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테의 취향

(5875)
효도르 질 수도 있지. 명예회복이라니??? 삼보라면 질 수도 있다 MMA에서 졌다면 그런 표현을 써도 무방하겠지만, '2008 삼보월드챔피언십'에서 졌다면 그럴 수도 있는 거다. 일단 삼보 경기는 룰이 다르다. 타격이 제한적이라 그라운딩 위주의 경기다. 효도르의 장점하면 빠른 핸드 스피드와 타격 센스, 힘, 그라운딩등의 기술 밸런스가 좋다는 것인데, 그 중에 일부가 제한적이라면, 효도르의 장점을 최대한 발휘하기는 힘들다는 얘기다. 이렇게 생각해보자. 효도르가 헤비급 복싱 경기에 나가면 이길 수 있을까? 또는 아부다비 컴뱃 경기에 나가면 항상 이길까? 즉 룰이 다르면 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물론 MMA에서도 효도르가 패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당분간은 그런 결과가 나오기는 힘들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효도르가 MMA 경기에 임하는 것과 삼보 경기..
1970년대의 20대의 밤문화, '고고70' 총평 2008년 10월 7일 본 나의 2,760번째 영화. 밤에 싸이렌 소리가 들리면 불을 꺼야 했었다. 가끔씩 불 꺼라고 외치는 소리도 들렸고... TV를 보기 위해서는 창의 커튼을 닫아둬서 빛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봐야했던 시절이 있었다. 그 때가 1970년도 말 아니면 1980년도 초였을 것이다. 그런 시대를 살아왔기에 사실 1970년대를 배경으로 한 이 영화가 얼마나 리얼리티를 살린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1960~1970년대 문화의 주류는 카바레와 고고클럽이라고 한다. 카바레는 어른들의 놀이터였다고 한다면 고고클럽은 20대의 놀이터. 지금의 나이트클럽 문화와 별반 차이는 없지만 당시가 오히려 나는 더 자유롭게 느껴진다. 당시에도 지금의 부킹이라고 불리는 것이 존재 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지..
수학자들의 두뇌 플레이라고 하긴 싱거운 '페르마의 밀실' 총평 2008년 9월 13일 본 나의 2,748번째 영화. 수학자 4명이 펼치는 두뇌 게임이라는 말에 현혹되어 기대하고 봤었는데 기대에 못 미친 듯 하다. 간단한 내용만 듣고서는 라는 영화를 떠올리면서 재미있을 거라 생각했었는데... "4명의 수학자들은 왜, 어떻게 모이게 되었으며, 왜 그들은 밀실 속에 갇혀서 죽음을 담보로 한 퀴즈 게임을 해야만 했을까?" 내가 이렇게 얘기한다면 아마 재밌겠다고 생각하는 사람 많이 있을 듯 하다. 그러나 기대에 못 미치는 것 뿐만 아니라 조금은 지루하기 까지... 내용만 놓고 보면 재미있을 듯 한데 지루하고 극적이지 않은 전개가 영화 전반적인 재미를 떨어뜨린 것은 아닌가 한다. 여기에 나오는 퀴즈들은 대부분이 어느 퀴즈북에서 본 기억이 있던 그런 퀴즈들이다. 내용이나 ..
싸우지 않고 이기려면... 최상책과 차선책 최상책: 적국을 온전히 두고 굴복시키는 것 차선책: 전쟁을 일으켜 적국을 공격해 굴복시키는 것 최상책: 적의 군사를 그대로 두고서 항복시키는 것 차선책: 전투를 벌여서 적군을 물리치고 항복시키는 것 최상책: 적의 대대를 온전히 투항시키는 것 차선책: 적의 대대를 격파하는 것 최상책: 적의 중대를 온전히 굴복시키는 것 차선책: 적의 중대를 무찌르는 것 최상책: 적의 분대를 온전히 생포하는 것 차선책: 적의 분대를 베어 죽이는 것 * * * 다 아는 말이지만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최상이다. 그러나 세상 일이라는 것이 꼭 내 뜻대로 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차선책이 필요할 때도 있는 것이다. 차선책을 택하려면 힘이 있어야 한다. 고로 힘이 없을 시에는 택할 수 있는 차선책이란 없다. 차선책이 없는 최상책..
한국 증시와 세계 증시 비교 이거 보고 엄청 웃었네~ 그것도 오밤중에 소리 내면서 말이다. 애 표정 정말 죽인다~ 각국의 아이 모델이 정말 그 나라를 대표하는 듯하다. 특히 개인적으로는 영국 아이 모델이 맘에 든다. 벌써 어린 나이에 성숙해~ ^^
1대 몇? 잘 싸우네... 자세를 보니 권투인 듯 한데 잘 싸운다. 특히 흰 옷 입은 남자 주목~ 맞을 때마다 튕겨나간다. 결국 실신했다. 역시 구경은 싸움 구경이 최고~! 그래서 격투경기가 재밌다니까...
21살에 요절한 수학자, 갈루아 이라는 영화를 보면, 영화 속에 유명한 수학자들이 닉네임으로 거론된다. 영화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그들의 나이는 정확하게 자신이 닉네임으로 쓰고 있는 수학자들이 죽은 나이와 같아서 그들의 죽음을 암시하는 역할을 한다. 그 영화를 보고 있다가 갈루아라는 수학자가 궁금했다. 보통 우리 일반인들이 아는 수학자라고 한다면 기껏해야 우리가 정규 학교 교육을 받으면서 이론이나 공식에서 언급된 수학자가 아니고서는 잘 모르겠지만 궁금했던 이유는 21살에 죽었다고 되어 있어서였다. 에바리스테 갈루아: Evariste Galois 여자같아 보이는 외모라 개인적으로는 생김새는 맘에 안 든다. ^^ 그리고 관상은 알지는 못하지만 생김새가 꽤나 까칠해 보인다. 원래 천재들은 인정받지 못할 때 까칠해지곤 하지만... 이렇게 남겨..
영화 속 동,서양의 쌍권총질 기관총 난사 하면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이 알 파치노 주연의 의 마지막 장면이다. "mother fucker"를 연신 외치면서 쏘아대는 알 파치노의 모습을 잊을 수가 없다. 그러나 확실히 총을 쏘는 장면의 연출에 있어서는 쌍권총만한 것이 없는 듯 하다. 물론 쌍권총하면 생각나는 것이 홍콩 느와르긴 하지만 서양 영화에서도 그들만의 독특한 쌍권총질을 볼 수 있다. 동양의 쌍권총질 01/ 영웅본색 뭐 쌍권총의 진수를 보여준 최초의 작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듯 싶다. 홍콩 느와르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이 작품에서 보여준 쌍권총질은 서양 영화에서 보이는 기교적인 멋스러움은 없다. 그러나 기억에 남는 것은 맞으면서 서로 쏴대는 장면들이 기억에 남는다. 02/ 첩혈쌍웅 이후에 나온 홍콩 느와르를 보면 과는 조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