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테의 취향

(5953)
K-1 Dynamite 2008: 알리스타 오브레임 vs 바다하리 알리스타 오브레임: Alistair Overeem 2008년도 연말 격투 경기들은 참 많은 이변을 낳은 경기들이었다. 이 경기를 보면서 알리스타 오브레임 진짜 많이 컸다는 생각이 들었다. 체중 증가에 따른 파워 증가 이외에도 기량이 많이 상승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원래 알리스타 오브레임 하면 1라운드 초반에 승부를 보려고 달려드는 격투 초보가들에서나 볼 수 있는 그런 파이팅 스타일이었다. 그런 그였기에 1라운드 초반에는 몰아부치고 힘을 다 소진해버려서 시간이 지날수록 극심한 체력 저하라는 문제를 드러냈었고, 초반부터 몰아부치는 그의 스타일은 카운터를 허용하기가 쉬워서 KO당하는 경우도 적잖이 볼 수 있었다. 그의 주특기 하면 길로틴 초크를 든다. 근데 이건 사실 헤비급 시절이 아닌 미들급 시절의 ..
K-1 Dynamite 2008: 미르코 크로캅 vs 최홍만 최홍만의 기량 경기 결과야 많은 사람들이 예상한 결과였겠지만 이기고 지는 것을 떠나 경기 내용이 어떠했느냐에 따라 이 경기를 어떻게 평가하느냐가 달라질 듯 하다. Aggressive한 공격이 그리 많지 않은 최홍만이기에 여기서도 적극적인 공격을 예상하지는 않았지만 클린치 압박과 그라운드로 가려는 의지가 그리 보이지는 않았던 듯 싶다. 스탠딩 상태에서의 크로캅과의 대결에서는 KO패가 될 수 밖에 없으리라 예상했건만... 최홍만의 기량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낀다. 극복해나가야할 문제라고 생각하지만 쉽지 않을 듯 하다. 최홍만이 그렇게 쓰러졌지만 사실 경기장에서 관전하면 퍽퍽하는 소리가 마치 몽둥이로 때리는 양 무섭게 들린다. K-1 입식 타격가 출신인 크로캅의 킥 또한 그런 킥이다. 그런 것을 쉽게 생각..
오픈캐스트의 제한적 본인 확인 이슈 이 글은 Digital Identity Stories를 운영하고 계신 juni님의 '네이버 오픈캐스트를 누구나 운영할 수 있을까?'의 글에 대한 개인 견해를 얘기하는 글 중의 두번째 글이다. 너무 길어서 내용상 나눴다. [1편] 오픈캐스트의 또다른 저작권 이슈 [2편] 오픈캐스트의 제한적 본인 확인제 이슈 제한적 본인 확인제란? 우선 제한적 본인 확인제가 뭔지를 알아야할 것 같다. 그래서 네이버 백과사전에 있는 것을 그대로 가져와서 옮긴다. 하루 평균 방문자수가 10만 명 이상인 인터넷 포털 사이트와 언론사 사이트 등의 게시판에 이용자가 글을 올리려면 서비스 사업자가 실시하는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 2006년 12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이 국회..
중국에서는 티스토리 접속이 안 돼? 오픈캐스트로 알게된 네이버 블로거를 통해서 알게된 건데, 중국에서는 티스토리로 접속이 안 되나? 어제 티스토리 장애가 있었기에 혹시나 싶어서 글을 남긴 시간을 봤더니 2009년 1월 2일 오전 10시 12분이다. 어제 티스토리 장애가 있었던 시각이 아니잖은가? 그 블로거의 말로는 중국에서는 막혀 있어서 티스토리에 있는 내 원글을 볼 수 없다는데... 혹시 이에 대해서 아시는 분 있으면,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오픈캐스트의 또다른 저작권 이슈 들어가기에 앞서 이번에는 그냥 모니터링을 한 게 아니라 우연히 발견한 글을 읽다가 그 글에 대한 내 견해를 밝히려고 적는 글이다. IT 분야에서는 영향력 있는 블로거이신 Channy님의 블로그에 올라온 다음의 글을 읽다가 그 글에 링크된 글을 읽고서 적는 글이다. - Channy's Blog: 오픈캐스트 vs. 블로거 뉴스 - Digital Identity Stories: 네이버 오픈캐스트를 누구나 운영할 수 있을까? 이 글은 Digital Identity Stories를 운영하고 계신 juni님의 '네이버 오픈캐스트를 누구나 운영할 수 있을까?'의 글에 대한 개인 견해를 얘기하는 글로 너무 길어서 두 개로 나누어서 올린다. 이 글은 그 첫번째로 저작권 관련 이슈에 대해서 다룬다. 그래도 이 글은 긴 편..
정독도서관에서 만난 허경영의 책? 정독도서관에서 자료 찾으면서 둘러보다가 발견한 것인데 얼핏 봤을 때 난 지난 2008 대선 후보 허경영인 줄 알았다. 근데 저자를 보니 허경영이 아닌 이계익. 누구지? 찾아보니 전 교통부 장관의 정부 고위직 출신이다. 지금에야 연세가 연세이신지라 전혀 다른 모습을 하고 있지만 젊었을 때 찍은 책 표지의 사진은 허경영을 연상케 한다. ^^ 얼핏 보면 닮지 않았나? ^^ 뿔테 안경만 쓰면 비슷하게 보일 듯~
대학생들 독서는 레포트 제출 때문? 오픈캐스트에 베타캐스터로서 양서를 선정하고 그 도서에 관련된 다양한 시각의 리뷰를 선별하기 위해서 책 리뷰 관련해서 검색을 하다 보면서 느낀 것인데, 생각보다 레포트 제출을 위해서 독서를 하는 경우가 많은 듯 하다. 그런 수요가 있어서 그런지 레포트 제출용으로 문서를 파는 업체들의 광고성 글들도 꽤나 많다. 요약 정리한 것이라든지 레포트 참조용으로 활용할 문서들. 게다가 스크랩도 많은 편이다. 가끔씩 잘 쓴 글을 보다보면 이게 직접 쓴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그 블로그의 다른 글들을 보는 경우가 있다. 그러다 보면 이거 다른 데서 긁어왔구나를 알 수 있으니... 뭐 우리나라 독서인구가 생각보다는 많지 않은 수준이고 그 중의 많은 수가 자기계발이나 문학 분야에 치우친 게 현실인 것을 모르는 바는 아니다. ..
트랜스포터: 라스트 미션 - 유난히 옥의 티가 많았던 나의 2,775번째 영화. 제이슨 스타뎀을 일약 스타로 만들어준 영화의 세번째 시리즈인 만큼 1편과 2편에서 맛본 느낌을 이번에도 기대했지만 다소 이번 영화는 난무하는 옥의 티로 인해 개연성 있는 액션 영화라기 보다는 그저 그런 액션 영화가 된 듯한 느낌이다. 여기에 수많은 옥의 티는 나중에 얘기하기로 하고 "Rule No.1"을 외치면서 자신의 일만 묵묵하게 하던 Transporter가 자신의 Rule을 모두 다 깨버리는 것은 다소 의외였던 부분. 그렇다고 해서 재미가 없지는 않다. 액션 영화답게 볼 거리를 제시해주는 부분은 많았으니까. 옥의 티 01/ 깨진 유리창 제이슨 스타뎀이 자신의 차를 타고 도망치는 녀석을 잡기 위해 운전석 유리창을 깨고 들어가는 장면과 그 이후 장면이다. 여기서 옥의 티가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