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테의 취향

(5864)
아웃포스트: 전투씬이 매우 사실적이라 봤더니만, ★★★ #0 나의 4,072번째 영화. 어디선가 봤다. 군인들이 이 영화를 평하길 전투씬이 정말 사실적이라고. 게다가 실화를 기반으로 했단다. 기대. 그래서 봤다. 근데 좀 실망이다. 그래서 별로 추천하진 못하겠다. #1 비추 이유 지루하다. 마지막 키팅 진지 전투 전까지는 아웃포스트 즉 전초기지의 일상을 그냥 다루고 있다. 영화를 보면서 내가 왜 이걸 보고 있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를 보기 전에 , 를 봐서 그런 지 몰라도 너무 비교되더라. 단조롭다 못해 지루하기까지 했다. 그런 전개도 영화의 맛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영화를 보면서 드는 생각 때문에 더욱 영화적 재미가 반감되는 듯 싶었다. 무슨 생각이냐? 모순! #2 모순 영화가 끝나고 나면, 당시 키팅 진지 전투에 참전했던 이들의 실제 사진과 함께..
그레이하운드: 잠수함과 구축함의 전투 씬 볼만, ★★★★ #0 나의 4,071번째 영화. 그러고 보니까 다음으로 본 영화인데 둘 다 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하고 있고, 해전이라는 공통점이 있네. 그런 공통 분모를 갖고 있지만 는 와는 전혀 결이 다른 영화다. 근데 재밌어. #1 톰 행크스 영화 끝나고 스크린에 자막 올라갈 때 Screenplay by 해서 Tom Hanks 라고 나오길래 알았다. 보통 헐리우드의 성공한 배우들이 제작이나 감독하는 경우는 많이 봤지만 각본까지 적는 경우는 드문데. 여튼 톰 행크스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냐면 휴먼 드라마 주인공. 그의 작품들 중에서 내가 본 영화들이 유독 그런 영화가 많아서 그런 지는 모르겠지만. 그런 이미지의 그가 쓴 각본(원작은 소설이다)이다 보니 전쟁 영화지만 그런 느낌이 강해. 그러니까 한 인물에 대해 포..
미드웨이: 급강하 폭격이 인상깊었던, ★★★★ #0 요즈음 다시 영화를 본다. 한동안 모바일 게임 꾸준히 하다가 요즈음에는 흥미를 잃어서 모바일 게임할 시간에 차라리 영화를 보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들어 영화를 다시 보는데, 공교롭게도 전쟁 영화만 연달아 본 듯. 는 나의 4,070번째 영화. #1 롤랜드 에머리히 를 시작으로 지금껏 이 감독의 작품을 절반 이상은 봤다. 그래도 그의 작품들이 모두 다 재밌다고 할 순 없지만, 평균적으로 평타 이상은 하는 감독이라 믿고 봐도 실패는 하지 않을 듯. 차기작은 다. #2 괜찮았던 부분 1_ 일본을 악의 축이란 잣대로 놓고 그리지 않았다는 점. 2차 세계대전 관련 영화를 보면 꼭 그렇게 그리지 않았다 하더라도 일본이 전범국이다 보니 그런 뉘앙스가 풍기는 경우가 많은데, 는 다소 중립적인 자세인 듯. 미드웨이..
착한 이사, 착하긴 뭐가 착하냐 #0 사무실 이전하면서 이용했던 착한 이사. 몰라. 나는 이런 데 이용해본 적이 없어서. 나중에 알고 봤더니 중개해주는 데더라. '착한 이사'라는 상호가 왠지 모르게 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인드 있는 업체라는 느낌을 주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 그래서 이 글은 이런 데 이용하지 말라는 얘기를 해주고 싶어서 적는다. #1 중개 수수료 44.6% 이사 비용 30만원 중에 중개해주는 '착한 이사'라는 데는 얼마를 가져갈까? 14만원이다. 16만원이 정작 이사를 위해 자신의 차를 동원해서 짐을 싸고 나르는 이의 몫이다. 어떤 생각이 드는가? 중개해주는 수수료가 46.6%라고 한다면 과연 이게 바람직한 거라고 생각하는가? 그네들은 그런 얘기를 하겠지. 이를 홍보하기 위해 들어가는 비용, C/S를 위한 인력 비용..
이재용 구속에 대한 전경련의 말, 어이없네 #0 전경련이라는 사단법인 뭐하는 덴지 나는 구체적으로는 모른다. 뭘 하긴 하나? 내가 아는 바로는 항상 자기네들 이익이 되는 데에 한 목소리를 내는 거 같던데. 어줍잖은 거 한답시고 기업들에서 회비 받아서 뻘짓하지 말고, 그냥 참여할 사람들 참여하면서 친목 도모하는(룸이나 가서 술이나 마시는) 게 낫지 않을까? 기업에서 내보내야할 일순위가 누군가? 능력은 안 되는데 열심히 하는 사람이거든. 하는 일마다 사고치니. 그러니 일을 하지 말라는 거다. 뭔 일한답시고 어줍잖은 일을 하냐고. #1 리더십 부재로 신사업 진출과 빠른 의사결정 지연. 경쟁에서 취저지는 결과 초래할 수 있다. 그건 니네들 생각이고. 얘네들이 이렇게 하는 이유는 지네들이 그런 처지에 놓여도 지네들 편들어주는 세력(?)이 있어야지. 그러니..
블랙머니: 영화적 재미는 없지만, 기억해야할 사실들 #0 우선 실화를 기반으로 했다고는 하지만, 주요 부분에서는 사실과 다른 면이 많은 영화기 때문에 론스타의 외환은행 매각과 관련해서는 찾아보길 바란다. 개인적으로 사회 고발성 영화를 좋아하긴 하지만, 이 영화는 너무 뻔한 전개로 인해 조진웅의 열연에도 불구하고 영화적 재미는 없었던 영화다. 다만 이런 영화로 인해 과거에 이런 일이 있었다는 리마인드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그걸로도 충분히 의미 있다 생각할 뿐. 물론 그런다고 해서 달라지는 건 없지만 의식이라도 깨어 있어야 언젠가는 이런 일에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일어나지 않는 날이 오지 않겠냐 싶다. #1 가장 눈여겨 봐야할 부분은 모피아 관련이다. 딱 일제 시대 때 매국노 닮았다. 그들도 논리는 있다. 그래서 그런 얘기를 들으면 그럴 듯 하기도 하지. ..
기성 사이즈 개판이군 #0 국내에서만 옷을 구매하는 게 아니라 직구하는 사람들은 아마 겪어본 적 있을 거다. 나라별로 치수 표기 기준이 다르다. 졸라 웃긴 게, 표기법은 똑같은데 기준이 다른 경우도 있어. 내가 볼 때는 완전 개판. 이러니 옷이 안 맞을 수 밖에 없다고 본다. 정말 자신에게 맞는 옷을 입어본 경험을 못해봤기 때문에 나는 이 사이즈를 즐겨 입다 보니 나는 이런 핏을 선호하게 된다는 그런 느낌? #1 XS, S 이런 것도 우리나라와 일본이 기준이 다르다. 그래서 이것만 믿고 샀다가는 전혀 다른 사이즈가 온다는 거. 게다가 구글에서 이미지 검색으로 사이즈표 찾아봐바. 나와 있는 테이블마다 기준이 제각각이여. 존나 웃기지도 않아. 나름 정리한다고 정리한 건데도 그래. 유럽 표기가 어떤 경우에는 44, 46 이런 식으..
치수 데이터만 보면 구역질 난다 #0 며칠 째 데이터만 보고 있다. 스마트핏은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르긴 했는데, 데이터 저장 구조가 달라져서 현재 저장 데이터에 문제가 없으면서 개편될 메뉴에 적용될 데이터에도 접목이 되도록 마이그레이션까지도 다 했고. 예전에는 마이그레이션 같은 거 할 때 데이터 백업 받아놓고 그냥 바로 마이그레이션했는데, 요즈음에는 문제 생기면 그거 찾는 게 더 고생이라 시뮬레이션 해보고 문제없다는 걸 확인한 다음에나 한다. #1 어떻게 하면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생각을 거듭하고 내린 결론. 아는 게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힘들어지는 부분이 있다. 패턴에 대한 이해, 체형 보정에 대한 이해, 치수에 대한 이해, 핏에 대한 이해, 부위별 치수의 관계도, 기성 사이즈에 대한 이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