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테의 취향

(5875)
정말 딱 미국판 '살인의 추억' 이네 <조디악> 조디악 포토 감독 데이빗 핀처 개봉일 2007,미국 별점 2007년 7월 31일 본 나의 2,656편째 영화. 별 기대하지 않고 봤는데 정말 재밌게 본 영화다. 영화 내용은 정말 '살인의 추억'과 흡사하다고 볼 수 있다. 실화를 기초로 하고 있다. 미해결 사건이기 때문에 이 영화는 원작인 소설 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즉 영화는 "조디악 킬러"라는 연쇄살인범의 얘기지만 원작자가 이 연쇄살인범을 찾아내기 위한 과정을 드라마로 구성한 것이다. 범죄 드라마라 범죄를 해결해 나가는 것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영화의 재미가 달라질 듯 한데 이 영화는 매우 잔잔하게 전개해 나가고 있다. 긴박감 전혀 없다. 보통의 이런 류의 영화에서(스릴러물이라는 장르에도 속해 있기에) 보이는 sound effect 도 전혀 없..
오늘은... 쉬련다... 물론 포스팅 하고 싶지만 영화 보고 싶은 마음이 더 굴뚝같다는... 그래서 영화를 먼저 보려고 한다. ^^ 이번주에 아마 블로그 하나 더 개설할 듯 하다. 나 혼자 하는 블로그는 아니고 2인 블로그인데 뭐 대단한 거 아니고 자극적이고 말초적인 ㅋㅋㅋ 나 노는 거 좋아하잖아~~ 다음주에도 블로그 하나 더 개설할 것 같은데 이거는 좀 일과 관련이 있는 것이라... 조만간 새로운 일을 하게 될 듯 한데 내가 처음 해보는 일이라 배울 것도 있겠지만 기회비용이야 그만큼 각오하고 빨리 터득하면 되는 거니까... 어쨌든 오늘은 좀 쉬자!
지혜로운 대중의 조건에 대한 가이드와 수많은 사례 <대중의 지혜> 대중의 지혜 제임스 서로위키 지음, 홍대운 외 옮김/랜덤하우스코리아(랜덤하우스중앙) 전반적인 리뷰 2007년 5월 24일 읽은 책이다. 리뷰를 적기에는 늦은 감이 있지만 보고 싶은 영화 미루어두고 오늘 개괄적인 리뷰만 적으려고 한다. 이 책을 읽게 된 것은 PRAK님 덕분이다. 이라는 것과 라는 것을 단순히 이것은 뭐고 저것은 뭐다는 식으로 아주 가볍게 생각했지만 차이가 많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해 준 분이다. 감사하게 생각한다. 많이 듣는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이라는 것과 대중의 지혜(the Wisdom of Crowds) 두 개만 놓고 본다면 PRAK님의 말처럼 대중의 지혜가 좀 더 현실적인 의미에서 집단지성이라고 생각한다. 동의하는 바이다. 사실 나보다 나은 사람이 어떠..
마이클 포터의 경쟁 우위 전략 3가지 기업에서 경쟁 우위를 갖기 위해 제시된 마이클 포터의 3가지 분류는 다음과 같다. 1) 차별화 전략 2) 비용우위 전략 3) 틈새 전략 그런데 비단 2)에서만 비용 즉 돈과 연관되어 있고 나머지는 돈과 연관되지 않은 듯 보인다. 그러나 다 돈과 연관되어 있다. "수익=매출-비용"이기 때문이다. 결국 모든 전략의 종착점은 '비용'을 줄이거나 '매출'을 높여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차별화 전략에 있어서 고려해야할 부분은 가격이다. 매출에 영향을 미친다. 틈새 전략에 있어서 고려해야할 부분은 비용 관리다. 틈새 시장이라는 것이 내포하고 있는 것은 그만큼 새로운 시장이긴 하지만 시장 사이즈 자체가 작고 형성해 나가야 되는 것이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시장으로부터 벌어들이는 '매출'에 비해 터무니 없이 높..
담배 피워도 되나요? 어느 날 세실과 모리스가 예배를 드리러 가는 중이었다. "모리스, 자네는 기도 중에 담배를 피워도 된다고 생각하나?" "글쎄 잘 모르겠는데... 랍비께 한 번 여쭤보는 게 어떻겠나?" 세실이 랍비에게 가서 물었다. "선생님, 기도 중에 담배를 피워도 되나요?" "(정색을 하며 대답하기를) 형제여, 그건 절대 안 되네. 기도는 신과 나누는 엄숙한 대화인데 그럴 순 없지." 세실로부터 랍비의 답을 들은 모리스가 말했다. "그건 자네가 질문을 잘못했기 때문이야. 내가 가서 다시 여쭤보겠네." 이번에는 모리스가 랍비에게 물었다. "선생님, 담배를 피우는 중에 기도를 하면 안 되나요?" "(얼굴에 온화한 미소를 지으며) 형제여, 기도는 때와 장소가 필요없다네. 담배를 피는 중에도 기도는 얼마든지 할 수 있는 것이..
천재의 수학문제 풀이 음... 대단하다. 할 말이 없다. 근데 왜 틀린겨~
똥침녀... 너무하잖소!!! 두 가지 생각...... 1. 철봉맨 자세로 봤을 때 상당히 아플 듯. 따라갈 힘조차 없도록 제대로... 너무하잖소! 2. 똥침녀 너도 한 번 지대로 떵침 한 번 맞아볼래? 아주 지대로... 오늘 후배한테서 MSN을 통해서 넘어온 이 동영상 보고 너무한다는 생각이... 왜 찍었을까? 뜨고 싶어서? 꼭 이래야만 했나? 좀 가려가면서 합시다......
롱테일의 발생 동인 관점에서의 블로그 크리스 앤더슨의 관점 롱테일 경제학에서 크리스 앤더슨은 롱테일이 일어나는 세가지 동인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얘기하고 있다. 1. 생산도구를 대중화하는 것 : 생산도구들을 더 쉽고 저렴하게 구매하게 될수록 꼬리가 더 길어진다. 2. 유통비를 줄임으로써 낭비되는 비용을 줄이는 것 : 틈새상품들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됨으로써 꼬리는 더욱 튼튼해진다. 3. 수요와 공급을 이어주는 것 : 비즈니스는 히트상품들에서 틈새상품들로 이동한다.여기에 제시된 예시는 언급하지 않겠다. 왜냐면 내가 하려고 하는 얘기는 여기 예시들과는 무관하기 때문이다. 다만 여기의 예시에 한가지 눈여겨 볼 부분은 세번째 동인인 수요와 공급을 이어주는 것에서 다음의 세가지를 들고 있다. 1. 구글의 '대중의 지혜'적인 검색 2. 아이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