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테의 취향 (5875) 썸네일형 리스트형 찰스 다윈의 '적자 생존'과 협업지성을 활용한 '위키노믹스' 최근에 예기치 않은 선물로 받은 을 읽고 그 12권 중에서 소개된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 부분을 읽으면서 들었던 생각이다. 이 책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책을 읽은 것도 아니고 위의 책 속에서 "종의 기원"에 대한 소개를 하면서 시대적인 의미와 역사적 고찰이 매우 자세히 적혀 있어 그것을 읽으면서 들었던 생각이다. 이는 지금 내가 관심을 가지는 의 관점과는 반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유독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종의 기원"에서 얘기하는 '적자 생존', '자연 선택'이라는 용어가 관점에서는 우월한 소수의 전문가보다는 동등계층의 생산을 강요하지 않던가? (물론 동등계층에는 전문가도 포함되어 있다. 이해가 안 되면 책을 읽어보던지 다음의 글을 확인하기 바란다. ) 에서는 두 가지 얘기를 하면서 작가의.. 방대한 자료로 구성된 12권의 책에 대한 역사적 고찰 <세상을 바꾼 12권의 책> 세상을 바꾼 12권의 책 멜빈 브래그 지음, 이원경 옮김/랜덤하우스코리아(랜덤하우스중앙) 2007년 5월 29일 읽은 책이다. 우선 이 책을 주신 랜덤하우스의 이현일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생각치도 않았던 선물이라 매우 기뻤고 그 때문에 당시에 읽고 있던 책 다음으로 읽었다. 아마도 내 기억에 이런 예기치 않은 책 선물은 대학교 1학년 때 생일 파티할 때 재수시절에 같은 반을 보내고 같은 과에 왔던 친구가 준 선물 이후로 처음인 듯. 그 때도 사실 재수시절에 워낙 책을 많이 보던 나를 보고 당시에 삼국지를 한 권씩 사서 읽었었는데 내가 몇 편째를 보고 있는지 알고서 다음 권을 사주었던... 그래서 더욱 감동을 받았던... 역시 나를 아는구나 하는 생각에... 우선 이 책을 보면서 감탄한 것이 있는데,.. 세발 자전거 대회에서 사진 정리하다 스캔해둔 것들 중에서 웹용 이미지로 만든 일부를 올린다. 5살 때 참가한 부산MBC배 세발자전거 대회에서 찍은 사진들 모음이다. 에서 그 일화가 기록되어 있다. 지금 다시 예전 내 사진을 봐도 느끼는 게 차암~ 못생겼다는 거다. 뭐 부모님께는 미안한 얘기지만 참 많은 발전했다는 생각이 든다. ^^ 요즈음도 그렇지만 초반 러쉬에 강하다기 보다는 막판 스퍼트에 능하다. 그래서 미루어둔 일도 한 번에 끝내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5세부 1위 했는데 지금 경기에는 예선전인 듯 한데 상당히 등수가 밀려 있다. 마지막 사진은 막내고모와 찍은 사진이다. 이랬던 고모가 다음 사진을 보면 이렇게 늙어버렸다. 세월의 유상함을 느낀다. 뭐 나도 많이 늙었지만... 27년이 흘렀으니... 올빼미형 인간 어제 저녁을 먹고 뻗었다. 전날 거의 잠을 자지 못해서 저녁을 먹고 나니 졸음이... 다행스럽게도 점심 먹고 나서 잠이 오지는 않았다. 그만큼 나름 집중해서 했다는 얘긴가? 어쨌든 점심 먹고는 졸립지 않았는데, 저녁 먹고 누워있으니 스르르 눈이 감긴다. 일어나보니 새벽 1시 30분. 운동도 못 가고 씻지도 않고 잠이 들어버려서리... 그래서 안 자기로 했다. 아침 일찍 운동 가야겠다. 그래도 어제 좀 많이 해둬서 그런지 이번주가 생각보다는 빡빡하지 않을 듯 하다. 어차피 문서라는 거 만들다 보면 한도 끝도 없어 핵심만 일단 아웃라인을 잡고 임팩트를 주면 디테일은 그 다음 과정이다. 너무 많은 것을 보여주려고 하는 것도 욕심이요 그로 인해 과유불급! 안 하느니만 못한 결과도 초래한다. 역시 밤은 조용하다... [집단지성의 이해 III] 집단지성의 정의 피에르 레비의 에 보면 저자 스스로 집단지성에 대해서 이렇게 정의를 내리고 있다. "그것은 어디에나 분포하며, 지속적으로 가치 부여되고, 실시간으로 조정되며, 역량의 실제적 동원에 이르는 지성을 말한다." 그리고 부연해서 각각을 설명하고 있는데, 요약해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 어디에나 분포하는 지성 : 누구도 모든 것을 다 알지 못한다. 모든 사람이 무엇인가를 알고 있다. 지식 전체는 인류 안에 있다. 1)항에 대해서 이의를 달 수 있는 경우는 거의 없겠다. 어떤 전문적이라고 불릴 만한 분야라고 하더라도 논문이 쌓여가는 과정을 보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다만, 이것과 협업이라는 것과 연관짓게 됨으로써 사실 해석의 여지가 많이 발생하지만 여기서는 협업을 얘기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니 일.. [MMA] 크로캅 여전히 맘에 안 든다. 해럴드경제 기사 : 크로캅, 'UFC 벨트 획득 후 은퇴' 예전부터 나는 크로캅을 그리 탐탁치 않게 생각했다. 그것은 내 글 나 에서 엿보이는 바일 것이다. 에서 언급했듯이 말하는 게 맘에 안 든다. 상당히... 겸손의 미덕이란 찾아볼 수 없다. 물론 난 그런 성향을 좋아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인정할 건 인정해야지. 그건 겸손과는 또다른 부분이다. 언제는 효도르를 꺾고 나서 은퇴하겠다더니만 이제는 UFC 헤비급 챔피언 벨트 획득하면 은퇴하겠단다. 어이가 없다. 그렇게 자신이 잘 났는지 아는가 보다. 물론 인정할 만한 탑 파이터임에는 이의를 달지 않겠지만 역시나 뇌구조는 어린 아이에 비교되고 말하는 것을 보면 좀 못 배워먹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그렇게 하면 자신이 강해보인다고 생각하는지.. [MMA] UFC 71 : 척 리델 vs 퀸튼 잭슨 UFC에서는 라이트헤비급, PrideFC에서는 미들급으로 분류되는 이 급에서는 사실 UFC의 선수층들이 두텁지 못한 게 사실이다. 최근 전적에서 척 리델은 랜디 커투어, 티토 오티즈에게 모두 두번씩 이기면서 승승장구 해왔지만, 최근 전적의 유일한 패배를 안겨준 것이 바로 퀸튼 잭슨이다. UFC가 아닌 PrideFC에서... 당연히 경기를 봐도 그렇듯이 자신이 챔피언으로 있는 UFC 라이트헤비급이기에 더욱 견제가 심한 듯한 경기 내용을 보면서 척 리델이 심리적 부담을 갖은 듯 하다. 사람이라는 게 가진 게 있으면 잃는 데에 대한 부담감은 항상 갖게 마련이고 이런 파이트 경기에는 져본 경험이라는 것이 심리적으로 상당한 부담감을 갖게 만들기 때문에 그러한 듯. 사실 척 리델의 나이를 보면 그 정도 하는 것만 .. 밤 꼴딱 새고... 다만 1시간이라도 자야된다. 안 자서는 안 된다. 자야된다. 오늘은 월요일. 월요일과 금요일은 출근해야 된다. 아무래도 오늘은 많이 피곤할 듯~ 점심 먹고 나서가 고비겠거니... 너무 무리한 거 아닌가 몰러~ 지금 자면 1시간 30분 정도는 잘 수 있겠네. 잠이야 그렇다 쳐도 밤에 블로깅을 하면 담배를 너무 많이 피우는 것이 탈이라... 지금 속이 더부룩하다. 목에서는 가래도 끓고... 어쨌든 간만에 즐기는 블로깅을 하느라 밤 꼴딱 샜다. ^^ 이전 1 ··· 642 643 644 645 646 647 648 ··· 7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