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테의 취향

(5892)
코로나로 인한 격리자 생활지원금 또는 유급휴가비용 지원 #0 8월 26일~8월 29일: 집에서 자가 격리(아들의 코로나 확진으로 인한) 8월 29일~9월 06일: 생활치료센터에서 격리(아들의 생활치료센터 입소 시, 보호자 자격으로 함께 입소) 9월 06일~9월 20일: 퇴소 후 지침에 따라 14일간 집에서 자가 격리 --- 총 격리 기간: 26일 뭐 어제 보니까 방송에서도 나와 똑같은 케이스에 대해서 의사가 나와서 이게 뭐냐고 하는 얘기하더라. 내가 블로그에 적은 내용하고 똑같애. [기타/건강] - 무증상 확진자의 격리 해제 vs 밀접촉자의 격리 해제 이해가 안 가는 지침이라 나도 황당했었지만, 전화기 붙들고 담당자랑 싸워봤자 답 나오는 것도 아니고, 담당자들이 무슨 잘못이 있어, 코로나 때문에 짜증나는 사람들 짜증 섞인 얘기도 들어야 하니 그네들도 힘들겠지..
세 번의 코로나 검사, 모두 음성 #0 첫번째: 아들 확진 판정 받은 날, 음성 판정 두번째: 아들의 보호자 자격으로 생활치료센터에 아들과 함께 들어간 3일 후, 음성 판정 세번째: 생활치료센터에서 퇴소하기 전날, 음성 판정 지금까지 나는 총 세 번의 코로나 검사를 받았다. 생활치료센터 퇴소하기 전날 받은 코로나 검사는 결과를 통보 안 해주길래 확인해봤더니 음성 판정이더라. 이게 생활치료센터에 있을 때는 생활치료센터에서 담당하는 거고, 그 밖으로 나오면 관할이 보건소라 그런 듯. 생활치료센터에는 결과를 통보한 듯한데 나한텐 통보를 안 해줘서 내가 알아봐야 했다는. #1 코로나 검사 받아보면 알겠지만 면봉 같은 걸 코 깊숙이 넣는다. 하고 나면 재채기 나오지. 그리고 다른 면봉으로 입 속 깊숙이 넣는다. 자칫하면 구역질 나올 거 같은. 검..
유어오운핏 9월 프로모션, 에스코리알 반값(50%) 할인 #0 올해 들어서 수미주라나 비스포크나 만족도가 거의 100%에 가까울 정도로 높다. 수미주라의 수선은 거의 없고, 있어도 옵션 미스로 인해(옵션이 많으면 수작업이다 보니 이런 미스는 아무리 줄일려고 해도 줄이기가 힘든 거 같다. 그래서 옵션을 많이 안 두는 게 사실 상책인데 그건 유어오운핏의 차별화니 버릴 수도 없고 ㅠ) 검수 시에 리턴하는 경우는 있어도 말이다. 그만큼 이젠 노하우가 쌓여서 제작에 대해서는 안심할 수 있는 상태가 된 지 오래도 그간에 데이터도 많이 축적했다. 그래서 이제는 조금은 다른 방식으로 진행을 하려고 준비중이고. 여튼 이번 프로모션은 비스포크 고객들을 위해서 준비한 프로모션이다. 일반적인 가격으로는 쉽게 범접하기 쉽지 않은 초고가 원단이라 이런 기회에나 득템해보라는 의미에서. ..
무증상 확진자의 격리 해제 vs 밀접촉자의 격리 해제 #0 8월 25일: 아들 코로나 확진 판정, 가족 모두 코로나 검사 8월 26일: 가족 모두 코로나 음성 판정 8월 29일: 아들 무증상 확진자로 구분되어 생활치료센터에 입소, 혼자 보내기 그래서 나 또한 보호자 자격으로 입소 9월 1일: 아들과 함께 들어온 나는 코로나 재검사 9월 2일: 다시 코로나 음성 판정 9월 5일: 나만 퇴소 전 코로나 검사 9월 6일: 퇴소 #1 9월 6일 현재 상태 아들: 무증상 확진자로 확진 판정 이후 추가 검사 없었음, 격리 해제, 일상 생활 가능 가족: 밀접촉자로 최종 접촉일로부터 14일 자가 격리 중, 격리 해제일 9월 11일 예정 나: 밀접촉자로 최종 접촉일(9월 6일)로부터 14일 자가 격리 시작, 격리 해제일 9월 20일 예정 #2 무증상 확진자의 격리 해제 무..
생활치료센터 퇴소, 격리되면서 얻은 세 가지 #0 9월 6일부로 퇴소했다. 아들 때문에 보호자 자격으로 함께 들어가서 들어간 지 8일 정도 되어 나온 듯. 무증상 확진자의 경우,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계속 무증상일 경우 확진 판정 받은 일로부터 11일째 격리 해제된다. 그래서 일찍 나오게 된 것. 그런데 아직 가족들은 자가 격리 해제 안 됐다. 9월 11일까지다. 웃기지. 무증상 확진 판정 받은 사람은 격리 해제됐는데, 밀접촉자는 더 엄한 격리 상황이니. #1 생활치료센터 들어갔을 때 룸에 이것 저것 있더니(개봉조차 하지 않은 세탁 표백제도, 물 먹는 하마도 있었네) 나올 때는 퇴소 킷이라고 해서 뭔가를 주더라. 내용물을 보면 이것 저것 담겨 있던데 정부에서도 참 이런 거 운영하면서 쓰는 예산이 만만치 않을 듯 싶다는 생각은 든다. 고로 서로 서로..
구르카란 바지의 어원이 된 구르카 용병에 관련한 다큐 #0 요즈음은 이상하게 영화 잘 안 보는 거 같다. 예전에 영화 많이 볼 때는 시간 나면 틈만 나면 영화 보곤 했는데, 요즈음은 영화 말고 다큐를 보게 되는 듯. 뭐랄까 픽션보다는 넌픽션이 더 현실감 있고 얻는 게 많다고 할까? 글쎄 나이가 들어서 그런 지도 모르겠다만. 이번에 본 건 구르카 용병 선발에 대한 다큐다. 구르카 용병에 대해서 궁금해서 찾아본 게 아닌데, 구글의 추천 알고리듬이 내가 다큐를 좋아하다 보니 보여준 게 아닌가 한다. 구르카 용병이라길래 무심코 클릭했다가 그냥 죽 보게 되었다는. #1 이게 구르카 바지다. 영국의 구르카 용병이 입던 바지를 복식화하여 만든. 이런 바지는 보통 자켓 없이 바지만 입고 다닐 때 바지에 포인트를 주기 좋다. 넓은 허리 밴드와 양 사이드 버클 밴드, 두 개..
생활치료센터에서 여러 도시락을 먹다 보니 #0 생활치료센터에 있으면 항상 도시락을 배급해준다. 먹기 싫다고 해도 갖고 들어가야 되고, 안 먹는다 하더라도 갖고 들어가서 폐기물 처리 해야 한다. 여튼. 그러다 보니 본의 아니게 여러 도시락을 먹게 되었고, 자연스레 비교하게 되더라. #1 브랜드가 있었던 건 본도시락이 유일했고, 나머지는 브랜드가 없었던 도시락들. 아무래도 본도시락이 제일 비싸지 않았을까 싶다. 처음에는 격리자들이 많이 없어서 본도시락이 나왔다가 많아져서 단가 저렴한 일반 도시락으로 변경한 건지 아니면 계속 같은 도시락 먹다 보면 질리니까 바꾼 건지는 내막을 모르니 알 수가 없지만, 음식의 퀄리티가 다른 걸 보면 본도시락이 가장 비싸지 않았을까 추측한다. #2 근데 아무리 국가적 재난 상황인 코로나 사태라 하더라도 이런 거 국가에서..
다큐 시선 - 또 다른 세상, 교도소 #0 생활치료센터에 격리되어 있다 보니 교도소 생활이 궁금해서 찾아본 다큐다. 생활치료센터에 격리되어 있는 게 상당히 갑갑하다 보니 교도소 생활 비슷하다 생각했는데, 찾아보니 교도소 생활보다는 낫네. 생활치료센터에 격리되어 본 경험에 비추어 생각해본다면, 교도소 생활 정말 할 게 못 되는 듯. 내가 뭣도 모르고 교도소 생활과 비교했던 듯 싶다. #1 몰랐는데 다큐 보니까 우리나라 수감자들에 비해 교정 시설이 부족해서 수용 최대 인원을 이미 초과한 상태란다. 수감할 범죄자들이 많아서 그런 거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그런 내용은 전혀 안 나오니 뭐 확인할 수가 없고, OECD 평균이 97%인데 우리나라는 114%. 갇혀 있는 것 자체로도 상당한 스트레스인데, 좁은 공간에서 십여명이 생활하고, 화장실 하나를 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