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테의 취향

(5897)
히틀러 자살 전의 14일에 대한 사실적인 묘사 <몰락-히틀러와 제3제국의 종말> 몰락 - 히틀러와 제3제국의 종말 포토 감독 올리버 히르비겔 개봉일 2004,독일 별점 2007년 8월 12일 본 나의 2,668번째 영화. IMDB 선정 최고의 영화 250편 143번째 영화. 왜 이런 좋은 영화를 이제야 알게 되었는가 싶을 정도로 좋은 영화다. 러닝 타임 2시간 30분여 정도의 시간 동안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던 영화다. 매우 사실적인 전쟁영화다. 그렇다고 총격씬이 많은 영화가 결코 아니다. 지금까지 생각하고 있던 2차대전 영화라는 상식을 뒤집었다. 그것이 대단하다는 것이 아니다. 단지 내가 생각했던 2차대전 영화라는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는 것이다. 오랜만에 정말 좋은 영화를 본 듯 하여 영화를 보고 난 직후에 그 느낌들을 살려서 리뷰를 적으려고 한다. 이 영화는 히틀러가..
40여년 전의 첩보영화지만 여전히 재밌는 007 시리즈 제3탄 <골드핑거> (1964) 007 제3탄 - 골드핑거 포토 감독 가이 해밀톤 개봉일 1964,영국 별점 2007년 8월 12일 본 나의 2,667번째 영화. 20세기 영국 영화 베스트 100 23번째 영화. 죽기 전에 꼭 봐야할 영화 1001편 242번째 영화. 죽기 전에 꼭 봐야할 영화 1001편에도 올라와 있는 유일한 007 시리즈다. 오래된 영화라 그리 기대하지 않고 보았지만 재미있었다. 007 시리즈의 묘미를 만끽할 수 있었던 영화였던 듯 싶다. 예나 지금이나 007에서 보이는 다양한 볼꺼리는 마찬가지인 듯. 1964년작이니 지금으로부터 43년 전의 영화이지만 본드카를 비롯하여 볼꺼리가 많이 제공된다. 골드핑거 휘하의 작전회의실이 가장 볼꺼리가 많았던 곳이다. 당구대가 뒤집어지고 중앙 마루가 갈라지며 등등... 지금봐도 재..
프리즌 브레이크의 주인공이 갖고 있는 질병 잠재억제부족(low latent Inhibition) 요즈음 주위 지인들의 권유로 프리즌 브레이크를 보고 있는 중이다. 시즌1의 에피소드9에서 매우 내가 관심있는 주제를 발견했다. 주인공이 갖고 있는 정신병인 잠재억제부족이라는 것에 대해서 말이다. 드라마에서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잠재억제부족 증상을 보이는 사람은 이 전등처럼 우리와 다를 바 없이 일상 사물을 보지만 외형만 보는 일반인과 달리 전등의 전부를 파악합니다. 몸체, 전구, 볼트 심지어 안에 볼트 와셔까지요. 그들의 뇌는 주위 환경의 자극에 훨씬 민감하거든요. 우리 같은 보통 사람의 뇌는 그런 자극을 차단해서 이성을 잃지 않도록 하게 됩니다. 지능이 낮은 사람에게 잠재억제부족 현상이 일어나면 거의 모두 정신병으로 발전하게 되지만 지능이 높은 사람이라면 창의력 풍부한 천재가 되죠. 이 정도만으로도..
잔인한 장면들과 특이한 소재의 <중국식 흑마술> 중국식 흑마술 포토 감독 구예도 개봉일 2007 별점 2007년 8월 11일 본 나의 2,666편째 영화. 내가 본 제목은 였는데 이 영화의 다른 제목이었다는... 소재는 중국의 "흑마술"이라는 것을 소재로 했는데 처음에는 서양 영화에서도 흔히 보이는 부두인형이나 우리나라 사극에서도 보이는 주술들과 비슷하다. 짚으로 엮인 사람 몸에 바늘을 박아서 해당 사람에게 고통을 주는... 그러다 이 영화에서만 볼 수 있는 "흑마술"의 최고봉인 비두흑마술. 좀 어이가 없었다는 몸과 영혼이 분리되는 유체이탈식이라면 그래도 이해를 하겠거니... 머리가 몸과 분리된다는 것은 좀... 이런 특이한 소재와 함께 잔인한 몇몇 장면들이 볼거리로 등장하지만 공포 영화가 그러하듯이 초반의 전개에 비해서 결말이 좀 약한 전형적인 공포..
BCG의 성공전략 기법들의 정리 <세계 일류기업들이 채택한 BCG 의 6가지 성공전략> 세계 일류기업들이 채택한 BCG의 6가지 성공전략 미츠코시 유타카 지음, 유준칠 옮김, 보스턴컨설팅그룹 감수/이지북 2005년 11월 8일 읽은 책이다. 기존 홈페이지에 있던 리뷰를 수정하여 올린다. Boston Consulting Group 이라는 회사의 성공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BCG 회사에서 말하는 성공전략에 대한 기법들에 대해서 다루는 책이라 도움이 되는 책이었다. 이 책을 읽을 당시 신문에 나온 기사 중에 McKinsey와 같은 경우는 비난하는 기사가 있었다. 회사 전체적인 Framework를 만드는 데에 있어서는 도움이 되지만 그 다음 단계 즉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방법 제시에서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 핵심이었다. 그러나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일이라는 것에는 여러 단계가 있다. 그 단계..
BCG의 4가지 회사 분류 전통적 본사 개략적으로 여러 사업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돈을 벌고 있는지 여부, 또는 전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자금유출입이 있는지를 보는 방식을 취한다. 즉 본사가 모든 사업을 통합한 전략상을 갖지 않는 타입이다. 조직을 봐도 영업부문은 모든 상품을 팔고, 연구 개발부문은 다양한 제품의 연구개발을 하고, 기술부문과 제조부문도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 식으로 기능분화한 조직구조로 되어 있다. 형식상으로는 사업부제를 취하고 있지만, 자원배분에 있어서는 과거의 방식대로 관리를 하는 경우가 '전통적 본사' 타입으로, 일본의 전기 제조사 등이 과거 이러한 지배구조를 취하고 있었다. 자율형 회사 사업부문 또는 최근의 회사제에 있어서의 사내 회사 등, 각각의 사업영역마다 완결하여 관리를 행한다. 포트폴리오는 각 사업 내..
BCG에서 말하는 공통비용과 고유비용 예를 들어 한 회사가 립스틱을 연구 개발하여 판매하려고 한다. 립스틱을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생산설비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연구개발비도 필요할 것이다. 이들은 립스틱이라는 상품을 만들 때 드는 공통비용이다. 여기에 특정 세그먼트, 예를 들어 젊은 여성을 겨냥한 립스틱이라면 젊은 여성의 패션 연구, 색깔의 기호 조사 등 연구개발비가 들어간다. 이것이 고유의 비용이다. 어느 특정 세그먼트를 겨냥한 상품을 만들 때 그 세그먼트를 공략하기 위해 고유하게 들어가는 비용 그것이 고유비용이다. 예를 들면 어느 골프용품 회사가 고객 세분화 전략에 맞춰 물건을 만들 때, 그 회사는 왼손잡이인 사람에게 세그먼트를 한정시켜 왼손잡이용 클럽만 제작하게다고 결정했다고 하자.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클럽을 사용하면서 왼손..
BCG의 세그먼트 오브 원(Segment of One) 전략 세그먼트 오브 원(Segment of One) 전략 고객 세분화 전략을 보다 세밀화해 '당신 한 사람을 위한 서비스, 상품'이라는 수준까지 고객본위를 추구하는 것. 보스턴컨설팅그룹이 1980년대 말에 제창한 개념으로, 사실 이런 종류의 서비스 자체는 그 전부터 존재했던 것이다.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