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344) 썸네일형 리스트형 큐 나라시 작업 @ 엔조이 쓰리 칼라: 코팅을 벗겨내기 위해 상대를 얇게 가는 작업 당구를 칠 때 장갑을 착용하는 사람도 있고, 착용하지 않는 사람도 있다. 어느 게 더 낫다고 할 순 없다. 자기 스타일대로 치면 될 뿐. 예전에는 장갑을 착용하지 않았었는데 언제부터인가 장갑을 착용하고 나서는 장갑을 착용하지 않고서는 좀 이상하더라고. 그래서 개인 큐 장만하면서도 내 전용 장갑을 사서 착용하고 당구를 치는데 장갑을 착용하고 사용하다 보면 장갑을 좀 자주 빨아줘야 한다. 땀이 장갑에 스며들어 예비 스트로크할 때 뻑뻑해~ 그래서 장갑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경우는 보통 장갑을 두 개 정도 장만하는 게 좋다. 최근에 하나 장만했다가 나한테는 안 맞는 장갑인 듯 해서(끝에 구멍이 뚫려 있어 손가락 끝이 나오는 장갑인데 이거 나한테는 신경 쓰이더라고) 동호회 고문님한테 그냥 드렸고, 경우에 따라서는 .. 2013 구리 3쿠션 월드컵: 3쿠션 탑 랭커들의 경기를 직접 보니 동영상에서 보던 거랑 많이 다르네 지난 주 금요일에 당구장에 갔더니 임윤수 프로님이 나더러 구리에서 열리는 3쿠션 월드컵 대회 보러 안 가겠냐고 그러신다. 일전에 내가 언급했기도 했었기에 그걸 잊지 않고 얘기해주신 듯. 여튼 임윤수 프로님은 참 좋으신 분이다. 당구장에 있는 소파에 앉아서 독서하시는 모습도 종종 보이시고. 보니까 최근에는 을 읽고 계시더라고. 좋은 책이쥐~ 나는 추천하는 책이기도 하고 말이다. 여튼 그렇게 해서 토요일 아침 8시 30분에 당구장 지하 주차장에 모여서 구리로 이동했다. 경기는 10시에 열리지만 좋은 자리를 잡기 위해서 말이다. 물론 입장권은 임윤수 프로님이 지원~ 쓰바라시~ 내 생애 첫 3쿠션 세계 대회 관람 구리시체육관 도착. 일산에서 외곽순환도로를 타고 왔더니 얼마 안 걸린다. 나는 2시간 밖에 못 자고.. 당구병법: 졸라 공감하는 재밌는 당구병법 인터넷 서핑하다 찾은 건데, 와 너무 공감된다는. 제1병법 가급적 후루꾸를 쳐서 상대방의 기를 죽인다. 후루꾸라는 말은 당구 용어이긴 한데, 정식 용어는 아니다. 보통 뽀록(의도하지 않게 운이 좋아서 들어간 공)을 뜻하는데, 뽀록이란 말은 fluke(요행)이라는 단어에서 유래된 말이다. 제1의 당구병법은 좀 그렇긴 한데, 의도적으로 후루꾸를 칠 수가 있나? 없거든. 그런데 가급적 후루꾸를 쳐서 상대방의 기를 죽인다니! 의도해서 후루꾸를 치면 그건 실력인디. ㅋㅋ 가끔씩 공이 잘 맞는 경우가 있다. 키스 공인데도 키스가 빠지고, 샷을 날리면 공이 들어가고 그런 날. 그럴 때 후루꾸가 자주 나오지. ㅋㅋ 제2병법 수시로 말 겐세이를 해서 상대방 정신을 흐트린다. 개인적으로 이런 상대를 정말 싫어한다. 내 표.. 2013 구리 3쿠션 월드컵 관람 2시간 잤나? 임윤수 프로님이랑 당구장 사람들이랑 구리에 와서 2013 구리 3쿠션 월드컵 구경하러 왔다. 시간상 한 게임만 보고 갈 건데, 볼 경기는 강동궁 선수와 브롬달 선수의 16강 경기다. 처음 보는 당구대회 오~~~ UFC Fight Night 26: 알리스타 오브레임 vs 트래비스 브라운 드디어 알리스타 오브레임이 예전의 기량을 회복한 거 같다. 이게 무슨 말인고 싶겠지만 알리스타 오브레임의 예전 모습을 알던 사람이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듯. 최근에 두 번 패한 경기 모습이 원래의 알리스타 오브레임 모습이거든. 라이트 헤비급에서 헤비급으로 체급을 올리고 나서 승승장구할 때 참 신기하다 싶은 생각 많았었는데 약물 복용 사건 터지고 난 다음부터는 완전 힘을 못 쓰네. 약물의 힘이 없어지니 예전 별명과 같이 오분의 힘 밖에 못 쓰는 오브레임이 된 듯. 꼴 좋다. 조만간 헤비급 10위권에서도 떨어질 듯 싶네. UFC Fight Night 26: 마우리시오 쇼군 vs 차엘 소넨 - 예전의 파이팅을 볼 수가 없다 참 좋아했던 선수였다. 좋아하는 선수가 아니라 좋아했던. 프라이드 시절에 라이트 헤비급의 철옹성으로 여겨지던 슈트 복세 아카데미의 반드레이 실바의 후배로 무대에 등장하면서 참 좋은 인상을 심어줬던 마우리시오 쇼군. 그의 친형인 무릴로 닌자보다도 훨씬 더 좋은 기량을 보여주면서도 같은 라이트 헤비급의 챔피언인 반드레이 실바를 존경하던 모습이 선하다. 내가 볼 때는 반드레이 실바보다도 훨씬 더 기량이 좋은 선수였는데 반드레이 실바는 스승이라 싸우고 싶은 생각이 없다고 하는 모습을 보면서 참 좋은 인상을 심어줬었지. 그의 프라이드 시절 유명했던 공격 무기는 스탬핑 킥. 누워있는 상대를 그냥 밟아버리는 거였다. 그러나 UFC 룰에서는 금지된 공격이었고, 대신 프라이드에서는 허용하지 않았던 엘보우 공격은 허용했었.. UFC 164: 벤슨 헨더슨 vs 앤서니 페티스 - 이러다 트라우마 생길라 라이트급 경기는 잘 안 보지만 그래도 한국인의 피가 섞여 있는 벤슨 헨더슨 경기가 UFC 164 메인 이벤트로 열리길래 결과부터 보고 봤다. 최근 3차 방어전까지 성공하면서 잘 해나가고 있었는데 4차 방어에서 실패하면서 라이트급 챔피언 타이틀을 빼았겼다는. 벤슨 헨더슨의 전적을 보면 이번에 앤서니 페티스에게 지기 전까지는 2패였다. 그 중에 1패를 안겨준 장본인이 앤서니 페티스였고, UFC 오기 직전에 활동한 WEC 타이틀도 그에게 넘겨줬다. 경기 내용을 보면 초반에는 좋았는데 앤서니 페티스 만만찮은 선수라는 걸 확인할 수 있다는. 조금 전략적으로 경기를 운영했으면 하는 아쉬움도 남긴 하지만 다음에는 도전자로서 챔피언 타이틀을 가져오기 바란다. 다만 상대인 앤서니 페티스에게 두 번이나 졌기 때문에 앤서니.. UFC 164: 조쉬 바넷 vs 프랭크 미어 - 조쉬 바넷의 다음 상대가 궁금해진 경기 요즈음 종합 격투기를 챙겨서 보는 게 아니다 보니 이따금씩 생각나서 sherdog.com 에 들어가면 재밌는 경기 결과들이 꽤 있더라는. UFC 164의 메인 이벤트는 아니지만(타이틀전이 아니라서리) 헤비급에서 10위권 내에 랭크되어 있는 두 선수 조쉬 바넷과 프랭크 미어가 격돌했다. 프랭크 미어야 뭐 다들 잘 알 듯 싶고, 조쉬 바넷은 스트라이크 포스에서 넘어온 선수인데 그 이전에 프라이드, 그 이전에는 UFC에서 활동하던 선수다. UFC 헤비급 챔피언이었는데 약물 복용으로 박탈당했던. 데이나 화이트 대표를 엄청 까더니만 그래도 UFC에서 스트라이크 포스 인수하고 난 다음에는 데이나 화이트 대표는 선수 확보 차원에서, 조쉬 바넷은 UFC 진출을 위해서 서로 그닥 좋아하지는 않아도 비즈니스를 위해 조용히..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