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테의 취향

(5875)
CHANGE PROJECT ② 나는 내 회사를 컨설팅하기로 했다 무릇 자기계발이라 함은 스스로 생각하는 데에서 비롯된다. 강의를 듣고, 책을 읽는 행위가 계기를 만들어줄 수 있을진 몰라도 무조건적인 따라하기 식으로 자기계발을 하다 보면, 자기계발은 커녕 오히려 독이 된다. 어떤 독? 주체적인 사고를 하지 못하는. 주체적인 사고에서 비롯된 변화가 되어야지 남의 생각에 휘둘리는 게 자기계발은 아니지 않은가? 그런 자기계발의 과정 속에(이건 하루 이틀에 완성되는 게 아니라 평생의 숙제다. 발전 과정만 있을 뿐 완성이란 없다) 비로소 "나"란 존재에 대한 냉정한 인식이 기반되어야 한다. "CHANGE PROJECT"라는 건 앞으로의 내 비즈니스를 말하는 건데 왠 자기계발? 할 지도 모르겠다. 근데 내가 하는 일이라면 나라는 인간과 뗄레야 뗄 수가 없으니 그러는 거고 그런 의..
오바마 향수: 오바마가 즐겨는 향수, 흑인들이 좋아하는 향수 지난 주 열렸던 DCT Flea Market에 가서 산 향수다. 사실 나는 뭘 사려고 갔던 게 아니라 행사 진행이 어떻게 되는지 분위기는 어떤지 파악하기 위해간 거지만, 행사가 행사인 만큼 결국 얼마 하지는 않지만 물건 하나 사게 되네 그랴. 어떤 물건들이 있는지 죽 둘러보다가 나의 발길을 멈추게 만드는 문구가 하나 있었다. 날림 글씨지만 재밌었다. 그래서 물어봤다. 근데 판매자(나이는 28살의 남자인데 지금은 형, 동생하는 사이가 됐다)가 내가 흑인에 관심이 있는 줄 아고 이런 저런 얘기를 해준다. 사실 나는 흑인 전혀 관심 없다. 다만 말이 재밌어서 그렇다고 했는데, 자신의 경험담을 죽 늘어놓는다. 미국에서 살면서 유명한 흑인 아티스트들도 많이 만났나 보다. 자신이 흑인을 좋아하기 때문에(그렇다고 여..
MVL 호텔 킨텍스 @ 일산: 일산 킨텍스 옆에 생긴 MVL 호텔, 이거 언제 생겼댜? 2013 서울 모터쇼 본다고 킨텍스 가는 도중에 봤다. MVL 호텔. 이런 게 생긴다는 얘기도 들어보지 못했고, 이게 지어진 지도 몰랐다. 그럴 만도 한 게 MVL 호텔 위치가 킨텍스 옆이라고는 하지만 좀 떨어져 있는 편이다. 딱 보면 허허벌판에 호텔 하나 올라간 느낌? 대명은 나름 발전 가능성이 있는 지역의 싼 땅 골라서 괜찮은 호텔을 짓는 게 전략인가 싶기도 하고. 여수 엑스포 때문에 여수에 갔을 때, MVL 호텔 봤는데 멋지긴 하더라고. 뭐 호텔이 다 멋지지 안 멋진 호텔이 어딨겠냐만. 그리고 아무리 일산에 살고 대화동에 산다고 해도 킨텍스 쪽 길은 잘 안 다닌다. 일산 사는 사람들은 알 거다. 메인 도로는 백석역에서 대화역에 이르는 도로이고, 호수공원, 현대백화점, 킨텍스 쪽은 메인 도로가 아닌지..
누보빈 더치커피: 집에서 즐길 수 있는 '커피의 눈물' 더치커피 원액 이웃 블로거이자 같은 지역에 사는 일산 블로거(요즈음은 블로거라는 말이 참 뭘 하는 게 블로거인지 모르겠다)인 까칠맨님(http://agony00.tistory.com/)이 선물을 보내오셨다. 뭔고 하니 까칠맨님이 속한 소셜미디어 전략연구소에서 중소기업 제품인 누보빈 더치커피를 유통한다면서 한 번 마셔보라는 거였다. 뭐 보통 이런 경우에 나는 제품이 좀 아니다 싶으면 글 안 적고 어떠 어떠한 문제가 있다라고 얘기한다. 글을 적는다는 건 이미 제품이 괜찮다는 얘기. 개인적으로 나는 아는 사람이 하는 일이라 하더라도 내가 볼 때 좀 그렇다 싶으면 아무 소리 안 한다. 예전에는 뭐라 했지. 근데 이젠 귀찮아~ 나이도 들었지만 굳이 지적해서 기분 나쁘게 해봤자 의미 없잖아? 대신 좋은 일이라고 하면 도와주고 싶..
공주를 웃겨라 @ 압구정: 아담하고 여자들이 좋아할 만한 수제 샌드위치점 기억을 더듬어 적는다. 여기 가본 지가 3년 되었다. 블로그에 올리려고 사진은 찍어뒀는데 올리지 않은 사진 무척 많다. 그거 다 올리려면 1년 정도는 걸릴 듯. 여튼 언젠가는 다 올리고 말테다. ^^; 여기 소문 듣고 간 거? 아니다. 그럼 왜? 그냥 이쪽 길 지나다가 뭘 먹긴 해야하는데 입맛은 없고 간단하게 먹을 만한 거 찾다가 그냥 들어간 거다. 들어가보고서 느낀 건 인테리어가 나랑은 전혀 어울리지 않는 여성적인 분위기를 낸다는거. 공주를 웃겨라는 가게 이름의 뜻이 뭘까? 간판이다. 크기가 작아서 눈에 띄지 않는다. 그래서 여기 찾아가려면 위치 알고 가야할 듯. 모르면 지나치기 정말 쉽다. 내 느낌에는 여기 주인 아주머니(아주머니라고 해도 젊은 아주머니. 나보고 아저씨라고 하면 안 되잖아. 그런 거와..
DCT Flea Market(벼룩시장) @ Flat N Platform: 발전 가능성을 엿보다 블로그에 올린 대로 지난 주 토요일에 DCT 플리 마켓을 다녀왔다. 물론 애프터 파티 쫑날 때까지. 가서 그냥 놀려고 했던 것만은 아니다. DCT 플리 마켓의 처음부터 봤었기 때문에 어떻게 마무리 되는지를 보고 싶었다. 내 나름 지켜보면서 '오호~ 꽤 괜찮게 진행하는데?'라는 생각과 함께, '핵심은 이게 아닐껀데'라는 생각을 갖고서 말이다. 근데 당일 좀 늦게 일어나서 오후 5시 넘어서야 도착했다. 내가 갔을 때는 그래도 사람이 조금씩 빠지고 있는 타이밍? 1층에서는 이렇게 사람들과 얘기를 나누는 공간이었는데 음악은 힙합이 나오더라고. 게다가 이 날 그 뭐냐 내가 유일하게 즐겨보는 한국 TV 프로그램인 에서 연예인 특집편에 나왔던 사람도 봤다. 서유정이랑 커플이 되었던 바로 그 친구 말이다. 인터넷 힙합..
CHANGE PROJECT ① 나는 마케팅으로 내 비전을 못 찾겠더라 최근에 이런 저런 생각을 많이 했다. 뭐 원래부터 생각이 많은 녀석이긴 했지만, 이제 먹고 살 만하니 쓸데없는 생각을 하는 건 아니다. 뭐랄까? 근본적인 물음을 스스로에게 던지기 시작한 거다. 사실 먹고 살 만하다가 회사 일 신경 안 써서 힘들어진 적도 있었고, 내 스타일이 이거 아니다 싶으면 다 정리해버리다 보니 힘들어진 적도 있었다. 그러나 항상 그런 순간에 집중해서 신경쓰다 보면 다시 복구하게 되어 있다. 문제는 그만큼 시간이 걸리고 그 시간 동안 고생한다는 게지. 그래서 이번에 안정화를 시켜놓을 때는 좀 달랐다. 너무 도제식으로만 진행하던 일들을 체계화시키는 데에 신경을 썼으니까. 교육에 신경을 많이 썼고, 핵심적인 내용은 문서화를 했다. 그리고 이제 나는 시간적 여유가 좀 생겼고, 좀 더 먼 미..
불법 다운로드에 대한 시선, 난 이게 바람직하다고 봐 시즌3가 시작되었다. 800억이 넘는 제작비가 투여된 판타지물인데 판타지물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 나도 정말 재밌게 보는 미드 중에 하나다. 근데 너무 등장 인물이 많아~ 간만에 봐도 기억나는 등장 인물이 있는 반면, 누구더라 하는 인물도 있다. 그러니 시즌 간의 텀이 길면 안 돼~ 근데 재밌는 기사를 봤다. 시즌3의 1화가 불법 다운로드한 회수가 역대 미드 최고치를 갱신했다는 거다. 동시 접속 다운로드로 역대 최고라고. 근데 정말 멋진 건 이러한 불법 다운로드에 대한 HBO 관계자의 시선이다. HBO의 프로그래밍 그룹장(직책이 President of the Programming Group and West Coast Operations at HBO로 되어 있다)인 마이클 롬바르도(Michael Lombar..