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테의 취향

(5876)
최근에 읽고 싶은 책이 있어 eBook으로 구매하려고 했더니 최근에 읽고 싶은 책이 하나 생겼다. 요즈음 독서 거의 안 하긴 하지만 이건 읽고 싶다는 욕구가 생긴다. 내용을 보고 싶다는 얘기지. 마치 보고 싶은 영화를 만난 듯한 그런 느낌? 뭐 내가 좋아하는 저자니까 읽어야겠다거나 그래도 이 사람의 생각을 들어보자는 생각으로 읽어야겠다가 아니라 재밌겠다는 생각이 든단 말이다. 그래서 보고 싶은 영화와 비슷하다고 하는 거고. 책 제목은 이다. 소설? 아니다. 분류는 과학이다. 빛의 제국 질 존스 지음, 이충환 옮김/양문 크레마 터치도 있겠다. 나름 eBook으로 사보려고 했다. 내가 주로 이용하는 온라인 서점인 eBook 없다. T.T 그래서 Yes24 가봤다. 없다. 반디앤루니스? 없다. 크레마 터치 단말기 지원하는 서점 어느 곳도 eBook 제공하지 않는다. 혹..
스티브 잡스: 미래를 읽는 천재, 스티브 잡스를 추모하고 만든 다큐 10월 10일에 개봉했다는데 어느 극장에서 상영하는 지는 모르겠다. 근데 사실 이런 다큐를 극장에서 상영하려고 했던 게 좀 이상하다. 스티브 잡스의 영향력을 모르는 바는 아니나 그 팬들이 많이 보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그런 건지는 모르겠지만 스크린 자체도 그리 많이 확보하지 못했던 거 같고 말이다. 일단 올려놓고 인터넷에서 반응이 뜨거우면 스크린 확보해나가지 뭐 이렇게 생각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56분짜리 다큐이고 미국에서는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방영한 거 같던데. 의도가 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나는 개봉한다니까 개봉작 리스트에는 올려뒀었지만 영화관에서 볼 생각은 전혀 없었다. 사전에 조사해보니 딱 답 나오더라는. 아무리 스티브 잡스가 좋다 해도 이걸 극장에서 보는 건 스티브 잡스를 이용한 다른 무리들에게..
영웅본색 2 OST 중 분향미래일자(奔向未來日子) 이번엔 지난 주에 이어 다. OST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곡은 바로 장국영이 전화기 너머로 아내에게 애 이름을 지어주는 장면을 떠오르게 하는 분향미래일자다. 이 곡은 시리즈 전체 OST 중에서 내가 좋아하는 두 곡 중에 한 곡. 다른 한 곡은 당연정. 당연정은 멜로디의 느낌과 가사 내용이 좀 어울리지 않는 면이 없지 않지만 이 분향미래일자는 가사 내용이 좋다. 인생무상을 느끼게 하는 그런 가사. 장국영의 전화 부스 씬이랑 너무 매치가 잘 된다. 참고로 분향미래일자란 '내일을 위해서 달리자'라는 뜻이다. * 분향미래일자는 MP3로 올리니 저작권 위반 의심이라며 플레이가 안 된다. 쩝. 그래서 동영상으로 대신한다. 장국영이 부른 '분향미래일자' 가사 해석 오늘의 일을 묻지 말아요 알려고도 하지 마세요 인생의..
영웅본색 OST 중 당연정(當年精) 홍콩 영화와의 인연은 나에게 특별나다. 내가 영화관에서 처음 본 영화는 지만 영화를 좋아하게 된 계기를 만들어준 영화는 두번째 본 이었고, 그 다음에 집에서 비디오로 본 영화가 이었다. 그 때부터 홍콩 느와르에 매료되어 홍콩 영화만 디립다 본 기억이 난다. 나는 영화를 볼 때 여럿이서 보면 울지 않지만 혼자서 보면 울기도 한다. 그만큼 영화에 몰입하여 감성적이 되는데 내게 처음 눈물이라는 걸 흘리게 만든 영화 또한 홍콩 영화다. 바로 그만큼 홍콩 영화를 좋아했었다. 수많은 외화 중에서 가장 인상깊은 영화 하나만 꼽으라고 하면 많은 이들이 를 꼽는다. IMDB 평점 순위에도 1위가 가 그걸 잘 반영해주는 듯.(무려 17만명 정도가 평점에 참여했는데 9점대다. 헐~) 마찬가지로 수많은 홍콩 영화 중에서 가장..
앞서 나가는 건 쫓는 게 아니다 나는 예전부터 마케팅은 급이 낮다고 생각했다. 그거 하면 되는 거 아냐? 중요한 건 전략 아닌가? 그런 생각을 갖고 있었기에 마케팅을 전략의 하위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거다. 물론 지금은 생각이 다르다. 상/하위의 개념이 아니라 마케팅 속에 전략이 있을 수 있고, 전략 속에 마케팅이 있을 수도 있다. 생각하기 나름이라는 얘기다. 회사 전체의 전략 속에 마케팅도 있는 거고 그 마케팅 속에 마케팅 전략도 있는 거기 때문에 어떻게 바라보느냐의 차이일 뿐이다. 그걸 인식하게 된 건 참 웃긴 얘기지만 우연찮은 계기로 마케팅을 하게 되면서부터다. 내 도움이 필요하다는 요청을 받았을 때만 해도 나는 마케터가 아니라 전략가라 그런 일 따위는 안 한다는 입장이었다. 마케팅 속으로 들어간 전략 미국의 도로명을 보면 애..
'MB의 추억'이란 영화 평점 봐라. 이렇게 극단적인 평점은 처음인 듯 10월 18일 개봉한 다큐멘터리다. 와 더불어 현 정부를 비판하는 두 개의 다큐멘터리가 개봉되었는데 는 내가 알고 있었지만 이란 다큐멘터리는 오늘에서야 알았다. 개봉영화 정보에 없었거덩. 근데 이거 평점들 보니까 정말 웃긴다. #1 평점 첫페이지 #2 두번째 페이지 #3 세번째 페이지 #4 네번째 페이지 #5 다섯번째 페이지 어떻게 된 게 평점이 2점에서 8점은 볼 수가 없냐? 세상에 네티즌 평점이 이렇게 극과 극을 달리는 경우는 첨 본 거 같다. 내가 볼 때는 다 보지도 않고 평점 준 거 같은데 현정부에 대한 반감이 크다 보니 보지도 않고 10점 준 사람들이 늘어나자 알바생들 시켜서 1점 줘서 평점 떨어뜨린 게 아닌 듯하다. 그래서 마지막 페이지부터 평점을 봤다. #1 맨 마지막 페이지 #2 끝에서 두..
다이아몬드 컷 등급 기준이 저마다 다르다고? 그럼 어떤 기준이 좋은거야? 다이아몬드의 등급 기준인 4C에서 유일하게 사람의 손이 가서 등급이 결정되는 게 컷(Cut)이다. 연재되는 '알면 알수록 재밌는 다이아몬드 세계'를 쭉 읽어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일단 다이아몬드는 인위적인 가공이 들어가게 되면 가치가 떨어지는데 컷은 예외라는 거다. 결국 다른 등급은 자연이 주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등급을 결정하기 때문에 사람으로 치면 유전적인 요인과 비슷하고, 컷은 후천적인 요인과 비슷하다. 그런데 아주 재미난 사실이 있다. 캐럿(Carat) 즉 다이아몬드의 무게는 어디에서 측정해도 똑같다. 그래서 이견이 없다. 그러나 컷(Cut) 등급과 같은 경우는 감정소마다 달라질 수 있다. 왜? 등급 기준이 저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내가 구매한 다이아몬드의 보증서에는 컷 등급이 Excel..
아이언 스카이: 팬들의 기부 등으로 자금을 마련하여 만든 독립 영화사의 작품 나의 3,136번째 영화. 이 영화의 내용을 떠나 제작되기까지의 설명을 하자면, 핀란드의 독립 영화사인 블라인드 스팟 픽쳐스에서 만든 첫번째 작품인데, 제작비의 일부를 팬들의 기부로 할당했다는 거, 그리고 작품에 대한 아이디어 또한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서 받아서 만든 영화사에 아주 보기 드문 사례를 남긴 영화다. 그래서 봤는데 음. 나하고는 너어~무 안 맞다. 보기에는 SF 영화에 지구 침공이란 소재를 담고 있어서 , 정도를 연상하기 쉽지만 전혀 다르다. 애들 장난 같은 느낌? 블랙 코미디라고 해도 좀 심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블랙 코미디에 숨겨진 메시지를 읽어내면서 그걸 재미라고 생각할 지는 모르겠지만 난 너무 장난스러운 스토리 전개에 짜증이 난 게 사실이다. 차라리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한다면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