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1241)
오픈 임박. 이렇게 시간이 걸린 이유. #0원래 프로그래밍이라는 거는 기술 그 자체보다는 비즈니스 로직이 중요하다. 나는 기술적으로 어떻게 구현하느냐보다는 화면에 어떻게 나오는가가 더 중요하고(즉 UI가 더 중요하고) 왜 그렇게 나와야 하는지에 대한 비즈니스 로직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걸 잘 하는 사람은 상당히 디테일한 상황적 변수를 고려한다는 얘기다. 남들은 그런 부분에 있어서 나더러 거의 정신병적인 정도 수준이라고 얘기할 정도로 디테일하다. 별로 중요한 거 아니다고 얘기하는 경우도 많지만, 내가 보기에는 나중에 일이 커지면 오히려 리스크가 더 커진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1css, ajax, javascript, php, mysql, apache, linux. css, ajax는 사실 이번에 하게 된 거지만 나머지는 정말 20..
영화사인지 매니지먼트사인지 모르겠지만 자동 댓글 달기 사용하네 #0 #1보면 알겠지만 2013년 11월 17일에 달린 덧글과 오늘 달린 댓글 이름과 내용 똑같다. 이건 뭘 말하느냐. 자동 댓글 달기란 얘기다. #2아마도 영화사에서 하는 마케팅 중에 인터넷 상에 관련 글들 있으면 자동으로 댓글 달기하는 프로그램 쓰는 모양이다. 참... 역시나 한국의 수준이 이 정도. 영화 관련된 댓글은 믿을 만한 게 못 될 듯. #3 영화 제작사 확인해봤다.제작사: 영화사 무쇠팔, 플로우식스, 자이온 엔터테인먼트일단 이 셋 중에 하나만 들어가도 일단 그 영화는 보고 싶지 않다. 물론 영화에 따라 다르겠지만.
오랜만에 #0한동안 블로그를 쳐다보지도 않았다. 글을 적고 싶다는 생각도 많았지만, 뭔가에 집중하기 위해서였다. 그래서 간간이 올아오는 덧글에 대한 답글 정도만 짧게나마 하고 말았던 것. #1나는 최근 들어 SNS를 하지 않는다. 페이스북은 꼴같잖은 글들 보기 싫어서 한동안 뉴스 모니터링 용도로만 활용하다가 이제는 아예 접속 자체도 안 하고 있다. 계정을 지울 수도 있지만, 굳이 지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서 그냥 놔두고 있을 뿐. 알림이 와도 클릭조차 하지 않는다. #2그나마 했던 인스타그램도 요즈음은 거의 안 하고 있다. 사람 냄새나는 곳이 아니라 허세가 너무 많이 보여서 이제는 안 보게 되더라. 허세야 누구나 다 갖고 있는 거지만 도에 지나친 경우도 많아서 보기 싫어지더라. 보기 싫으면? 안 보면 되는 거임...
수학 여행 간 아들에게서 온 전화 #0오늘 아침에 아들 수학 여행 갔다. 벌써 6학년이다. 어제 수학 여행 짐을 싸면서 그리 신나 하길래, 아마 가서 신나게 논다고 전화 한 통 안 할 거라 예상했었다. 근데 예상이 빗나갔다. 방금 전에 전화 왔었다. #1어제 나더러 보고 싶을 거라고 그러길래 내가 그랬다. "올레" 며칠 동안 안 본다고 좋다고 그랬는데. ㅋ 아들이지만 홀로 커서 그런가 여성성이 좀 있는 거 같다. 여튼 나랑 좀 틀린 구석이 많은 녀석. #2그래도 전화해서 "사랑합니다. 안녕히 주무세요."라고 전한다. 아마도 이런 게 애 키우는 맛(?)이 아닐런지. 사실 요즈음은 같이 못 놀아줘서 미안할 따름이다. ㅠ 그러고 싶은데, 내가 뭘 더 욕심내서 하려고 그런다기보다는 상황이 그래. ㅠ 그래도 항상 밝게 크는 게 다행이라 생각하긴 ..
짜증나는 두 가지 #0첫째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만 작동하게 만든 것들.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이런 걸 보면 나는 도무지 이해를 할 수가 없다. 금융권이나 공공기관같은 경우는 특히나 더 심하다. 좋은 게 있어도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들 불편만 가중시키는 게 뒷돈 쳐먹어서 그런 건가? 정말 정말 짜증난다. #1둘째는, 공무원의 행정 처리. 여기 전화하면 저기 문의해보라 하고, 저기 문의해보면 다른 데 또 문의해보란다. 책임 회피에만 능한 능력 없는 것들. 그런 것들 월급 주려고 내가 세금내야 하나? 이러니 나는 탈세하는 사람들(그 대부분이 다 못되먹은 것들이지만) 이해가 가기도 해. 믿어야 맡기지. 나는 예전부터 공무원들은 무능력한 사람들이나 하는 거라고 생각했었다. 역시나 지금도 그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사람마다 다..
심플한 스킨을 바꾼 건 좋은데, 일장일단이 있네 #0심플하고 깔끔해서 좋긴 한데, 일장일단이 있다. 우선, 기존 블로그에는 내가 별도로 정리하는 글을 메인에다가 링크 걸어뒀는데, 검색해서 찾아야 한다. 고전 명작 리뷰만 모아둔 글. 이렇게 심플하게 바뀜으로 인해서 하나는 얻었지만 하나는 잃었네. 그래서 사실 내가 스티코 몰 개발할 때는 심플하면서도 기능적으로 부족함이 없도록(Responsible Web으로 구현하다 보면 사이즈 줄어듬에 따라 공간을 어떻게 배치할 지를 머리 속에 그려서 해야 하다 보니 참 애매한 때가 많다. 사실 그런 부분 때문에 내가 개발 그 자체보다는 신경 쓰는 게 더 많아 시간이 걸렸던 게지.) 구현하고 있다. 나름 이번에는 신경 많이 쓰고 있는 중. #1두 번째로 새로운 글은 폰트 사이즈나 글간이 이쁘게 나와. 근데 기존 글들은..
강한 확신? 자기 확신? #0내 10년 뒤, 20년 뒤가 어떻게 될 지는 모른다. 그러나 현시점에서 오히려 이런 얘기를 하는 게 적합하다 본다. 왜냐면 지금 뭐가 잘 풀려서 이런 얘기를 하는 게 아니거든. 오히려 역의 상황이란 말이지. 그래도 나는 마음이 편안하다. 왜냐면 세상 살다 보면 이런 때도 있고 저런 때도 있는 법이니까. #1작년 말인가 다소 멘붕 상황이었는데,(말 표현을 그냥 멘붕이라 한 것일 뿐) 그런 상황 속에서도 또 배우는 게 있다. 게다가 나이 40 넘으니 생각이 많아지기도 하고 말이다. 어떤 상태를 보고 내 마음이 요동치는 게 우습더라. 신경 쓴다고 무조건 잘 될 거 같으면 어떤 일이든 다 잘 되었겠지. #2힘들 때는 그걸 극복하려고 이리 저리 발악을 해도 안 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그러려니 하면 된다. ..
똑똑한 사람의 대인 관계 #0우연히 본 기사다. 재미난 기사. http://www.huffingtonpost.kr/2016/03/24/story_n_9537504.html 똑똑한 사람은 친구들과 자주 어울릴수록 불행하다고 느낀다라... 보니까 똑똑한 사람을 지능 지수 그러니까 IQ가 높은 사람을 얘기하던데. 그렇다면 나도 똑똑한 사람이네. 기준에는 부합하니. #1그러나 이런 사회적 통계는 그닥 유의미하지가 않다. 뭐 이런 거나 매한가지다. 아침형 인간. 아침형 인간이 성공하기 쉽다. 뭐 그런 류. 그래서 자신도 아침형 인간처럼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려고 하다 오히려 몸에 탈이 나는 경우도 생긴다. 뭐든지 간에 자신에게 맞는 걸 취사선택할 줄 알아야 하는 법. #2똑똑한 사람이라고 즐기지 않을까? 다 매한가지다. 인간은 기본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