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2152)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을 어떻게 봐야 하는가? 내가 만든 독서클럽의 인문/사회팀 1월 독서토론 책이 바로 이다. 십수년 전에 읽었던 군주론을 다시 사서 읽어야 될 판국이다. 이 글은 독서클럽에 올라온 내용들에서 제가 하고 싶은 얘기를 적는 글이며, 그 외에 추가적으로 몇가지 적기 위해서 적는 글이다. 군주론에 대한 해석이나 내 견해는 여기에 적지 않았다. 이해는 해석의 산물이다 이해라는 것은 해석의 산물이다. 해석을 하지 않고서 이해라는 것에 도달하기는 힘든 법이다. 그러나 해석은 매우 주관적일 수 있기 때문에 이해라는 결과는 각자 다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한가지 우리가 생각해야할 것은 해석이라는 것은 감성에 기반한 것이 아닌 이성과 지성에 기반한 것이라는 점이다. 이성과 지성을 기반으로 한 것은 기존에 알고 있는 것이 많을수록 유리하다. 왜냐..
007 시리즈 모음 및 역대 제임스 본드 007 시리즈 년도 뒤에 *를 붙인 것은 내가 본 007 시리즈다. 총 21편의 시리즈 중에서 10편을 봤다. 제1탄. 살인 번호 (Dr. No) - 1962년 제2탄. 위기일발 (From Russia with Love) - 1963년 제3탄. 골드핑거 (Ian Fleming's Goldfinger) - 1964년 * [내 리뷰] 제4탄. 썬더볼 작전 (Thunderball) - 1965년 제5탄. 두번 산다 (You Only Live Twice) - 1967년 제6탄. 여왕 폐하 대작전 (On Her Majesty's Secret Service) - 1967년 제7탄. 다이아몬드는 영원히 (Diamonds Are Forever) - 1971년 제8탄. 죽느냐 사느냐 (Live and Let Die) -..
중동 테러에 대한 일반인의 시선 "킹덤" 킹덤 포토 감독 피터 버그 개봉일 2007,미국 별점 총평 2007년 12월 2일 본 나의 2,692번째 영화다. 두 명의 명배우 로버트 드니로와 알 파치노를 투톱으로 내세우고 거리의 총격씬을 아주 볼 만하게 만들었던 의 감독 마이클 만이 제작한 영화라는 점과 주변의 추천으로 본 영화이지만 에 비할 바는 아니었다는 생각이다. 내용은 볼 것이 없는데 마지막 30분 간의 총격씬이 매우 리얼하다고 추천 받았는데 어느 정도 동의는 하나 그리 다른 영화들에 비해서 확실하게 차별화된 부분은 그다지 못 느꼈다. 마치 을 봤을 때랑 비슷하다는 생각 정도? 개인적으로는 나 의 긴장감을 더 선호한다. 마이클 만은 리얼 액션의 대가인 만큼 사실적으로 그려내는 데에 집중을 해서 그런지 아니면 중동의 레러리즘에 대해서 다루어서..
억지라도 좋다 감동적이기만 한다면 "어거스트 러쉬" 어거스트 러쉬 포토 감독 커스틴 쉐리단 개봉일 2007,미국 별점 총평 2007년 12월 25일 본 나의 2,695번째 영화다. 내가 좋아하는 휴먼드라마에 감동을 주는 영화다. 휴먼드라마라 중에서도 특히나 실화를 좋아하는 나이지만 이 영화는 실화는 아니다. 거기에다 있을 법하지는 않은 부분들도 보여 약간은 억지스럽기도 하다. 그래도 좋다. 재미있고 감동적이니 말이다. 콘텐츠에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아마 잘 알겠지만 시대고하를 막론하고 가장 대중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코드는 바로 감동이다. 이는 예전에 유시민 의원이 당내 경선에서 후보를 사퇴하고 찍은 동영상에 대한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이 아무리 재미있고 유머스러운 스토리도 감동 스토리를 넘기는 힘들다. 는 유명 배우들을 쓰지 않고도 감동 스토리 하..
죄는 끝없이 잉태된다 "베오울프" 베오울프 포토 감독 로버트 저메키스 개봉일 2007,미국 별점 총평 2007년 12월 24일 본 나의 2,694번째 영화다. CG로 만들었다는 점, 안젤리나 졸리는 아주 조금 밖에 나오지 않는다는 점, 별로 재미없다는 점은 이미 본 사람들에게 들은 터라 별 기대하지 않고 봤는데 생각보다는 재미있었다. 아니 나는 강추하는 영화다. 실사에 가까운 애니메이션은 2006년 봤던 이후로 처음인 듯 하다. 를 볼 때는 이게 애니메이션가 싶을 정도로 참 많이 놀랐었지만 는 이미 기존에 그런 애니메이션을 봐서 그런지 그리 놀랍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지만 내용이나 전투씬 등이 훨씬 더 나았다. 애니메이션이라는 것을 밝히지 않았다는 점과 안젤리나 졸리가 나온다는 것을 부각시켰다는 점 때문에 많은 비판을 받았고 그로 인해 평..
당신 지금 불륜을 저지르고 있다면 "더 버터플라이" 더 버터플라이 포토 감독 마이크 바커 개봉일 2007,캐나다,영국 별점 총평 2007년 12월 23일 본 나의 2,693번째 영화이다. 이 영화는 끝에서야 밝혀지는 결말이 내용의 핵심이다. 피어스 브로스넌은 왜 그랬을까? 이것에 대한 답을 구하는 것이 이 영화의 재미라면 재미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쉽게 발견하기는 힘들다. 보통은 이런 스릴러물은 한 쪽으로 범인을 몰아가다가 끝에서 전혀 다른 인물로 귀결되는 식인데 이것도 식상해서 아예 처음부터 어떠한 실마리도 제공하지 않았던 것일까? 그러나 아쉬운 것은 끝의 결론에 또 다른 결론이 생겨서 재미를 뚝 떨어뜨렸다. 나름 반전의 반전인데 괜히 더 꼬아놓으려고 그랬다가 영화만 망치는 꼴이 되어 버렸다. 첫번째 반전까지라면 나름 이 영화는 진지한 메시지를 충분히 ..
실화를 바탕으로 한 1차대전 공중전 "라파예트" 라파예트 포토 감독 토니 빌 개봉일 2006,프랑스,미국 별점 총평 2007년 11월 5일 본 나의 2,691번째 영화다. 한동안 독서에 시간을 할애한다고 영화를 거의 안 보다가 봐서 그런지 재미있게 봤고 개인적으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를 좋아하는 지라 더 재미있었던 듯 싶다. 그러나 실제 이야기와는 약간은 다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 영화를 보다 보면 극적 재미를 위해 다소 과장한 부분이 보인다는 점 때문이다. 복수라는 테마와 전쟁과 사랑이라는 테마는 사실 많은 전쟁 영화에서 보이는 테마라 식상하긴 하지만 그만큼 대중적이다. 그 외에는 여느 전쟁 영화에서도 보이는 무난한 스토리를 갖고 있다. 그리 감동적이거나 가슴 찡한 러브 스토리가 있지는 않은 무난한 영화이긴 한데 이 영화만의 독특한 ..
성탄절에 어울리는 노래 두 곡 Christ는 라틴어로 메시아라는 뜻이며, Mas는 라틴어로 만남이라는 뜻으로 Christmas는 메시아와의 만남이라는 뜻이다. 성탄절에 어울리는 노래 두 곡. 아마 다들 잘 아실 꺼라 생각하지만서도... 하나는 어린이들을 위해서, 하나는 연인들을 위해서... 1. Mariah Carey: Santa Claus is coming to town 어린이들이 들으면 좋아할 만한 노래다. 한국어판 "울면 안돼"를 누가 이렇게 멋드러지게 부르는 건 언제 나올라나? 2. Mariah Carey: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영화 에도 나왔던 곡으로 아주 잘 부르면 멋진 곡이죠. 그러나 Mariah Carey의 음색으로 너무 알려져서 남자가 부르면 조금 이상하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