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1041)
레드카펫: 이상한 영화 아냐~ 봐바. 재밌고 괜찮아~ 이상한 영화인 줄 알았다. 볼 생각도 없었고. 근데 윤계상이 나오길래 봤다. 가수 출신이지만 연기 잘 한다 생각하는 배우 중에 한 사람으로 생각하기에. 게다가 또 난 윤계상의 이미지가 좋아. 매력 있어. 그래서 봤다. 영화 별 기대 안 하고. 근데 재밌네. 코믹 멜로물인데, 괜찮아. 물론 현실성은 좀 떨어지지. 그러니까 영화 아니겠냐고. 그래도 영화에서라도 이렇게 풀어나가는 게 맞다고 봐~ 개인적으로 윤계상이 맡았던 정우란 캐릭터 맘에 들어. 사람이 이래야지. 정우란 캐릭터는 현실성 있었는데, 정작 현실성 없는 캐릭터는 고준희가 맡았던 은수. 뜨기 전에 알았던 사람. 게다가 상대는 에로 감독. 이 즈음 되면 안 엮이려고 하는 게 당연한 거 아니겠어? 연예인이라는 게 어차피 이미지로 먹고 사는 직업인데 말..
내가 잠들기 전에: 책에 대한 찬사만큼의 영화는 아니었던 스릴러 원작이 소설이다. 나야 책을 읽어도 소설은 안 읽는지라(왜 스토리를 좋아하는 내가 소설은 안 읽는데? 대신 영화를 많이 보잖아. 물론 글과 영상은 감동이 다르긴 하지만 말이다) 원작 소설이 얼마나 대단한 지는 모르겠다만, 영화로 본 는 그리 찬사를 보낼 정도 수준은 아니다. 개인적으로 최근에 본 스릴러 중에서는 가 훨씬 더 나았다고 본다. 러닝타임이 두 배 정도 차이가 남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의 러닝타임은 92분으로 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내용만 따지면 74분 정도 밖에 안 된다. 기억상실증을 소재로 다룬 영화하면 떠오르는 건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조나단 놀란 각본의 라는 걸출한 영화가 있기에 를 본 사람이라면 의 내용이 그리 신선하다거나 반전이 있다거나 하지는 않았을 듯 싶다. 그래서 이런 스토리가..
[신작 미리보기] 엑소더스: 신들과 왕들 - 영화로만 본다면 재밌을 듯 곧 개봉할 영화 은 모세와 람세스의 얘기다. 모세하니까 성경을 떠올리기 쉬운데 그 얘기 맞다. 다소 우려되는 건 이 얘기를 마치 사실로 받아들이지나 않을까 하는 부분. 특히나 기독교인들과 같은 경우에 말이다. 왜? 예고편을 보니 성경의 스토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 않나 싶어서다. 사실 리들리 스콧 감독 개인적으로 좋아라한다. 그의 작품들 중에서 내가 좋아하는 작품들도 많고 말이다. 그러나 리들리 스콧 감독 작품 중에 역사적 사실에 기반하여 만든 영화는 조금 유의깊게 봐야할 필요가 있다. 리들리 스콧 감독은 흥행 코드는 알지만 역사적 사실에 대해 다룰 때 나름 사실이 어떠했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 정신은 결여된 감독이라 생각하기에 이걸 곧이 곧대로 받아들이지 말고 영화로써 재밌게 보면 되지 않을까 싶다..
제보자: 영화는 재밌지만, 곡해되어 있다 임순례 감독의 작품 중에 좋아하는 거 많다. 그래서 임순례 감독이 맡은 작품이고 또 연기 잘 하는 배우 박해일이 나와서 믿고 봤다. 재미는 있다. 그러나 이 영화는 편파적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그래서 임순례 감독한테 실망했다. 이렇게 민감한 대국민 사건을 다루는 영화라고 한다면 적어도 진실 여부에 대해서는 나름 검증을 해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물론 임순례 감독이 각본을 적은 건 아니다. 각본, 각색을 맡은 사람들 왜 이렇게 스토리를 구성했는지 모르겠지만 흥행을 위해서 사람들이 듣고 싶어하는 얘기를 하는 건 내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만, 자칫 사실과 다른 내용이 전달되어 곡해될 소지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책임을 질 거냐? 당신네들이야 그렇게 시나리오 적어서 돈 벌면 그만이지만 말이..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삼류 코믹 SF인 줄 알았는데 재밌다 개인적으로 코믹류는 그닥 선호하지 않는지라 예고편을 보고 그런 류의 영화라 생각해서 볼 생각을 안 했던 영화인데, 창걸이형이 페이스북에서 영화 재밌다고 하길래 그래? 싶어서 본 거였다. 재밌네. ㅋㅋ 난 내가 믿는 사람들 얘기는 잘 듣는 경향이 있지. 창걸이형도 영화 많이 보고 '출발 비디오 여행'을 통해서 영화 소개 많이 해주던 사람 아닌가. 믿고 봤을 뿐. 사실 예고편은 오래 전에 봤지만, 진지함보다는 우스꽝스러움, 멋진 히어로보다는 삼류 히어로 뭐 그런 느낌이 강했다. 이렇게 적고 보니 나도 이런 류의 영화에서는 비주류보다는 주류를 택하는 경향이??? 아마 시리즈로 나오지 않을까 싶은데 다음 편이 나온다 해도 믿고 봐도 될 듯 싶다. 내용은 얘기 안 한다. 그냥 함 봐바. 기대 이상은 되지 않을까 ..
행복한 사전: 잔잔하지만 여운이 남는 영화, 추천 일본 영화가 다 그런 건 아니지만 잘 골라서 보면 잔잔하면서도 울림이 있는 영화가 꽤 있다. 그 울림이 크지는 않다 하더라도 치열한 경쟁시대, 각박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가 한동안 잊고 살았던 그 무엇을 다시 생각해보게 만드는 묘한 매력이 있다. 줄거리를 보면 이게 뭐 재밌을까 싶을 거다. 이런 류의 영화가 줄거리 요약해서 보면 재미는 없어. 근데 스토리 전개되는 거 보다 보면 나도 모르게 미소를 띄게 되고 스토리에 빠져들게 된단 말이지. 강약중간약의 감정 기복도 없이 잔잔하게 스토리가 전개되는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간만에 일본 영화나 볼까 해서 본 건데 잘 선택한 거 같다. 전자사전이 득세하는 현대 사회에 다른 데서는 볼 수 없는 사전을 만들겠다고 하는 게 의 메인 줄거리다. 사전 하나 만드는 데에..
닌자터틀: 애들 영화지만 즐기기에는 적당 애들 영화 같아서 볼 생각 없었는데 심심해서 봤다. 올해 따져보니 3일에 한 편꼴로 영화 봤네. 최근 들어서는 자기 전에 보면서 자니까 매일 보는 듯 하고. 아주 오래 전에 실사영화로 나왔던 란 영화가 있다. 본 걸로 기억하는데 내 통계자료에는 기록이 안 되어 있다는. 그럼 안 본 거겠지. 사실 봤는데도 불구하고 기록을 안 해둬서 봤는지 안 봤는지 확인이 안 되는 경우 종종 있는데 그런 경우에는 안 본 걸로. 사진 자료 찾아보니 1990년작이라 그런지 인형쓰고 분장해서 나왔네. 도 마찬가지지만 CG의 발달 덕분에 가짜라는 생각이 안 들고 리얼하게 잘 그린 듯. 애들이 봐도 좋을 영화지만 아무래도 폭력적인 장면 때문에 국내에서는 12세 관람가다. 12세 관람가면 만 12세 이상이어야 한다는 얘기. 스토리는..
혹성탈출: 반격의 서막 - 유인원의 휴머니즘은 괜찮았는데 결말이 아쉽다 개인적으로 유인원을 주인공으로 한 을 그닥 좋아하지 않는다. 그래서 볼 생각도 안 했던 영화였는데, 주위에서 괜찮다고 하길래 그래? 하는 심정으로 봤는데 오~ 괜찮네. 이런 내용일 줄이야. 내가 을 볼 생각을 안 했던 건, 팀 버튼 감독의 2001년작 때문이다. 마크 월버그, 헬레나 본햄 카터 주연의 영화였지만 당시에는 이 두 주연에 대한 인지도보다는 팀 버튼 감독 인지도가 더 높았던지라(내 기억으로는 그렇다) 팀 버튼 감독 때문에 본 영화인데 별로였거든. 그래서 그와 비슷하겠거니 해서 볼 생각을 안 했던 게지. 근데 은 추천할 만한 영화다. 뭐랄까? (트랜스포머 2편)에서 옵티머스 프라임 보면서 인간보다 더 인간다운 모습에 감동 먹은 거랑 비슷한 느낌? 에서는 유인원의 리더인 시저가 그랬다. 이름도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