나와서 그렇지 않았나 싶다. 대선을 하루 앞두고 드는 생각들을 그냥 끄적거린다. 그래도 OOO 찍어야 안 되겠나? 뽑아놓고 비판하지 마라. 당신은 뽑을 때도 기준이 없으니 비판할 때도 기준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잘못한 일에는 비판도 해야 한다. 사람이 어찌 완벽하리요. 허나 당신은 비판을 해도 그게 비판이 아닌 것이다. 기준이 없지 않느냐? 그러니 권고한다. 투표 하지 마라. 그냥 그럴 거 같으면 무효표를 던져라. 만약 당신이 선택한 그 후보가 당선되면 당신의 한 표도 미약하나마 책임이 있다. 그러니 나중에 비판하지를 말던지 투표를 하지 마라. 뭐 다 똑같은 인간들..
올해 CEO들이 열광한 세 권의 책 남한산성 김훈 지음/학고재 얼마나 팔렸나? 35만 부 정도가 팔렸다. 올해 국내 소설 가운데 가장 많은 판매 부수를 기록하고 있다. 왜 열광하나? 매일매일 치열한 전쟁터인 비즈니스에서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는 CEO들에게는 당시 난세였던 정국에서 인조의 의사결정 과정과 그 속의 리더십이 공감대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나는 어떻게 보나? 역시나 경제/경영서를 주로 봐왔던 나라서 남한산성을 역사라는 프레임으로 보기보다는 역사를 상황으로 보고 인조와 참모들의 역할에 초점을 둔 경영의 프레임으로 보았었는데 많은 국내 CEO들도 자신이 처한 상황에 빗대어서 공감했던 부분이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 내 리뷰 : 김훈이 "남한산성"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것은? ] 삼국지 경영학 최우석 지음/을유문화사 얼마나 팔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