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테의 취향

(5904)
싸우지 않고 이기려면... 최상책과 차선책 최상책: 적국을 온전히 두고 굴복시키는 것 차선책: 전쟁을 일으켜 적국을 공격해 굴복시키는 것 최상책: 적의 군사를 그대로 두고서 항복시키는 것 차선책: 전투를 벌여서 적군을 물리치고 항복시키는 것 최상책: 적의 대대를 온전히 투항시키는 것 차선책: 적의 대대를 격파하는 것 최상책: 적의 중대를 온전히 굴복시키는 것 차선책: 적의 중대를 무찌르는 것 최상책: 적의 분대를 온전히 생포하는 것 차선책: 적의 분대를 베어 죽이는 것 * * * 다 아는 말이지만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최상이다. 그러나 세상 일이라는 것이 꼭 내 뜻대로 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차선책이 필요할 때도 있는 것이다. 차선책을 택하려면 힘이 있어야 한다. 고로 힘이 없을 시에는 택할 수 있는 차선책이란 없다. 차선책이 없는 최상책..
한국 증시와 세계 증시 비교 이거 보고 엄청 웃었네~ 그것도 오밤중에 소리 내면서 말이다. 애 표정 정말 죽인다~ 각국의 아이 모델이 정말 그 나라를 대표하는 듯하다. 특히 개인적으로는 영국 아이 모델이 맘에 든다. 벌써 어린 나이에 성숙해~ ^^
1대 몇? 잘 싸우네... 자세를 보니 권투인 듯 한데 잘 싸운다. 특히 흰 옷 입은 남자 주목~ 맞을 때마다 튕겨나간다. 결국 실신했다. 역시 구경은 싸움 구경이 최고~! 그래서 격투경기가 재밌다니까...
21살에 요절한 수학자, 갈루아 이라는 영화를 보면, 영화 속에 유명한 수학자들이 닉네임으로 거론된다. 영화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그들의 나이는 정확하게 자신이 닉네임으로 쓰고 있는 수학자들이 죽은 나이와 같아서 그들의 죽음을 암시하는 역할을 한다. 그 영화를 보고 있다가 갈루아라는 수학자가 궁금했다. 보통 우리 일반인들이 아는 수학자라고 한다면 기껏해야 우리가 정규 학교 교육을 받으면서 이론이나 공식에서 언급된 수학자가 아니고서는 잘 모르겠지만 궁금했던 이유는 21살에 죽었다고 되어 있어서였다. 에바리스테 갈루아: Evariste Galois 여자같아 보이는 외모라 개인적으로는 생김새는 맘에 안 든다. ^^ 그리고 관상은 알지는 못하지만 생김새가 꽤나 까칠해 보인다. 원래 천재들은 인정받지 못할 때 까칠해지곤 하지만... 이렇게 남겨..
영화 속 동,서양의 쌍권총질 기관총 난사 하면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이 알 파치노 주연의 의 마지막 장면이다. "mother fucker"를 연신 외치면서 쏘아대는 알 파치노의 모습을 잊을 수가 없다. 그러나 확실히 총을 쏘는 장면의 연출에 있어서는 쌍권총만한 것이 없는 듯 하다. 물론 쌍권총하면 생각나는 것이 홍콩 느와르긴 하지만 서양 영화에서도 그들만의 독특한 쌍권총질을 볼 수 있다. 동양의 쌍권총질 01/ 영웅본색 뭐 쌍권총의 진수를 보여준 최초의 작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듯 싶다. 홍콩 느와르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이 작품에서 보여준 쌍권총질은 서양 영화에서 보이는 기교적인 멋스러움은 없다. 그러나 기억에 남는 것은 맞으면서 서로 쏴대는 장면들이 기억에 남는다. 02/ 첩혈쌍웅 이후에 나온 홍콩 느와르를 보면 과는 조금 ..
수학의 노벨상인 필즈상을 거부했던 수학자: 그레고리 페렐만 새천년 문제들: Millennium Prize Problems '골드바흐의 추측(Goldbach's conjecture)', '힐버트의 기본문제'와 더불어 현재까지 수학적 난제로 일컬어지는 '새천년 문제들(Millennium Prize Problems)'이다. 새천년 문제들은 7개의 문제로 구성이 되어 있고, 각 문제당 100만 달러의 상금이 걸려 있다. 이 상금은 1998년에 설립된 클레이 수학 연구소(Clay Mathmatics Institute, CMI)라는 비영리 단체에서 2000년도에 내건 상금인데 이는 하바드에서 수학을 전공하다가 그만두고 보스톤에서 사업으로 성공한 클레이(Landon T. Clay)라는 사람에 의해서 설립되었다. 현재 그는 'East Hill'이라는 투자 회사의 CEO로 활동..
최고를 위한 테스트 코스: 뉘르부르크링(Nurburgring) 트랙 뉘르부르크링 트랙: Nurburgring 이 뉘르부르크링 트랙은 독일의 히틀러가 지시해서 1925년에 만들었다. 25.9km의 지구상에서 가장 긴 트랙으로 위의 Google 어스로 본 그림에서 세 개의 트랙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 중에 20.832km에 달하는 노르드슐라이페(Nordschleife)는 별칭이 녹색 지옥(Green Hell)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트랙은 경기가 없을 경우에는 일반인들에게 유료로 개방이 되는데 왼쪽 깜빡이를 켜고 왼쪽으로 추월해야 한단다. 뭐 별로 색다른 룰은 아닌듯. 우리나라 고속도로에서 추월할 때나 마찬가지다. 가끔씩 고속도로를 달릴 때 시속 100km를 유지하면서 1차선 달리는 그런 사람들 보면 나는 이해가 안 간다. 거기다가 비켜주지도 않으면 바싹 갖다붙여서 쌍라이트..
요즈음 당구를 치면 지지를 않는다 추석 때 부산에서 친구들이랑 죽빵을 치면서 돈을 잃었었는데(홀라당~) 그 때 많이 배웠는지 그 날 이후로 당구를 치면 지지를 않는다. 나보다 다마는 낮지만 아주 꽉찬 150의 지인한테도 이기고(비등비등했는데 말이다.) 내가 항상 져서 내게는 천적이었던 의동생한테도 벌써 3연승째다. 이제 슬슬 복수전을 해야겠다. 복수전하니 떠오르는 사람들이 있다. 일산 블로거 모임에서 겐뻬이로 해서 졌으니 똑같은 팀 구성으로 꼭 이겨야겠고, 하나는 가장 친한 친구인 희원이한테서인데, 이 녀석이 80이다. 80인데 아주 꽉꽉 찬 80이라 조심해야 하기도 하지만 이 녀석의 후루꾸는 정말 상상을 초월할 정도다. 아무리 80이라도 쿠션이 있는데 이 쿠션을 거의 후루꾸 또는 쫑으로 끝낸다니... 어쨌든 올해 다 가기 전에 다 복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