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테의 취향 (5875) 썸네일형 리스트형 1,800만원에 처녀성이라... 어이 없다. 영국의 한 소녀가 콥스테이크 이름(가명)으로 낸 광고란다. 어디에? 한 매춘부 사이트에 말이다. 왜? 학비를 벌기 위해서란다. 1년에 3,600만원하는 학비 때문에. 가명을 쓰고 낸 광고에 자신의 몸 사진을 같이 올렸다는데 '피플'지와의 대화에서는 샐포드 대학교 물리학을 전공하게 될 신입생이라고 하는 이유가 뭔가? 샐포드 대학교 물리학 전공 여학생 중 하나라면 남들이 오해받을 수도 있는 거 아닌가? 솔직히 난 어이가 없다. 이것을 솔직함이라고 해야하나? 떳떳하다? 용감하다 해야하나? 그러면 자신에게 매춘부라고 얘기를 해도 자신은 떳떳하게 '나 매춘부요' 할 수 있나? 학비를 벌기 위해서 그런다? 그럼 2학기에도 그러겠네. 내년도 그럴 것이고... 부업이네 부업~! 쉽게 돈을 버니 학기에 한 번이 아니라 .. 114 상담원이 뽑은 재밌는 상호들 상담원 2,52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라는... 고깃집 : 돈내고돈먹기, 탄다디비라 (이건 경상도 지역인 듯 경상도 사투리니) 보쌈집 : 마님을보쌈해 라면집 : 그놈이라면 미용실 : 버르장머리 중국집 : 진짜루 분식집 : 김밥찐빵놀랄만두하군 PC방 : 졸라빨라피시방 (이건 일산 라페스타에도 있다. 보고 얼마나 웃었는지) 횟집 : 광어생각 주점 : 잔비어쓰, 곧망할집 IOC 올림픽 정신보다는 '쩐의 전쟁' 실사 평가 : 평창 excellent, 잘츠부르크 excellent, 소치 very good 1차 투표 결과 : 평창 36표, 소치 34표, 잘츠부르크 25표 2차 투표 결과 : 평창 47표, 소치 51표 이건희 박용성 IOC 위원의 노력 & 노대통령의 30명 맨투맨 외교 & 500억 푸틴의 로비 & 러시아 거대 에너지기업 가즈프롬의 로비 & 750억 이것을 로비력의 승부라고 할 수 있을까? 파킨슨의 법칙이 생각난다. 역시 이런 투표에서는 중도 세력을 어떻게 끌어들이느냐는 것에 핵심이 있는 듯. 돈의 로비의 힘이었는지는 모르겠으나 '쩐의 전쟁'이 아니라고 할 수 없는 이유는 잘츠부르크 119억(3등), 평창 500억(2등), 소치 750억(1등) 실사 평가와 전혀 다른 등수가 나온 것이 돈 사용 액수와 .. 짐 콜린스의 경영전략 내용 정리 IV - 혁신(Innovation) * 이 글은 을 읽고 그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혁신 (Innovation) 기업 혁신 요소 I : 어디서든 아이디어 수용하기 아이디어로 주도할 것인가 아니면 시장을 따를 것인가? : 시장 조사는 종종 문제 해결자의 추진력을 급하게 쫓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시장과 문제 해결자가 동시에 아이디어를 추구할 때도 있다. 하지만 발명가가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떠올리기 전에 시장이 먼저 획기적인 제품을 요구한 경우는 없었다. 기업 혁신 요소 II : 고객 되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욕구를 충족시켜라. : 엄청난 아이디어 대부분이 그렇듯이 PC에 대한 아이디어 역시 우리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거였지요. 컴퓨터를 살 여유가 없어서 컴퓨터를 디자인한 것입니다. 우리는 컴퓨터에 대해 배우고 싶었던 것뿐이.. 신규 사업 창출을 위한 리더십과 조직문화 이 또한 비즈니스 전략의 대가 로버트 버겔만 스탠퍼드대 교수가 한 얘기입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저는 매우 비판적인 시각을 갖고 있어서 아무리 국제적인 명성을 갖고 있는 사람의 얘기라 하더라도 제 견해와 다르면 다르다고 얘기를 서슴치 않는 사람인데 버겔만 교수님의 얘기는 이 시대에 필요한 얘기라고 생각합니다. 1. 리더십과 기업문화 우선적으로 리더십과 기업문화의 차이점에 대해서 버겔만 교수는 이렇게 얘기하고 있습니다. 리더십에서 나온 것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게 기업문화입니다. 기업문화는 성공적인 리더십의 결과물입니다. 리더가 기업문화를 형성하고, 기업문화는 다시 리더에 영향을 미치는 겁니다.결국 기업문화를 만드는 것은 리더입니다. 그리고 예전에도 언급을 했었지만 소규모일 경우에 그러한 기업.. 짐 콜린스의 경영전략 내용 정리 III - 전략(Strategy) * 이 글은 을 읽고 그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전략 (Strategy) 성공적인 전략을 위한 기본 원리 4가지 1) 전략은 비전으로부터 도출해내야 한다.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을 명확하게 알지 못하면 전략을 세울 수 없다. 비전이 먼저고 전략은 그 다음이다. 2) 전략을 세울 때는 기업의 장점과 독특한 능력을 활용해야 한다. 다시 말해 정통하고 잘 하는 것만 한다. 3) 전략은 실현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내부(사내) 상황과 함께 외부(사외) 요인까지 고려해야 한다. 현실적인 조건이 좋지 않더라도 현실과 당당히 맞서라. 4) 전략은 전략을 실행할 사람들과 함께 세워야 한다. 전략을 세우는 순서 1) 회사의 비전을 검토하라. 비전이 명확하지 않으면 먼저 비전을 자세히 살펴라. 특히 현재의 사명.. 스피라 이제 진짜 양산되는가? 이미지 출처 : 프로토모터스 몇 년 전이였는지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PS-2"라는 이름으로 국내 수제 스포츠카가 양산된다는 소식을 접했다. 와우~ 페라리를 빼닮은 모습에 우리나라에서도 이 정도 기술을? 하고 놀랬던 기억이... 이것 저것 조합해서 만든 것이라 약간은 아쉬움이 많았던 인테리어나 익스테리어를 제외하곤 성능 면에서는 오~ 페라리 부럽지 않았던... 이미지 출처 : 프로토모터스 의기투합한 사람들이 모여서 뭔가 해보자 했던 것이 꿈이었을까? 자세한 내막은 모르지만 이리 저리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자금적인 문제로 양산하기는 쉽지 않다는... 그래서 수출용으로만 선보인다는 풍문도 들렸었던... 그러다 2005년 모터쇼에서 선보인 것이 바로 '스피라'다. 새로운 이름과 새로운 모습으로 나온 모델답.. 짐 콜린스의 경영전략 내용 정리 II - 비전(Vision) * 이 글은 을 읽고 그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비전 (Vision) 비전의 세가지 기본 요소 1) 핵심 가치와 믿음 (Core Value and Beliefs) 2) 목적 (Purpose) 3) 사명 (Mission) 수익 실현에 반드시 비전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비전이 없어도 수익성 좋은 사업을 벌일 수 있다. 많은 수익을 올리면서도 비전은 없는 사람들도 많다. 하지만 수익 실현 이상의 것을 원한다면 즉 위대한 기업을 세우고자 한다면 비전이 있어야 한다. 비전이 가져다주는 네 가지 좋은 점 1) 비전이 있으면 좀처럼 볼 수 없는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2) 비전이 있으면 전략적, 전술적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상황을 스스로 만들어나간다. 3) 비전을 공유하면 직원이 서로 단결하고 팀워크를 이루며 한.. 이전 1 ··· 627 628 629 630 631 632 633 ··· 7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