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테의 취향

(5892)
DS 그립으로 교체 #0 요즈음에는 여가 생활이라고 하는 게 영화를 보거나 당구를 치거나 둘 중 하나다. 어찌보면 참 무료한 삶이라 생각하지만 그런 삶에도 의미를 부여하면 또 얘기가 틀려지는 법이기도 하고, 다음을 위한 준비로 참고 있을 뿐이라 생각한다.#1 원래 쓰던 그립은 검정색 롤링 고무 그립을 둘둘 말아서 사용했다. 큐가 무사시니 마치 검과 같이. 그런데 그거 사용한 지 한참 되서(임윤수 프로님 왈, 참 오래 사용한다~) 버렸지. 한동안 그립 없이 사용하긴 했는데 그러다 보니 큐대에 기스 많이 나더라. 뭐 그런 거 그닥 신경 쓰는 사람 아니다. 나는 물건 아끼는 사람 이해를 못 하거든. 아껴쓰는 거는 기본이겠지만, 물건을 애지중지하는 그런 거 별로. 그래도 눈에 띄는 그립이 있길래 샀다. DS 그립.13,000원이다..
황금시대(1930): 내 기준에서는 의미없는 영화 #0 나의 3,772번째 영화. 개인 평점은 4점. 내가 또 이런 얘기하면 별의별 덧글이 달릴 거라 생각하지만, 그런다 해도 내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이런 류의 영화가 대단한 작품으로 인정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면을 이해해야할 필요가 있는 건 사실이다. 당시의 시대 상황과 영화가 탄생하게 된 배경 말이다. 그런 걸 모르고 영화만 놓고 봤을 때 어떻다 하는 경우에는 몰랐던 부분을 얘기해주면 또 이해할 여지가 생긴다. 그러나 내가 싫어하는 류의 얘기들은 평론가들이 마치 뭔가 있는 듯 그럴싸하게 얘기하는 거다. 그렇게 영화를 예술이라고 놓고 보면 기실 예술이라는 거 자체가 정답이 없다. 정답이 없기 때문에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다. 또한 정답만 없는 게 아니라 답도 없다. 그래서 이렇게 해석한들 저렇..
새로 산 하이엔드 디카 DSC-RX100M3 #0 사실 내 개인적인 목적으로 사는 거 같았으면 DSC-RX100M5를 샀을 거다. 그런데 M4 버전도 아닌 그 이전 버전인 M3를 산 이유는 내가 이걸 산 목적에 부합하기 위함이었다. 동영상 촬영이 목적인데, 1080p 즉 Full HD급만 지원하면 되는 거거든. 액션캠이나 소니에서 새로 나온 RX0를 살펴보지 않은 건 아니지만 여러 가지 고려해서 DSC-RX100M3를 구매했다. 물론 회사 돈으로. 아직 법인 설립 전이라 다 비용 처리할 생각이다.#1 4K 세상에 왠 Full HD급?요즈음 왠만하면 다 4K 지원인데, 이런 세상에 왜 Full HD급을 샀냐 싶을 거다. 물론 넉넉한 경비로 사는 거면 당연히 DSC-RX100M5를 샀겠지. 허나 이제 막 시작하는 스타트업은 무조건 아껴야 한다. 왜냐면..
주차한 내 차 테러 #0 요즈음 차 잘 안 끌고 다닌다. 사무실도 집에서 가까운 일산으로 얻었고 해서 굳이 차 끌고 다니면서 주차비 내고 싶지 않았지. 물론 여유로운 삶을 살 때는 그런 거 신경 안 쓰지. 그러나 지금은 긴축 재정 모드인지라. 그래도 추운 날이면 차를 끌고 나서곤 한다. 이번 주 월요일 날씨가 추웠지. 그래서 차를 끌고 가려고 했다. 만약 차를 끌고 가려고 했던 게 아니었다면 내 차 이런 상태가 된 줄 모르고 지나쳤을 수도 있다. 천만다행. #1 전날 새벽에 주차하면서 뒷좌석 손잡이에 걸어둔 옷들도 집으로 들고 갔었다. 몇 달 째 걸려있었던 옷들인데 때마침 사고 전날 꺼내갔던 게지. 그래서 뒷문 상태가 어떤 지 분명히 알고 있었다. 왜 사고 나면 이 사고가 어디서 났는지 명확하게 기억하기가 쉽지 않잖아? 이..
다가오는 것들: 덤덤한 어조로 풀어낸 삶에 대한 단상 #0 나의 3,771번째 영화. 개인 평점은 6점. 을 보면서도 느끼는 바, 역시 나랑 프랑스 영화는 안 맞다는 거. 내가 철학적 사유를 싫어하는 것도 아닌데 그렇다. 아마도 그건 프랑스 영화는 다소 문학적이라서 문학을 그닥 좋아하지 않는 나라 그런 게 아닌가 싶다. 이 영화 상당히 단조롭다. 아마도 이런 류의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보다 보면 졸릴 지도 모를 정도. 그렇다고 내가 졸았던 건 아니지만, 심심하다는 생각을 지울 순 없었던 영화.#1 한 가지 이 영화를 보면서 대단하다 생각했던 건, 이자벨 위페르의 연기가 아니라 나보다 어린 나이의 감독이 각본을 써서 만든 작품이라는 거. 나이를 생각해보면 경험치는 짧을 텐데 이런 정도의 삶에 대한 성찰을 할 수 있다는 건 그만큼 많은 철학적 사유를..
미옥: 캐스팅은 화려했다만 #0 나의 3,770번째 영화. 개인 평점은 5점. 나름 화려한 캐스팅에 뭔가 있을 듯 싶은 인상이었지만 실망할 수 밖에 없었던 영화가 아닌가 싶다. 사랑 때문에 배신하는 거야 여느 영화에서도 많이 보이는 면이지만, 어떻게 풀어나가느냐에 따라 감흥은 많이 다른 법. 그 사랑이 너무나도 강렬해서 그렇게 될 수 밖에 없었음을 몇몇 대사로만 표현되다 보니 나와 같은 관객의 입장에서는 그닥 설득력이 있다거나 이해가 되지 않는다. 나름 독특한 스토리를 만들면서 눈이 높아진 관객의 수준에 맞추기 위해 자극적인(야한 게 아닌 잔인한) 장면을 많이 삽입한 노력의 흔적은 보이나 기본에 충실하지 못한 게 아쉬운 영화.#1 김혜수는 연기력에 비해 작품 선택을 잘 못 하는 게 아닌가 싶다. 주연이라 하더라도 여러 주연 속에서..
킹스맨: 골든 써클 - 역시 속편은 전편에 비해 별로 #0 나의 3,769번째 영화. 개인 평점은 7점. 보통 이런 류의 코믹 액션 영화들이 늘상 그러하듯 속편은 전편에 비해 재미가 덜하다. 첫편을 본 관객들이 속편에 거는 기대를 충족시켜주려면 첫편보다 강렬한 무엇이 없으면 쉽지 않다. 첫편이야 경험치가 없으니 신선할 수 있어도 속편은 그런 면에서 얻는 게 없고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부담만 되니까. 뻔한 스토리에 CG를 활용한 보여주기식 연출은 이런 류의 영화가 가진 한계성을 잘 보여주는 듯. 역시나 나 이외에 많은 이들도 전편에 준 평점에 비해 속편에 준 평점이 다소 낮은 걸 보면(전체 평점 분포도를 봤을 때) 대부분 그렇게 느끼는 듯 싶다. 물론 예외도 분명 있겠지만.#1 개인적으로 이 영화는 보고 싶다해서 봤다기 보다는 정장 패션을 보기 위해 꼭 봐야..
배드 지니어스: 컨닝을 사업화한 범죄 이야기지만 공감할 만한 요소가 많은 영화 #0 나의 3,768번째 영화. 개인 평점은 8점. 지니어스. 천재. 개인적으로 이런 캐릭터가 등장하는 영호를 좋아한다. 왜냐. 기본적으로 재밌어. 아무래도 범상치 않은 캐릭터니 그만큼 어떤 문제를 독창적으로 해결해나가는 게 재밌거든. 그래서 선택해서 본 영화인데, 괜츈. 다루는 소재도 독특하거니와 스토리 전개도 괜찮고 그 속에 녹여낸 현실적인 문제와 인물들 간의 대립과 해소 또한 좋았던 영화다.지금껏 태국 영화를 단 한 편도 안 봤던 건 아니지만 대부분 별로였다. 광고는 그렇게 스토리텔링을 잘 하면서 왜 영화는 못 만드나 싶었는데 는 볼 만하다. 게다가 누구나 학창 시절을 겪어왔기에 컨닝이라는 소재는 친숙하기도 하지만, 지금껏 컨닝을 메인 소재로 다루는 범죄 영화가 있었던가? 신선했지. 그래서 바로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