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테의 취향 (5905) 썸네일형 리스트형 다산의 일대기를 그린 '다산 정약용 유배지에서 만나다' 다산 평전(評傳) 독서클럽 인문사회팀의 11월 도서여서 읽은 책인데 11월달에는 다산 관련 서적들만을 읽었던 지라 다른 책들과 비교가 되었던 책이다. 나만 그런 것이 아니라 읽은 사람들 모두가(모두라고 해봐야 얼마 되지 않으니 일반화시키기는 힘들겠지만) 조금은 지루했다고 평하는 것을 보니 조금은 눈에 쉬이 읽히는 재미있는 책과는 거리가 멀다. 그것은 아마도 30년이라는 기간 동안 다산을 연구해온 저자가 너무나도 많이 알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조심스레 생각해본다. 즉 너무나 많은 것들을 알려주기 위해서 자신이 갖고 있는 많은 지식을 담기 위해서 거기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그런 것은 아닐까 싶다. 물론 좀 더 좋은 책을 만들기 위해서 그렇게 한 것이었겠지만 조금 재밌게 읽히는 책이었다면 더 좋았을텐데 하는 .. 흡입력 있는 스토리에 빠져들 만한 '맨 프럼 어스 (The Man from Earth)' 총평 2008년 11월 30일 본 나의 2,771번째 영화. 이 영화는 SF 영화다. 그런데 특수 효과 전혀 없다. 등장하는 인물 또한 10명이 채 못 된다. 게다가 실시간이다. 즉, 영화 속 시간의 흐름과 실제의 시간의 흐름이 같다는 거다. 1시간 30분이 채 안 되는 러닝타임을 영화 속 주인공과 친구들의 대화로 채우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재밌다. 나같은 경우는 영화의 내용에 아주 몰입을 해서 봤을 정도였다. 그것은 이 영화의 주인공이 퍽이나 특이했고(설정의 독특함) 그가 하는 이야기가 매우 재미있었기 때문이다.(스토리의 재미) 물론 그 중에는 꽤나 반발을 일으킬 만한 요소가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나같은 경우에는 원작자가 왜 이런 얘기를 하고자 함이었는지 알 수 있을 듯 하다. 물론 그것 마저도 내 해석.. 수학 답안지 넘 웃겨~ 어떻게 이렇게 생각을 할 수가 있는지... 마지막 5번 문제는 정말 골 때린다. 너무 웃겨서 배가 아프다... 그래도 이런 애들이 뭐 상상력이 풍부하다던지 기획 관련 일을 하면 참 잘 하는데... 내 경험상~~~ 그렇다는... 물론 다 그런 건 아니지만. '도올 김용옥 비판' 참 재밌는 책이군~ 위 사진은 '도올 김용옥 비판'이라는 책에 나오는 부분이다. 뭐 이를 두고 옳고 그름을 논하자는 얘기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나는 도올을 존경하는 사람이다. 물론 어떤 부분을 존경하느냐 하는 부분에서 얘기하면 얘기가 달라지겠지만. 아직 책 안 읽었다. 몇몇 부분을 훑어봤을 뿐이다. 언젠가는 읽어보려고 리스트 업을 해두었으나 문득 이 부분을 보고 책 정보를 좀 보려고 온라인 서점에 갔다가 눈에 밟히는 리뷰들을 봤다. 대부분이 이 책을 접하기 전에는 도올 김용옥을 좋아했었고, 이 책을 읽고 난 다음에는 도올 김용옥을 쪼다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많다. 과연...... 그들이 정녕 주체적인 사고를 갖고서 한 판단인지 사뭇 궁금하다. 이 말이 비아냥이나 조소로 비춰질 수도 얘기하자면, 아.. 제발 좀 나를 이겨달라고!!! 전화가 왔다. "소주 한 잔 할래?" 오랜만에 이런 전화 받는다. 일단 당구 한 게임 먼저 하자고 했다. 술 먹고 치지 말고 술 먹기 전에 치자는 뜻에서. 당구장에서 만났다. 요즈음 전적이 좋은 나로서는 질 자신이 없었다. 초반 수월하게 진행되다가 당연히 맞아야할 공이 새거나 쫑나고. (쫑이 잘 안나는 공인데도 쫑나는 경우) 이제는 못 치기까지... 첫끗발이 개끗발? 어쨌든 역전을 당해 가라꾸를 먼저 들어간 한방블르스님. 돗대 남겨두고 역전 당했지만 따라잡고 쓰리 가라꾸에서 샌 공이 쪼단으로 운좋게 들어가 첫판 승.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말 겐세이. ㅋㅋㅋ 250 다마 구사하시는 한방블르스님 기리를 빵쿠(공 쿠션)라고 우기시기까지. 사실 그게 예전에 부산에서 죽빵을 칠 때도 문제가 많았던 공인데 .. 일산에서 자주 가는 포장마차 '푼수마을' 일산 블로거 모임 때문에 인연이 된 한방블르스님의 단골집이다. 일산 블로거 모임은 원래 라페스타에서 시작되었으나 화정역 근처 분들이 많아 화정역으로 옮겨서 일산 블로거 모임 때는 여기 오지 않는다. 그냥 한방블르스님이 퇴근하시다가 전화오면 항상 만나기로 하는 '거기'가 바로 이 집이다. 근데 오늘 이 집 가게명을 처음 알았다. 푼.수.마.을. 왜 푼수마을인가 했더니 한방블르스이 그러신다. "누나(주인 아주머니)가 푼수끼가 있잖아." 한방블르스이 누님이라고 하니 나도 누님이라고 부른다. 누님 미인이시다. 고생을 많이 하신 흔적이 있긴 하지만 미인이시다. 한방블르스님은 누님의 딸도 봤다는데 이쁘단다. 탤런트 급이란다. 그러나 아직 고등학생이라는... ^^ 어쨌든 이 집에 가면 항상 고정적으로 시키는 메뉴가 .. 효도르 질 수도 있지. 명예회복이라니??? 삼보라면 질 수도 있다 MMA에서 졌다면 그런 표현을 써도 무방하겠지만, '2008 삼보월드챔피언십'에서 졌다면 그럴 수도 있는 거다. 일단 삼보 경기는 룰이 다르다. 타격이 제한적이라 그라운딩 위주의 경기다. 효도르의 장점하면 빠른 핸드 스피드와 타격 센스, 힘, 그라운딩등의 기술 밸런스가 좋다는 것인데, 그 중에 일부가 제한적이라면, 효도르의 장점을 최대한 발휘하기는 힘들다는 얘기다. 이렇게 생각해보자. 효도르가 헤비급 복싱 경기에 나가면 이길 수 있을까? 또는 아부다비 컴뱃 경기에 나가면 항상 이길까? 즉 룰이 다르면 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물론 MMA에서도 효도르가 패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당분간은 그런 결과가 나오기는 힘들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효도르가 MMA 경기에 임하는 것과 삼보 경기.. 1970년대의 20대의 밤문화, '고고70' 총평 2008년 10월 7일 본 나의 2,760번째 영화. 밤에 싸이렌 소리가 들리면 불을 꺼야 했었다. 가끔씩 불 꺼라고 외치는 소리도 들렸고... TV를 보기 위해서는 창의 커튼을 닫아둬서 빛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봐야했던 시절이 있었다. 그 때가 1970년도 말 아니면 1980년도 초였을 것이다. 그런 시대를 살아왔기에 사실 1970년대를 배경으로 한 이 영화가 얼마나 리얼리티를 살린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1960~1970년대 문화의 주류는 카바레와 고고클럽이라고 한다. 카바레는 어른들의 놀이터였다고 한다면 고고클럽은 20대의 놀이터. 지금의 나이트클럽 문화와 별반 차이는 없지만 당시가 오히려 나는 더 자유롭게 느껴진다. 당시에도 지금의 부킹이라고 불리는 것이 존재 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지.. 이전 1 ··· 526 527 528 529 530 531 532 ··· 7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