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1241) 썸네일형 리스트형 블로거를 위한 '글쓰기가 아닌 책쓰기' 프로그램 기획 배경 및 의도 기획 배경 블로그가 대중화되면서 많은 분들이 책을 쓰려고 합니다. 그러한 시도는 매우 좋은 거라고 생각하지만 책쓰기를 그냥 가볍게 접근하는 경향이 있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글쓰기와 책쓰기는 엄연히 다릅니다. 그냥 끄적거린 블로그의 글이 많다고 해서 그것을 모아 책이 된다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책에서나 강의 프로그램에서 책은 누구나 쓸 수 있다고 얘기합니다. 그렇습니다. 누구나 책은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책을 내는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책을 낼까요? 책만 나오면 되는 건가요? 그러면 자비 출판을 권합니다. 책이라는 유형의 물질을 만드는 데에는 큰 돈 들어가지 않습니다. 근데 왜 출판사를 컨택하는 것일까요? 책을 쓰는 모든 이들은 하나같이 뭔가 바라는 바가 있습니다. 그게 돈이라고 생각하.. 1인 기업가를 대표하는 말 Professional Service Firm 제 MSN, 그리고 다른 여느 곳에서도 이 용어를 사용합니다. Professional Service Firm. 이 말은 톰 피터스가 했던 말입니다. 그냥 멋있어서 그대로 가져와서 사용하고 있지요. 허나 톰 피터스가 그런 말을 했던 배경을 유심히 살펴보면 그는 맥킨지 컨설턴트 출신입니다. 즉 컨설팅 개념을 생각해서 그런 용어를 만든 것 같다는 말입니다. 제가 할 일들 중에는 컨설팅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그것은 추후에 밝히기로 하지요. 제가 자신있는 영역에서 어떤 컨설팅을 하는 것인지에 대해서 말입니다. 그러나 그게 제 메인 業은 아닙니다. 제가 파악하기에는 시장 상황이나 우리 나라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메인으로 하기에는 힘들다는 판단을 했기 때문입니다. 그리.. 주말에는 쉬어야 재충전이 되는데 주말까지 끝내기로 마음 먹은 것이 있어서 쉬지 않고 스스로를 다그치고 있다. 그런데 생각보다 집중이 잘 되지 않는다. 조금 있다가 또 지인을 만나러 가야하기도 하고. 주말에 쉬면서 책이나 읽고 재충전의 시간을 가지고 싶었는데 그러지를 못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일요일에는 도서관에 가서 내가 3년을 두고 공부하려고 하는 것을 하나씩 공부하면서 책도 좀 읽고 다음주 스케쥴도 정리하고 하는 시간을 가지려고 했는데 그러지를 못하고 있다. 적어도 다음주부터는 그렇게 해야 되는데... 요즈음 내가 해나갈 일들을 정리하고 전략적인 접근을 설계하면서 드는 생각이 왜 나는 지금껏 1인 기업가라는 것을 언젠가는 하겠다는 막연한 생각만 하고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퍽이나 많이 든다. 물론 그 길이 쉽지 않다는 것을 스스로도 알.. 곧 1인 기업가로서 제가 할 일들을 공개합니다. 원래 제 계획은 이번주까지 끝내는 거인지라 아직 여유 시간은 있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너무 할 게 많은 지라 시간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도대체 풍림화산이라는 사람이 공개적으로 1인 기업가를 외치면서 어떤 일을 해나갈 지에 대해서는 이번 주 내에는 다 올릴 생각입니다. 주말에는 쉬어야 하는데, 오늘은 밤샘을 하고 바쁘게 움직였는데, 게다가 오늘은 운동도 안 했는데 이렇게 컴퓨터를 켜서 또 글을 적습니다. 제가 갈 길 중에는 많은 이들이랑 함께 하고 싶은 것들도 있습니다. 근데 이게 마치 많은 다른 이들을 이용해서 뭔가를 얻으려고 하는 것인지, 세력화를 하려고 하는 것인지 오해하실 수도 있을 겁니다. 그것은 제가 공개하는 제 일들을 보시면 아실 수 있을 겁니다. 전 결코 그런 사람이 못 되거든요. 공개한다고.. 뜻을 품고 호주로 출국하는 동생 동생이 호주로 출국한다. 단순한 어학연수 차원이나 여행을 위해서 출국하는 게 아니다. 그렇다고 취직을 해서 출국하는 것도 아니다. 호주에 가서 터를 잡으려고 가는 거다. 그렇게 결심을 하게 된 데에는 이유가 있다. * * * 항상 나와 비교되곤 해서 공부하고는 거리가 멀었던 동생이 대학을 실패하고 재수를 한다고 했을 때, 내가 야구 방망이를 들고 때리면서 했던 말들이 이 녀석에게는 한이 되었다. "너같은 새끼는 공장이나 다녀! 쓰레기야!" 더한 말도 많이 했었다. 그 때는 그럴 수 밖에 없었다. 왜? * * * 사실 나도 대학을 실패했다. 어느 순간부터 자랑스럽게 보여줬던 성적표를 보여주지 않기 시작한 때가 아마 고등학교 2학년 때였다. 아버지는 공부에 방해가 될 까봐 알아서 할 것이라 믿어왔고 사춘기 .. 1인 기업가에게는 자기 관리가 가장 중요한 듯 1인 기업가를 표방하고 나서 이리 저리 생각한 것들을 행동에 옮기기 전에 나름 하나씩 하나씩 정리를 하고 있는 중이다. 그런데 문제는 내가 욕심이 많았나 보다. 아무리 선택과 집중을 한다 하더라도 이거를 버리자니 저게 아쉽고, 저거를 버리자니 이게 아쉽다. 다 잘 할 수 있는데 하는 혼자만의 생각을 하면서 말이다. 무엇을 우선적으로 해야하는지 하는 우선순위도 중요하지만 빨리 처리할 수 있는 것은 빨리 처리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일단 할 것들에 대한 나름의 준비가 필요했다. 밑도 끝도 없이 부딪혀서 될 일이 있고 안 될 일이 있는 법. 중요한 것은 내가 가고자 하는 길의 방향 속에서 하려는 일들의 연관관계를 잘 생각하여 준비는 해두되 내가 먼저 해야할 것들 즉 지금 해야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것을 골라서 행동.. 1인 기업가로서 도약하고자 다짐하는 2009년 프레이밍: Framing 거 참 신기한 것이 어떻게 프레이밍을 하느냐에 따라 마음이 달라진다. 워낙 존심이 강하고 누구에게 부탁 같은 거 잘 하지 않는 나였는데, 개인이 아니라 기업이라고 프레이밍을 하니 생각이 많이 달라지는 거다. 1인 기업가. 말이 좋아 1인 기업이지 프리랜서와 차이가 뭐가 있을까? 사업자 등록증의 유무라는 현실적인 구분으로 그렇게 얘기할 수 있겠지만, 나는 앞으로 1년 반에서 2년 정도는 사업자 등록증을 낼 생각이 없다. 이는 상황적 맥락도 있지만 그런 상황을 있는 그대로 보고 그 속에서 나름대로의 전략을 세웠기 때문이다. 어쨌든 2008년도 연말부터 생각하기 시작한 것들을 이제 하나씩 해나갈 생각이다. 일: Work 집필도 해봤고, 감수도 해봤다. 짧지만 TV 인터뷰에도 나와보고,.. 정독도서관에서 만난 허경영의 책? 정독도서관에서 자료 찾으면서 둘러보다가 발견한 것인데 얼핏 봤을 때 난 지난 2008 대선 후보 허경영인 줄 알았다. 근데 저자를 보니 허경영이 아닌 이계익. 누구지? 찾아보니 전 교통부 장관의 정부 고위직 출신이다. 지금에야 연세가 연세이신지라 전혀 다른 모습을 하고 있지만 젊었을 때 찍은 책 표지의 사진은 허경영을 연상케 한다. ^^ 얼핏 보면 닮지 않았나? ^^ 뿔테 안경만 쓰면 비슷하게 보일 듯~ 이전 1 ··· 71 72 73 74 75 76 77 ··· 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