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테의 취향 (5875) 썸네일형 리스트형 세계 1위 부자 멕시코 재벌의 돈 번 방식은? 이미지 출처 : 포브스코리아 4월호 그는 얼마나 가지고 있을까? Forbes 지에 4월호 발표에 의하면 490억 달러로 세계 3위로 랭크되어 있다. 1위인 빌게이츠가 560억 달러, 2위인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이 520억 달러였다. 그러나 7월 초 카를로스 슬림 엘루가 가진 주식이 많이 올라 678억 달러 수준이라고 한다.1달러 910원으로 계산하면 61조 6,980억원의 어마어마한 액수다. 참고로 삼성 이건희 회장의 자산은 Forbes 지 4월호 기준으로 2조 5,649억원. 이건희 회장 재산 총액의 24배가 넘는 액수다. 또한 그의 재산은 멕시코 연간 경제 생산 규모의 6.3%에 육박한다. 갑작스럽게 나타난 세계 1위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나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이야 국내에서도 잘 .. 사후 과잉 확신 (hindsight bias) 사후 과잉 확신 (hindsight bias) 현재에만 존재하는 결과론적인 지식이 과거에도 존재했던 것처럼 착각하고는 '내 그럴 줄 알았지', '난 처음부터 그렇게 될 줄 알았어!'라고 말하는 것. 글자 그대로 결과를 알고 난 후에 '뒤에서 보면' 모든 것이 분명하게 보인다는 것이다. 출처 : * * * 아주 일반적인 얘기로 설명했지만 많은 곳에 적용 가능하다. 물론 우리가 미래에 대한 통찰을 기르기 위해서는 역사 즉 과거를 돌아볼 수 밖에 없겠지만(역사는 반복된다고 하지 않던가?) 대부분의 얘기들은 단기간의 관점에서 분석을 통찰력이라고 얘기하는 경우가 많다. 많은 경영이론에서 보이는 사례연구의 허를 포스팅하면서 얘기했던 부분이지만 대부분 '뒤에서 보고' 판단하기만 하는 경향이 짙다. 사실 미래에 대한 .. [이종격투기] K-1 홍콩 GP : 최홍만 vs 게리굿리지 게리 굿리지한테 이길 것이라 생각은 했지만 경기 스타일이 예전과 많이 달라졌다는 것을 느낀다. 무조건 자신의 힘만 믿고 주먹으로만 승부하려고 했던 최홍만이 마이티 모어와의 경기 이후에 단단히 준비를 한 듯 하다. 일단 눈에 띄게 달라진 점이라고 한다면 니킥을 자주 사용한다는 점이고, 김대환 해설위원의 말처럼 왼손잡이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점이다. 왼손잡이 자세가 무슨 이득이 있는지는 나는 잘 모른다. ^^ 어쨌든 니킥을 자주 사용한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라 하겠다. 자신의 장점인 큰 키를 이용해서 니킥을 하면 상대가 어지간히 큰 키가 아니라면 그냥 올리는 니킥이라도 상대의 턱부위에 가격되기 쉬운데 예전부터 주먹만 쓰려고 하는 경향 때문에 그런 자신의 장점을 활용한 니킥을 사용하지 못한 점이 매우 아쉬웠었.. 두 명의 매력적인 히어로 <석양의 건맨> (1965) 석양의 건맨 포토 감독 세르지오 레오네 개봉일 1965,스페인,,이탈리아,모로코 별점 2007년 8월 5일 본 나의 2,661번째 영화. IMDB 선정 최고의 영화 250편 141번째 영화. 사실 이 영화는 볼 영화가 아니었다. IMDB 선정 최고의 영화 250편에 애매한 영화(내가 봤는지 안 봤는지 모를)가 세 편이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이 영화였다. 속편이기도 한 이 역시 재미있다. 원래 사람들은 영웅을 좋아한다. 그러나 나는 배트맨류의 판타지 영웅보다는 현실성있는 영웅을 좋아한다. 내가 시리즈를 좋아하는 것도 다 이런 이유다. 두 명의 매력적인 히어로가 나온다. 한 명은 전직 대령 출신의 엘리트적인 냄새가 풍기는 히어로이고 한 명은 비주류에서 알려지지 않은 히어로이다. 영화 내에서 둘의 선의의 대.. 자전거는 그들에게 희망의 매개체 <자전거 도둑> (1948) 자전거 도둑 포토 감독 비토리오 데 시카 개봉일 1948,이탈리아 별점 2007년 8월 5일 본 나의 2,660편째 영화. IMDB 선정 최고의 영화 250편 140번째 영화. 죽기 전에 꼭 봐야할 영화 1001편 236번째 영화. 영화 매니아라면 봐야할 영화 100편 41번째 영화. 최근에 보는 고전들을 보면 두 가지 공통점이 있다. 1. 이탈리아 영화라는 점 2. 네오리얼리즘 영화라는 점근데 아는 사람 알겠지만 나는 영화만큼은 영화학적인 해석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냥 보고 느끼고 즐기는 데에서 만족하면서 인생에 활력소가 되기를 바랄 뿐이다. 어쨌든 이러한 두 가지 공통점을 미루어 보건대 1950년 전후의 영화에는 이탈리아 영화가 주류를 이룬 듯 하다. 또한 시대적 상황이(2치 세계대전 종전후) .. 관음증을 통한 스릴러물, 현대판 이창 <디스터비아> 디스터비아 포토 감독 D.J. 카루소 개봉일 2007,미국 별점 2007년 8월 4일 본 나의 2,659번째 영화. 전혀 내용을 모르고 봤는데, 소재는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과 비슷하다. 처음에 사고난 것 때문에 그것으로 인해 어떤 얘기가 전개되지 않을까 싶었지만 전혀 그렇지 않았다. 그것은 단지 발단이었을 뿐이다. 에서 제임스 스튜어트가 집에 있게 된 사연과도 같이 전체적인 핵심 이야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하나의 사건에 불과했다. 과 같이 이 영화에서도 관음증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이런 엿보기를 소재로 한 영화 중에 기억나는 괜찮은 영화가 이다. 물론 는 관음증을 통한 사랑 얘기고 과 는 스릴러물인 차이가 있긴 하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보다 가 나았던 것은 은 조금 단조로운 감이 없지 않지만 는 그렇.. 영화 <힛쳐>에 나온 머슬카 1970년산 Oldsmobile 442 (올즈모빌 442) 이미지 출처 : 머슬카클럽 영화 (2007년 리메이크 작품)에서 주인공이 몰던 차가 바로 이 차다. 사진은 1970년산 Oldsmobile 442이다. 영화에서는 파란 색으로 기억. Pontiac의 GTO의 성공에 자극을 받아 Oldsmobile 에서 만들기 시작했다. (Pontiac과 Oldsmobile 둘 다 GM의 사업부이다.) 중형 모델인 Cutlass 모델에 올즈모빌 최고의 성능 엔진을 포함한 패키지를 탑재했다. 그 패키지명이 442이고 뜻은 다음과 같다. 4 : four-barrel carburetor 4 : four-speed manual transmission(4단 수동 변속기) 2 : dual exhausts(두 개의 배기구) 참조 : 머슬카클럽근데 위키피디아에는 이렇게 얘기하고 있다. .. 하룻밤을 새고 나면 항상 휴유증이... 하룻밤 꼴딱 샜다. 친구 희원이랑 같이 말이다. 나는 이제 출근을 해야하는 몸이 되었고(새로운 일을 준비중) 희원이는 휴가라 쉬어도 되는... 근데 뭐 내가 노는 데에 빼는 거 봤남... 이리 저리 어울려서 러시안, 뉴요커들과 함께 놀았다. 못 마시는 술에 이것 저것 먹어서 머리가 띵했던. 데킬라 두 잔이 가장 컸던듯... 어쨌든 거하게 놀았다. 해뜨고 나서 집으로 돌아오는데 왜 그리도 피곤하던지... 근데 회사에서는 잠을 안 잤다는... 크~ 이 정신력! 그리고 어제는 내기 당구가 있었는데 다음주 술값이 타이틀로 걸린. 어쨌든 이겼다. 2:2로 편을 갈라서 쳤는데 내가 잘 쳤다기 보다는 내 편인 영선이가 잘 쳐서 이겼다. 요즈음은 당구가 잘 안 되는 때인 듯. 집에 와서 완전히 뻗었다. 분명 저녁 때 .. 이전 1 ··· 616 617 618 619 620 621 622 ··· 7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